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서현지(부산대학교) ; 심은정(부산대학교) pp.813-834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명시적 및 암묵적 외모거부민감성이 사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만 18세 이상-만 28세 이하의 대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K-SADS)와 한국판 섭식 태도 척도(KEAT-26)를 측정하였다. 명시적 외모거부민감성은 자기보고 외모거부민감성 척도(Appearance-RS)를 사용하였고, 암묵적 외모거부민감성은 암묵적 연합 검사(Implicit Association Test, IA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PROCESS Macro 4.0로 검증한 결과, 첫째, 사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명시적 외모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사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암묵적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불안장애와 섭식장애의 동반이환을 예방 및 완화하는 데 외모거부민감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 total of 178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8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and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K-SADS) and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Explicit and implicit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as evaluated with the self-report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Scale (Appearance-RS) and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PROCESS Macro 4.0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explicit appearance- based rejection sensitivity between social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mplicit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prevent and mitigate the comorbidity of social anxiety disorder and eating disorders may benefit from addressing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박소은(부산대학교) ; 심은정(부산대학교) pp.835-856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반응억제 결함과 지연 할인이 성인 ADHD 증상과 폭식행동의 관계를 병렬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만 18세 이상 28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행동 과제와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18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반응억제 결함은 Go/No-Go 과제로, 지연 할인은 금전 선택 질문지(Monetary-Choice Questionnaire)로 측정하였다. 성인 ADHD 증상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반응억제 결함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높은 성인 ADHD 증상은 높은 반응억제 결함과 관계가 있었고, 이는 높은 수준의 폭식행동과 관계가 있었다. 반면 성인 ADHD 증상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지연 할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높은 성인 ADHD 증상은 높은 지연 할인과 관계가 있었으나, 지연 할인은 폭식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또한 성인 ADHD 성향에 따른 반응억제 결함은 자극 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보편적인 반응억제 결함이 성인 ADHD 증상과 폭식행동을 연결하는 기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response inhibition defic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binge eating in adult. Online-based behavioral tasks and an online survey were conducted for adults aged 18 to 28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and data from 185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response inhibition deficits were assessed with Go/No-Go task, and delay discounting was assessed with the Monetary-Choice Questionnaire (MCQ). The response inhibition deficit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binge eating in adult. In other words, more adult ADHD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more significant response inhibition deficits, which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binge eating. However, delayed discounting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binge eating in adult. More adult ADHD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high delay discounting, but this was not associated with greater binge eating. Furthermore, response inhibition deficits related to ADHD trends in adult did not differ by stimulus type.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generalized response inhibition deficits may be a mechanism linking adult ADHD symptoms and binge eating.

최서윤(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857-869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는 만성통증 환자의 정서적 억제 전략이 통증 표정에 대한 주의 편향에미치는영향을확인하였다. 실험은 만성통증군과 비통증군을 대상으로 각각 인지 재평가 집단 또는 표현 억제 집단으로 분류되어 진행되었다. 실험은 두 단계로 진행이 되었다. 먼저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지시 없이 부정적 정서 유발 영상을 본 후 통증 표정에 대한 주의편향이 측정되었으며, 두번째는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지시를 한 후 부정적 정서 유발 영상을 본 후 통증 표정에 대한 주의편향이 측정되었다. 실험결과, 정서적 억제를 사용한 만성통증 집단은 정서 재평가를 사용한 만성통증 집단에 비해 통증 표정을 더 오랜 시간 보았으나, 비통증군에서는 정서조절 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전략으로 정서적 억제를 사용하는 만성통증자들이 통증 관련 자극에 대해 주의를 더 많이 기울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emotion suppression on attentional bias toward painful stimuli in individuals with chronic pai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chronic pain group (N = 55) and a healthy control group (N = 55), and they were asked to practice one of tw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gnitive reappraisal and emotional sup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ronic pain group that using emotional suppression showed more extended duration of painful expressions than the control group. Using cognitive reappraisal, the chronic pain group exhibited relatively short durations of painful expressions. This suggests that emotional suppression increases attention to pain–related informa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pain. To use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s essential to reduce attention biases leading to a better adaptive daily life.

김민정(성균관대학교)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pp.871-891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상후스트레스(Post-traumatic stress: PTS)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통제소재가 PTS 증상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반추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통제소재(내적통제소재, 외적통제소재)와 반추(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하위요인을 각각 분석에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5명(여성 58%, 남성 42%)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통제소재, 반추, PTS 증상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외적통제소재와 PTS 증상의 관계, 내적통제소재와 PTS 증상의 관계 모두에서 침습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통제소재가 반추를 거쳐 PTS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PTS 증상에 대한 개입 표적으로 통제소재와 반추를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umination identify cognitive mechanisms that underli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tudies, subfactors of locus of control(i.e., internal locus of control,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rumination(i.e.,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were considered in analysis. Participants 295 college students(58% female, 42% male)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 contro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results showed that intrusive ru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between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was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is study contributes to more refined understanding of cognitive mechanisms th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findings suggest that locus of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이선숙(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심리상담센터) ; 신민영(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pp.893-909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화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자기수용에 따른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으로, 총 354명에게 노화, 우울, 삶의 만족도, 자기수용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우울은 노화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여 노화가 심할수록 우울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하락하였다. 둘째, 자기수용은 노화와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 자기수용이 높아질수록 노화가 우울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셋째, 노화가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수용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노화는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노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수용이 낮은 사람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노화는 우울을 증가시켜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이러한 영향은 자기수용이 낮은 노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자기수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The survey measured ag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elf-acceptance in 354 peo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creases as aging deepens, and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depression increases. Second,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depression. As self-acceptance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aging on depression decreases. Third, th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differed depending on self-acceptance,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Consequently, aging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and the lesser the self-acceptance, the greater the negative impact of aging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ing reduces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depression,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lderly with low self-acceptance.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self-acceptanc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김예나(침례신학대학교) pp.911-929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박으로 인한 손실경험에 대한 기억회상과 양측성 안구운동이 도박에 대한 갈망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건화된 처벌이나 위험 단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행동억제체계가 높은 대학생 40명을 선별하여 기억회상 및 양측성 안구운동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정하였으며 최종 31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험은 사전설문(T1), 손실경험을 위한 사전게임(T2), 기억회상 및 양측성 안구운동과제(T3), 사후게임(T4)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T2와 T4후 도박갈망, 게임지속의도,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설문지 측정을 실시하였다. 양측성 안구운동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주의배정 정도, 장면, 생각, 정서 생생함 및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T4후에는 총 배팅금액, 총 충전금액, 총 손실금액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처치집단이 도박집단에 비해 도박과 관련된 장면, 생각, 정서의 생생함과 강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도박 배팅 행동에서 배팅금액, 충전금액, 손실금액 역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치는 도박갈망, 게임지속의도 및 비합리적 도박신념 역시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활용방안,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erimentally determine the effects of recalling memories of gambling losses accompanied by eye movement (EM) on gambling craving and behavioral control. To this end, we recruited 40 college students who sensitively responded to conditioned punishment and risk cues, and assigned them to treatment (Recall + EM) and control groups. Data collected from 31 participant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eps: the baseline questionnaire (T1), the pre-game (to measure baseline loss experiences) (T2), Recall + EM treatment (T3), and the post-game (T4). After T2, T3, and T4, levels of gambling craving, intention to continue gaming, and irrational beliefs of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vividness of scene recall as well as intensity of thought and emo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ikewise, a reduction in the tendencies was observed in gambling behavior in terms of betting, charging, and losses. A significant decrease was also observed in gambling craving, intention to continue gambling, and gambling-related irrational beliefs. The discussion section describes the implications,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김봉구(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931-961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 프로그램이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우울과 스트레스의 감소와 웰빙의 증진에 미치는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MMPT 프로그램의 효과는 MMPT 프로그램 집단, 감사(gratitude) 개입을 중심으로 한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집단 등 세 집단 간 처치 결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각 집단의 구성은 사전에 프로그램 참가를 신청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역학적 우울검사 척도(CES-D)를 활용하여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들을 선정한 후 MMPT 프로그램 집단 13명,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 12명,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집단 13명을 무선방식으로 배정하였다. 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MMPT 프로그램 집단은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과 마음챙김 프로그램 집단에 비해 처치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마음챙김 프로그램 집단은 긍정심리 프로그램 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효과 수준이 높았다. 집단별 개별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 비교에서는 긍정 정서를 제외한 모든 종속변인에서 MMPT 프로그램 집단이 더 큰 효과가 있었다. 프로그램 종료 이후 처치효과의 지속성은 세 집단 모두 유사한 특징을 보였으나, 지속의 정도는 MMPT 프로그램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MPT 프로그램이 심리적 건강 증진에 기여한 점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고려 사항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MMPT program on improving depression and stress in those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well-being. The effects of the MMPT program were measured b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reatment outcomes of the MMPT program group,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 that focused on gratitude intervention,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volunteers who signed up to the programs and scored high on the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Korean version of CES-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MMPT program group(13 participants),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12 participants),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13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outcom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MMPT program group showed higher treatment effects than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 and the mindfulness program group showed overall higher effect than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group. Comparing the effects of each group on the dependent variables,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each dependent variable were observed, except for the positive affect of the MMPT program group. Although the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the long-term treatment effects after the end of this study in all three groups, the effects lasted longer in MMPT program group than the other two groups. Finally, the contribution of MMPT program to the enhanc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was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임현빈(강원대학교) ; 최윤경(계명대학교) ; 이종선(강원대학교) pp.963-983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8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우울과 불안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 및 불안과 관련된 여러 위험 및 보호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리서치 회사에 패널로 등록되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성인 6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링크를 통해 참여자들은 우울, 불안,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코로나-19에 대한 위험 인식, 코로나-19에 대한 정보접촉시간, 삶의 만족도 및 WHO 행복지수에 대한 자기보고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에 비해 30대가 불안, 우울 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둘째,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인식, 코로나-19에 대한 정보접촉 시간이 증가할수록 우울과 불안 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셋째, 삶의 만족도 변화가 긍정적일수록 우울, 불안 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더 낮았으며, 마지막으로 WHO 행복지수가 높을수록 우울 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더 낮아졌다. 이런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olonged prevalence of COVID-19 has significantly in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and variou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COVID-19 have been propos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actually affected depression and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606 adul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e study and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recruiting adults residing in Korea through a research company. A di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participants in their 40s, those in their 30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risk group for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as fear of COVID-19, risk perception of COVID-19, and information contact time about COVID-19 increased, it was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risk group of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the more positive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was, the less likely the participant was to belong to the depression and anxiety risk group, and finally, the highe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ppiness,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to the depression risk grou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서장원(전북대학교) pp.985-997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09
초록보기
초록

자살의 대인관계 이론에 따르면, 자살욕구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자살행동 실행여부를 결정한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두 변인 간 상관관계가 예상과 달리 유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와 자살욕구의 관계를 개인 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성인 601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와 자살사고, 대인관계 관련 자살욕구 특성, 우울, 불안, 정서적 고통 감내력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총 5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다. 이 중 세 집단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보통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낮은 두 집단은 다시 자살욕구가 강한 집단과 약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전자는 우울과 불안 수준이 높고 정서적 고통을 견디는 능력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자는 우울과 불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정서적 고통을 견디는 능력은 평균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살의 대인관계 이론이 가정한 바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다. 다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낮고 자살욕구 수준 또한 높은 사람들이 예상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자살욕구 수준이 높으면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강한 집단은 나타나지 않아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IPTS) suggests that suicidal desire and fearlessness about death are relatively independent. However, recent studies have consistently shown that those two variables are correlated. Thus, this study aimed to deline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desire and fearlessness about death us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601 adult participants. Suicidal ideation, interpersonal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suicidal desire, fearlessness about death, depression, anxiety, and distress tolerance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ive latent groups. Three group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fear of death and two groups showed relatively low levels of fear of death. Of the two groups with low fear of death, one showed high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nd the other showed low levels of suicidal ideation. Participants in the former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lower levels of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 the later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average levels of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These results are broadly consistent with the idea of IPTS. Howev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high risk group(high suicidal ideation and low fear of death) was higher than expected. Moreover, those with strong suicidal desires and high fear of death were not extracted into a clear latent group. These results call for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이주원(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 유정아(건양대학교) ; 송원영(건양대학교) pp.999-1023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1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 ‘사회적으로 혐오스러운 성격’을 측정하는 어둠의 성격 4요소(SD4, Short Dark Tetrad)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혐오스러운 성격’이란, 즉각적인 임상적 기능 손상을 보이지는 않으나, 잠재적으로 기능 장애를 야기할 수 있으며 파괴적인 행동적 징후를 포함하는 성격적 특징인 성격의 어두운 측면을 일컫는다. 이러한 성격의 어두운 측면에 대한 측정은 비임상적 장면에서부터 병리적 양상을 보이는 임상적 장면에까지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 1에서는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 SD4척도를 우리말로 번안하고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한 SD4-K의 통계적 속성을 점검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확인한 한국판 SD4척도를 유관 개념을 측정하는 척도들과 비교하며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1에서는 요인별 일부 문항의 변동이 있으나 원척도와 동일한 4요인(마키아벨리즘, 나르시즘, 사이코패시, 사디즘)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측정 모형의 적합도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한국판 SD4와 유관 개념을 측정하는 척도 사이에서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등에서 일관성이 있고 신뢰할만한 수준의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며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D4 (Short Dark Tetrad) scale, which measures ‘socially aversive personalities' in a domestic sample, and to confirm its applicability in Korea. socially aversive personalities refers to the dark personality that does not show immediate clinical impairment, but is potentially dysfunctional and includes destructive behavioral manifestations. Measurement of the 'dark' aspect of this personality has been carried out in various contexts, from early non-clinical scenes to clinical scenes showing pathological features. In Study 1, the SD4 sca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for a domestic sample and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SD4 were checked by perform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Study 2, the Korean version of the SD4 scale confirmed in Study 1 was compared with those measuring related concepts, and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and reliability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Study 1, although there were variations in some items by factor, the same four factors (Machiavellianism, narcissism, psychopathy, sadism) could be maintained as the original scale, and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stable. In Study 2, convergence and discriminatory validity could be confirmed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SD4 and the scale measuring related concep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cale was consistent and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fit, half-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한규만(경상국립대학교) ; 최지명(경상국립대학교) ; 이민규(경상국립대학교) pp.1025-1036 https://doi.org/10.17315/kjhp.2022.27.6.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한국 건강심리학의 연구주제의 흐름을 확인하여, 건강심리학의 변화를 예측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에 게재된 논문 994편의 논문 제목에서 추출된 1207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를 추출하고, 주제어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주요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 변인 간의 관계 및 확인을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주요 주제어는 정서 및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연구들은 주요 주제어인 정서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predict changes in health psychology and seek development directions by confirming the flow of research topics in Korean health psychology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high-frequency keywords extracts from 1207 from the titles 994 papers titl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for 20 years from 2002 to 2021,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wor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leading research project of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nd confirmation between variables, many studies related to emotion and stress were confirmed to be the main keyword. Second, studi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confirmed that they conducted extensive research focusing on emo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scussion and limitations on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re provid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