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서미경(경상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 김승현(고려대학교) ; 최용성(성안드레아병원) ; 김성현(성안드레아병원) ; 이문수(고려대학교) ; 이헌정(고려대학교) ; 권영준(순천향대학교) ; 김봉조(경상대학교) pp.1-14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Coercive treatment in mental health has undergone an immense period of philosophical and clinical debate and yet it remains as a highly important issue in which ideology and practice contradict each other.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ived coercion of the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psychiatric symptoms, psycho-social functions, insight, and the degree of awareness on the need for treatment)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hospitalization (legal status, coercive measures, and procedural justice) can predict perceived coerc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2 patients that has been hospitalized in the psychiatric ward within the period of 4 weeks. 195 participants(64.6%) were male and 106(35.1%) participants were female. MAES, BPRS, GAF, Insight, Legal Status, Coercive Measures, and Need for Treatment were measur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how much perceived coercion can be predicted by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 such as the patients' BPRS, GAF, insight, and need for treatment. As a result it showe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 insight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treatment were the main predi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during hospitalization such as procedural justice, coercive measures, and legal status all displayed significant predictability. As well as implications of results in a practical method of intervention to reduce perceived coercion, the paper discussed issues for limitations and future consideration.

서미경(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승현(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이민규(경상대학교 심리학과) ; 최용성(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김성현(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이문수(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이헌정(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권영준(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신경정신과) ; 김봉조(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pp.1-14
초록보기
초록

정신건강에서 강제적인 치료는 오랫동안 철학적 임상적 논쟁이 되고 있다. 이념과 실제가 서로 모순된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중요한 문제가 남아있다. 이 연구는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의 지각된 강요에 초점을 두고 정신장애특성(정신병적 증상, 심리사회적 기능, 통찰, 치료필요성의 인식)과 입원과정에서 경험(법적상태, 강요조치, 절차적 정당성)이 지각된 강요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302명의 입원환자이며, 195명(64.6%)이 남자이고 106명(35.1%)은 여자였다. 참여자들은 MAES, BPRS, GAF, 통찰, 법적상태, 강요조치, 치료필요성의 인식 등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정신장애 특성 가운데 통찰과 치료필요성의 인식이 지각된 강요의 중요한 예측변인이었고, 또한 입원할 때 경험하는 특징인 절차정당성, 강요조치 그리고 법적상태가 모두 지각된 강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지각된 강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개입방법의 측면에서 지니는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Coercive treatment in mental health has undergone an immense period of philosophical and clinical debate and yet it remains as a highly important issue in which ideology and practice contradict each other.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ived coercion of the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psychiatric symptoms, psycho-social functions, insight, and the degree of awareness on the need for treatment)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hospitalization (legal status, coercive measures, and procedural justice) can predict perceived coerc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2 patients that has been hospitalized in the psychiatric ward within the period of 4 weeks. 195 participants(64.6%) were male and 106(35.1%) participants were female. MAES, BPRS, GAF, Insight, Legal Status, Coercive Measures, and Need for Treatment were measur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how much perceived coercion can be predicted by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 such as the patients' BPRS, GAF, insight, and need for treatment. As a result it showe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 insight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treatment were the main predi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during hospitalization such as procedural justice, coercive measures, and legal status all displayed significant predictability. As well as implications of results in a practical method of intervention to reduce perceived coercion, the paper discussed issues for limitations and future consideration.

송혜정(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15-27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분노, 스트레스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400명 남녀 대학생들에게 폭식 척도, 정서적 섭식 척도,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여, 폭식척도에서 절단점 18점 이상이며, 정서적 섭식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를 통해 분노섭식이 우울섭식이나 불안섭식에 비해 높고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였다. 치료를 원치 않은 학생들과 치료 도중 탈락된 학생들을 제외하여 최종 선별된 14명의 참가자를 수용-전념치료집단에 7명, 대기통제집단에 7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에게 사전, 사후, 추적 검사에서 폭식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및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용-전념치료 집단에게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대기통제집단보다 상태분노, 분노조절, 스트레스 및 폭식행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그 효과가 추적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anger, stress, and binge eating behavior of the binge eating disorder-prone college students. Four hundred college students who liv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Binge Eating Scale, the Emotional Eating Scale and the Stress Scale. The students who gained more than 18 point score by Binge Eating Scale and have higher anger eating than depression eating and anxiety eating were screened. Fourteen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7 in the ACT group and 7 in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Binge Eating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and Stress Scale at pre-treatment, end of treatment, and at 4 weeks follow-up periods.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tate anger, anger control, stress, and binge eating of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but, trait anger was not decrease in both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김희정(멘토학습심리연구소) ; 장은영(한양대구리병원) pp.29-47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3
초록보기
초록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BMI의 변화에 따른 정서적 행복감을 알아보고, 이들의 정서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섭식과 관련된 행동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1년 간격의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BMI 체중 변화의 범주로, ‘정상-정상 체중’, ‘정상-과체중’ 그리고 ‘과체중-과체중’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정상 체중이 유지된 ‘정상-정상 체중’집단에서는 폭식행동을 덜 할수록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고, 체형차이를 작게 경험하면 건강 섭식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행복감과 정적 관계를 이루었다. 반면에 ‘정상-과체중’ 집단에서는 건강한 섭식 행동이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과체중-과체중’ 집단에서는 체형차이가 낮으면 억제행동이 높을수록 그리고 체형 차이가 높으면 억제행동이 낮을수록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처음의 정서적 행복감이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친 집단은 ‘정상-정상 체중’ 집단이었으며, ‘정상-과체중’ 집단과 ‘과체중-과체중’ 집단에서는 처음의 정서적 행복감이 1년 후 정서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목표와 이에 부합되는 행동 및 결과에 따라 정서적 행복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behaviors influencing emotional happiness amongst female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change of BMI over one year. The changes in category of BMI were composed of three groups, which were 'average-average weight', 'average-overweight', and 'overweight-overweight'. In 'average- average weight' group, the level of bulimic behavior negatively influenced the emotional happiness after one year, otherwise, healthy dieting behavior negatively influenced the one-year-later emotional happiness in 'average-overweight' group. In addition, the effect of anorexic behavior on one-year-later emotional happiness was moderated by self-discrepancy between ideal and actual body shape in 'overweight-overweight' group. In other words, the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discrepancy between ideal and actual body shape, anorexic behavior predicted emotional happiness positively, despite of their maintained problematic overweight.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with high level of self-discrepancy experienced less emotional happiness as higher level of anorexic behavior. Previous emotional happiness positively influenced the emotional happiness only in 'average-average weight'. The results described above can be interpreted that in the case of the people who have accomplished desired goal in the area of weight and shape, the behavior not fit with the goal influenced emotional happiness significantly, otherwise the behavior fit with the desired goal did the similar role in the case of people who have not.

조현주(영남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49-62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비판이 우울 및 부정 정서에 취약하다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자기비판적인 사람이 가상적인 실패/실수 상황에 대해 어떠한 정서반응을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더불어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 자비의 매개 및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33명 중, 자기비판이 높은 집단(상위 25%)과 낮은 집단(하위 25%) 114명이다. 이들에게 가상적인 실패/실수 상황에 대한 부정 정서반응의 차이와 그 외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자비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비판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가상적인 실패/실수 상황에 대해 부정정서,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자기 자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비판과 우울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는 매개효과를, 자기 자비는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비판적인 사람은 평소 자신의 실수나 실패 자극에 주의를 집중하여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고 이로 인해 우울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비판적인 사람에게 자기자비를 높이도록 훈련되면 우울을 낮출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자기비판적인 사람에게 자신을 비판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고 친절하고 따듯하게 사랑하도록 하는 자애 명상이 우울증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인 함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whether or not self critical students are more vulnerable to depression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 when they are asked to recall after read the three hypothetical scenarios related to failure or mistakes. Furthermore,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is mediated by perceived stress, and is moderated by self compassion. 233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who were divided up into 25% of highly critical students and 25% of low critical student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f depression, perceived stress, and self compa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ly self-critical students were more vulnerable to negative emotion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low self-compassion compared to students who were less critical of themselves. Also, it were presen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is mediated by perceived stress moderated, and is moderated by self compa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lf-criticism has more negative affect including depression through perceived stress, but it can be overturned by the practice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to one's self. Finally, we discu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is research.

전미애(영남대학교) ; 김정모(영남대학교) pp.63-78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이 청소년 수형자들의 공격성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청소년의 공격성과 충동성에 관한 인지치료 모델로 수정보완한 MBCT를 26명의 청소년 수형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10회기(회기당 90분)로 진행되었으며, 마음챙김의 주의집중과 수용, 공격성, 충동성, 우울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참여집단의 주의집중과 수용이 향상되었고, 공격성과 우울이 감소하였으나 충동성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MBCT가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과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마음챙김훈련이 청소년 수형자의 적응적인 수형생활과 재범률 감소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서의 보완점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MBCT) for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of adolescent offender. MBCT was reconstructed for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in other to adapted for adolescent offender, in which the session stretched 10th. After 10 sessions, participant group with 13 participant was compared with waiting group(n=13). To reach the goal we evaluated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aggression, impulsiveness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offender. Results were that participant group have shown reduced their aggression and depression, but not impulsiveness. and they advanced mindfulness skill, particularly observation and acceptance. The last,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methods for maintenance of effect were suggested.

유정헌(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79-93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절망감 이론에서 우울증에 대한 인지취약성 요인으로 제안된 우울생성적 추론양식의 우울증 예측 특정성을 검증하였다. 3개월간의 전향적 종단연구로 우울생성적 추론양식과 부정적 생활사건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절망감 우울증만을 예측하는지 아니면 우울증과의 공존이환율이 높은 불안장애까지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검증결과에서 3개월 동안 경험한 부정적 생활사건은 절망감 우울증과 불안을 모두 예측하였으나, 우울생성적 추론양식과 부정적 생활사건의 상호작용은 절망감 우울증만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따라서 우울생성적 추론양식이 우울증에 대한 위험요인이며, 절망감 이론이 우울증 유발과정을 설명하는 유용한 이론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인지취약성-스트레스 모델의 이론적 관점에서 논의한 후 연구의 제한점과 임상적 함의에 대해 언급하였다.

Abstract

We tested the cognitive vulnerability from hope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for specificity in predicting depression compared with anxiety. In the study, we sought to provide a more rigorous prospective test of cognitive vulnerability-stress model with a long-term(3 months) longitudinal data from female employees.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events were the general risk factors for both anxiety and depression. Cognitive vulnerability for depression interacted with negative events to predict future hopelessness depression specifically but not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ed women were more likely than nondepressed women (1)to attribute negative events to global and stable causes (2)to perceive negative events as having many disastrous consequences, and (3)to view themselves as flawed or deficient after the occurrence of negative events.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백현정(육군사관학교) ; 최미례(육군사관학교) ; 김용주(육군사관학교) ; 고재원(육군사관학교) pp.95-116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관학교 생도들의 성격특성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육군사관학교 생도 199명을 대상으로 입학 전과 3학년 초, 졸업 전의 총 3회에 걸쳐 실시한 표준화인성진단검사의 성격특성 척도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술척도의 경우 활동성과 지배성은 3학년 초와 졸업 전 모두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사려성은 3학년 초에 감소하여 졸업 전까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성은 입학 전보다 3학년 초에 감소하였고, 졸업 전 측정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입학 전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성, 자율성, 성취성은 3학년 초에 감소되다가 졸업 전에는 증가하지만 입교전과 비교했을 때는 여전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척도의 경우 신경증은 3학년 초에 증가하여 그 상태를 졸업 전에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장애와 반사회성은 3학년 초에 증가하지만 졸업 전에 다시 감소하여 입학 전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변화양상결과는 기술척도 중 활동성, 지배성, 사려성, 사회성, 자율성, 성취성은 남녀생도 모두 같은 변화양상을 보였으나 안정성의 변화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척도에서는 남녀생도가 각기 다른 변화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trace personality change patterns of cadets in Korean Military Academy. To achieve this, we analyzed results of the Standardized Personality Diagnostic Inventory of 199 cadets at three times: before entrance(the first wave), beginning of junior cadet year(the second wave), before graduation(the third wave). The result shows that activity and dominance decreased steadily from the first wave to the third wave. Reflectiveness decreased at the second wave and then there was no change until the third wave. Change pattern in emotional stability was simliar to reflectiveness but the amount of decrease at the second wave was larger. There were similar reductions in sociability, autonomy and achievement at the second wave, but those traits showed small increases at the third wave, although the levels were still lower than the first wave measurement. In case of the clinical scales, neurosis scale was increased at the second wave and the level was maintained to the third wave. Psychosis and anti-social behaviors were increased at the second wave, but those measures decreased to the initial level by the third wave. Regarding gender difference, no mean difference was observed in activity, dominance, reflectiveness, sociability, autonomy, achievement scales, except for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clinical scales showed some differential changes by sex.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result.

서경현(삼육대학교) ; 이상숙(시니어서 타워 요양센터) ; 정구철(삼육대학교) ; 김신섭(삼육대학교) pp.117-134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사회비교나 사회비교 대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하남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70명이며, 평균 연령은 76.59(SD=8.35)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노인의 사회비교, 사회비교 대처, 부정 및 긍정 정서,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기 스트레스는 사회비교나 사회비교 대처와는 정적 상관을,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노년기 스트레스와 노인의 주관적 웰빙은 약 14%의 변량을 공유하고 있었다. 한편 노년기 스트레스는 하향비교 대처보다 상향비교 대처와 더 많은 부분의 변량을 공변하고 있었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사회비교 및 사회비교 대처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중재효과보다 매개효과의 가능성을 보였고, 회귀분석에서 사회비교 대처 중에 상향비교만이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그런 매개경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도 확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비교 자체가 아닌 사회비교 대처 중에 상향비교 대처가 노년기 스트레스와 웰빙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 역할을 하며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노인의 웰빙에 대한 상향비교 대처의 매개효과를 선행연구와 한국사회의 집단주의 성향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comparison copings in stresse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270 elderly men and women who were at least 60 years of age whose average of age was 76.59 (SD=8.35). For this study, stresses in senescence, social comparison, social comparison copings, negative/positive emotion,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ess in senesc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comparison copings, and negatively to the subjective well-being. Stresses in senescence accounted for around 14%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The upward comparison coping accounted more variance of stresses in senescence than the downward comparison coping did.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comparison copings rather than moderating effect on stresse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only the upward comparison coping had mediating effect on those two variables. This mediating path was also confirm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upward comparison coping among social comparison copings, not social comparison itself, may plays an role of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es in senescenc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had negatively influenced on quality of life in senescence. It was discuss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upward comparison coping with Korean collectivism and previous studies.

박지희(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 박순권(전주대학교) pp.135-150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9
초록보기
초록

뉴로피드백 훈련이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의 통증,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전 조사에서 측두하악장애 질문지, 시각 아날로그 척도, Pittsburgh 수면의 질 지수 및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 척도를 실시하였다. 측두하악장애 진단을 받고, 턱 통증이 있고, 수면의 질과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 가운데 14명을 뉴로피드백 훈련 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그 후 훈련 집단에 대해 총 20회기에 걸쳐 뉴로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 4주 후 추적 검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뉴로피드백 훈련에 참여한 참가자들이 대기 통제 집단의 참가자들보다 턱 통증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수면의 질 및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더 개선되었으며, 그 수준이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ain reduct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emporomandibular Disorder Questionnaire, Visual Analog Scale(VA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were used for selecting in pre-test. 14 people who took a Temporomandibular Disorder diagnosis and experienced a jaw pai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got a relatively high score in PSQI and OHIP. Then, 14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10 weeks Neurofeedback Training group(n=7) or wait-list control group(n=7). The Neurofeedback training for 7 people was administered for 20 sessions. Jaw pai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and 1-month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ores of jaw pai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the Neurofeedback Trai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wait-list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원두리(충북대학교) pp.151-167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고생 26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용 강점척도(VIA-Youth)를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성격 강점들을 알아본 결과 활력, 감사, 희망, 및 사랑 등의 성격 강점은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활력, 희망, 사랑 및 정직 등은 정서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희망, 사랑, 감사, 학구열, 자기조절 및 용기 등은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마지막으로 희망, 용기, 학구열, 및 공정성 등은 적응적 대처양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와 국내외의 선행연구 결과들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들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를 촉진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함양해야할 성격 강점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the well-being and adaptive coping style among 267 Korean adolescents using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for Youth(VIA-Youth).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 strengths of vitality, gratitude, hope, and love predicted life satisfaction, the character strengths of vitality, hope, love, and integrity predicted emotional well-being, the character strengths of hope, love, gratitude, love of learning, self-regulation, and braver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hope, bravery, love of learning, and fairness predicted adaptive coping style significantly. We discuss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and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character strengths that Korean adolescents need to build for enhancing well-being and the adaptive coping were specified and confirm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지연(연세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 한상원(연세대학교) ; 조상희(연세대학교) ; 정현진(연세대학교) ; 임영재(연세대학교) pp.169-187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기 기형의 대표적인 하위유형인 요도하열과 잠복고환 영유아와 양육자의 심리 사회적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생후 6~38개월 요도하열(103명), 잠복고환(48명)을 대상으로 생식기 기형과 관련한 걱정과 사건 충격, 수치심을 탐색하였다. 이들을 정상통제군(131명) 양육자와 비교하여 영아의 기질과 양육자의 정신 건강, 양육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기제를 비교하였다. 결과, 요도하열군 모는 ‘배뇨와 신체기능’과 ‘출산 능력’을, 잠복고환 모는 ‘마취에 대한 부담’과 ‘출산 능력’을 가장 걱정하였다. 또 요도하열 모는 임상수준의 심리적 충격을 보고하였다. 정상군과의 비교에서, 요도하열 영아는 정상영아에 비해 부정적 정서가 높았고, 잠복고환 영아는 주의 전환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요도하열과 잠복고환 모는 정상군 모보다 대인 예민성이 낮았다. 사회적 지지에서 세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잠복고환 모는 정상군 모에 비해 원가족과의 갈등이 적다고 보고하였다. 요도하열과 잠복고환 모는 정상군 모보다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의 고통은 낮았고, 대처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양육 스트레스 총점이나 까다로운 자녀, 역기능적 상호작용에서는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에 대해 임상적 함의와 연구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with genital anomalies (GA) and their caregivers against normal controls. Participants were female caregivers and infants between the ages of 6to38months diagnosed with hypospadias(HS;n=103) or cryptorchidism (CR;n=49). Normalcontrols(n=131) were recruited and selected via Internet. Caregivers completed measures on parenting stress, coping style, social support, and infant temperament. Within the GAgroups, HScaregivers reported their greatest parental concerns as infant urination/bodily functioning difficulties whereas CRcaregivers reported worries related to surgical anesthesia issues. Both groups reported concern about their children’s potential reproductive problems. Per caregiver report, infants with GA had lower ability to self-soothe. HS infants in particular were perceived as exhibiting greater negative emotion. Compared with controls, HS and CRcaregivers overall employed cop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and had lower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arental distress. However, HScaregivers emerged as experiencing higher stress when compared to the CR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 tal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scores between groups. Further, CRcaregivers reported lower levels of family discord than controls. Despite temperament-related differences between infants with GA and normal controls, HS and CRcaregivers reported lower parental distress and greater use of coping skills as compared to controls.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이경희(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중독예방치유센터) ; 도승이(성균관대학교) ; 김종남(서울여자대학교) ; 이순묵(성균관대학교) pp.189-213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도박이용자들이 어떠한 심리사회적 과정을 거쳐 도박중독에 이르게 되는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박이용자 3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근거이론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위해 도박중독분야 전문가와 임상심리전문가, 질적 분석 전문가 등이 함께 지속적으로 개방코딩과 축코딩, 선택코딩 과정에서 의견을 교환하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범주는 도박의 초기경험, 도박중독진행, 도박중독의 결과로 나뉘어졌으며, 도박의 초기경험을 구성하는 하위범주로는 도박에 빠지게 된 계기, 첫 도박의 결과, 강렬한 정서경험이 있었다. 도박의 초기경험에서 도박에 빠지게 된 첫 계기는 대부분 친구나 학교 선후배, 아는 사람 등 지인을 따라간 경우였으며, 첫 도박의 결과로 돈을 땄고 그와 관련된 긍정적인 평가와 감정을 기억하는 경우가 23명으로 상당수에 이르렀다. 또한 처음 도박을 접하고 희열과 재미 등의 강렬한 긍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박중독진행에서는 하위범주로 도박을 지속하게 하는 동기적 요인과 도박행동의 통제 불가능이 추출되었다. 동기적 요인은 구체적으로 대박생각과 본전생각, 막연한 기대감이 주요개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박중독의 대표적 자각증상은 도박행동의 통제 불가능과 관련하여 ‘자꾸 생각남’과 ‘불안, 초조’라고 답하였다. 또한 도박중단 노력의 실패를 보고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박중독에 이르면 불안과 우울, 고립감, 창피함과 후회스러움 등의 부정적 정서가 강하였고, 성격변화와 기타 범죄충동과 건강악화 등 의 개인내적 문제와 가족과의 갈등과 불화가 심각해지고 일상적인 대인관계가 단절되고 도박친구들만 주위에 남게 되는 가족 및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직업 및 경제적 문제로는 직업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신용불량과 경제적 파탄을 맞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도박중독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의 방향,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have qualitatively analyzed the process of the people addicted to gambling in psychosoci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33 gamblers' 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in ground theory by various experts including problem gambling, clinical psychology, qualitative analysis, and research methodology area. The sociodemographic aspects of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23 males and 13 females, the most prevalent age is from 30 to 40(17 people), and office workers and self-employers are majority in their occupation.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early experience of gambling, the process of gambling addiction, and the consequences of gambling addiction. The sub-categories of early experience of gambling were the momentum of starting gambling, the outcome of first gambling, and strong emotional experience due to gambling. The momentum of starting gambling was the invitation of acquaintance. The 23 people among 33 participants remembered the outcome of first gambling was win the money and appraised the experience positively. When they started the gambling they experienced very strong emotion such as ecstasy, thrill, or fun. In the process of gambling addiction, the motivational thought and inability of control were extracted as sub-categories. The motivational factors were big-win, chasing, and indefinite expectation. Also they reported the typical symptoms of gambling addiction such as the inability of control, irresistible gambling thought, anxiety, irritation, and failure of stopping gambling. As a result of gambling addiction, various harmful consequences had been appeared, the sub-categories of consequences of gambling addiction were personal, familial, and occupational or economical. The personal consequences due to gambling wer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depression, feeling of isolation, shame, and regrets. Additionally character change, crime impulse, or health threat were also reported. Familial consequences were conflict with family, severance in relations, and only gambling friends were remained. The consequences of occupational or economical were inability to keep working, bad credit, or bankruptcy. Compromising above results, the new model of gambling addiction was suggested. The discussion, significance, proposal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also suggested.

전혜연(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전영민(경기 도박중독예방치유센터) pp.215-229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충동조절장애에 속하는 병적 도박자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이 손상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에게 인터넷 중독진단검사를 사용하여 인터넷 중독 성향자 집단 20명과 통제 집단 20명을 선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의사결정의 특징을 알 수 있는 도박과제(Gambling Task), 충동성을 측정하는 연속수행과제(Continuous Performance Task), 반응억제 수준을 측정하는 스트룹 검사(Stroop Test) 그리고 인지적인 유연성과 창의성을 측정하는 단어유창성 검사(Word Fluency)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중독 성향자 집단은 의사결정이나 반응억제 수준에서는 통제 집단과 차이가 없었으나 충동적이고 인지적 유연성이 저하되어 있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중독 성향자 집단이 전두엽 실행기능의 일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추후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impairments in 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 in internet addiction like pathologic gambling in impulse-control disorder. 40 undergraduate students(20 Internet addictive tendency group and 20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four executive function task: Gambling Task(measuring decision-making), Continuous Performance Task(measuring impulsivity), Stroop Test(measuring response inhibition), Word Fluency Test(measuring cognitive flexi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making and response inhibition ability between internet addictive tendency group and control group. But, internet addictive tendency group was more impulsive and poor cognitive flexibility tha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pport some executive dysfunction in internet addiction group.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강성군()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231-241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1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ambling Urge Scale(Raylu & Oei, 2004a). The urge or craving to gamble is a physiological, psychological, or emotional motivational state, often associated with continued gambling.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item property and criterion-related evidence of validity are analyzed for 1,158 adults including local casino employee and customers. The Korean version of the Gambling Urge Scale, in a similar way as the original version, displays a stable one factor structure and high reliability(Cronhach's alpha=.93∼95), showing good convergent validity(level of gambling addiction r=.258∼.587, frequency of gambling behaviors r=.336, irrational gambling belief r=.397, gambling motivations r=.420∼.614, all ps<.001). Findings suggest that the K-GUS is reliable and valid in assessing gambling craving during a gambling addiction studi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research on gambling addiction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