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전영민(을지대학교) pp.215-233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1
초록보기
초록

건강 및 중독 영역에서 근거중심 치료법이 중독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인식이 연구자와 임상가 모두에서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비록 역사적으로 행동건강 분야에서 최고의 표준 치료법은 없지만 근거중심 치료법을 배우고 제공해야 하는 과학적이고 윤리적인 이유가 있다.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장애 및 문제성 도박 영역에서의 근거중심 치료법에 대한 고찰연구들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강력한 근거를 갖는 치료법은 단기개입, 동기강화 접근법, 인지행동치료, 지역사회강화 접근법, 행동자기조절훈련, 사회기술훈련, 약물치료였다. 본 연구결과는 훈련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Abstrac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creasingly perceive evidence-based treatment (EBT) as essential for improving treatment effectiveness in the health and addiction fields. Although, historically, it has not been a standard of care in behavioral health, there are sound scientific and ethical reasons to learn and deliver an EBT as it becomes available. This article examined the conclusions of reviews of EBTs from several research group. Best EBTs were brief intervention, motivational approach, cognitive-behavior therapy, community reinforcement approach, behavioral self-control training, social skills training, GABA Agnoist. The study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training and research dissemination efforts.

황현국(강원대학교 심리학과) ; 이인혜(강원대학교) pp.235-253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2
초록보기
초록

병적 도박자들은 충동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ray의 모델에 의하면, 충동적인 사람들은 긍정적인 자극에 강한 반응을 보이지만, 처벌 자극에 대해 둔감하다고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서 충동성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병적 도박자 집단이 긍정적 강화와 처벌 조건으로 구성되는 도박 조건에 따라 피부전도반응(각성 수준)과 도박 행동(배팅 액)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94명의 대학생들에게 K-NODS와 충동성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13명의 병적 도박자 집단과 13명의 정상 집단을 선발하였다. 594명의 대학생들에게 K-NODS와 충동성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13명의 병적 도박자 집단과 13명의 정상 집단을 선발하였다. 실험연구에서, 실험 참여자들은 슬롯머신 게임을 수행하였다. 기저선, 도박 게임의 승, 그리고 도박 게임의 패라는 도박 조건에서 전기피부반응을 측정하였고, 도박 게임의 승과 패 조건에서 배팅 액이 기록되었다. 실험 결과, 각성 수준이나 도박 행동에 대해 도박 조건의 차별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병적 도박자 집단은 승 조건에서 피부전도반응과 도박 행동(배팅 액)에서 정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피부전도반응과 배팅 액을 보였다. 이 결과가 시사하는 바와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kin conduction response(arousal) and gambling behavior(the amount of betting) is different in pathological gambling group(13) and control group(13) during the positive reinforcement(win) as well as punishment(loss). 594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K-NODS and impulsivity questionnaire(BIS-11). 594 undergraduates asked to complete K-NODS and BIS-11. They were divided two group according to th severity of gambling, the experimental subjects(N=26) were selected. 13 subjects were of pathological gambling group, 13 subjects were of normal group.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two groups were administrated a slot machine game. Skin conduction response as the index of arousal and the amount of betting as gambling behavior was measured when participants played a slot machine. This Study was failed to find the differentiated effect of arousal and the amount of betting depending on gambling conditions. However, Pathological gambling group had higher SCR and the amount of betting compared to control group when was exposed to positive stimuli(win og gambling).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황현국(강원대학교 심리학과) ; 이인혜(강원대학교 심리학과) pp.235-253
초록보기
초록

병적 도박자들은 충동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ray의 모델에 의하면, 충동적인 사람들은 긍정적인 자극에 강한 반응을 보이지만, 처벌 자극에 대해 둔감하다고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서 충동성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병적 도박자 집단이 긍정적 강화와 처벌 조건으로 구성되는 도박 조건에 따라 피부전도반응(각성 수준)과 도박 행동(배팅 액)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94명의 대학생들에게 K-NODS와 충동성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13명의 병적 도박자 집단과 13명의 정상 집단을 선발하였다. 594명의 대학생들에게 K-NODS와 충동성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13명의 병적 도박자 집단과 13명의 정상 집단을 선발하였다. 실험연구에서, 실험 참여자들은 슬롯머신 게임을 수행하였다. 기저선, 도박 게임의 승, 그리고 도박 게임의 패라는 도박 조건에서 전기피부반응을 측정하였고, 도박 게임의 승과 패 조건에서 배팅 액이 기록되었다. 실험 결과, 각성 수준이나 도박 행동에 대해 도박 조건의 차별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병적 도박자 집단은 승 조건에서 피부전도반응과 도박 행동(배팅 액)에서 정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피부전도반응과 배팅 액을 보였다. 이 결과가 시사하는 바와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kin conduction response(arousal) and gambling behavior(the amount of betting) is different in pathological gambling group(13) and control group(13) during the positive reinforcement(win) as well as punishment(loss). 594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K-NODS and impulsivity questionnaire(BIS-11). 594 undergraduates asked to complete K-NODS and BIS-11. They were divided two group according to th severity of gambling, the experimental subjects(N=26) were selected. 13 subjects were of pathological gambling group, 13 subjects were of normal group.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two groups were administrated a slot machine game. Skin conduction response as the index of arousal and the amount of betting as gambling behavior was measured when participants played a slot machine. This Study was failed to find the differentiated effect of arousal and the amount of betting depending on gambling conditions. However, Pathological gambling group had higher SCR and the amount of betting compared to control group when was exposed to positive stimuli(win og gambling).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성열(고려대학교) ; 이흥표(대구사이버대학교) ; 허태균(고려대학교) ; 장훈(고려대학교) pp.255-276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박을 종류별로 세분하고 전국 규모의 조사를 통해 병적 도박의 이용율과 유병률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표집은 성별, 연령별, 지역별 층화 표집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총 1,805명이었다. 연구결과,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도박은 화투/카드, 로또, 오락형 온라인 게임 순이었고 병적 도박의 1년 유병률은 3.0(K-NODS)~3.8%(K-MAGS)이었다. 도박종류별로 보면 화투/카드, 로또, 온라인 게임 및 복권의 병적 도박 유병률이 2.1~3.9%였으며 불법 도박의 유병률이 9.1~40.0%, 주식을 포함할 때는 21.1%로 매우 높았다. 사회 전체적 수준에서 피해와 손실 규모를 조사한 결과, 오락형 온라인 게임, 로또, 화투/카드게임 순으로 피해와 손실 규모가 높았으며 주식을 포함하였을 경우에는 주식이 차지하는 사회 전체 수준의 피해와 손실 규모가 가장 높았다. 이와 연관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미 및 한계에 대해 논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divide gambling into different categories and to understand actual condition and participation rate of gambling and the prevalence of the pathological gambling in south-korea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whole country. 1,805 surve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using a stratified sampling based on sex, age, and areas. Results showed that most frequent gambling activities were whatu/card games, lotto, and online gambling games. A yearly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ing was 3.0%(K-NODS)~3.8%(K-MAGS). Among the gambling types, the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ing of whatu/cards, lotto, online games, and other lotteris was 2.1~3.9%. The prevalence of stocks and illegal gambling was highly significant with 21.1%, 9.1~40%. Results of whole social loss from gambling showed online games, lotto and whatu/cards to be in order from low to high respectively. When stocks were included, stocks were the highest in the social loss. The suggestions, significance, and critical points of the current study have been discussed as well.

고선영(성신여자대학교)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277-292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4
초록보기
초록

급성 스트레스 상황에 따른 Type D 성격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심박률 변동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Type DS-14의 점수에 근거하여 Type D 집단(n=23명)과 non-Type D 집단(n=23명)을 구성하였다. 심박률 변동성(heart rate variability, HRV)을 이용하여 기저선, 스트레스 단계 및 회복 단계 동안의 심박활동을 측정하였으며 스트레스 과제로는 Stroop 색채단어 검사가 사용되었다. 반복측정 변랑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심박활동을 비교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Type D 척도와 스트레스 취약성 척도가 기저선 상태에서의 심박활동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Type D 집단은 non-Type D 집단보다 고주파수(high frequency, HF) 활성화가 더 낮았고 저주파수(low frequency, LF) 활성화는 더 높았다. 스트레스 과제 수행 시, non-Type D 집단에서는 교감신경계 활성화 지표(LF component, LF/HF)가 증가하고 부교감신경계 활성화 지표(HF component)가 감소하는 것이 관찰된 반면, Type D 집단에서는 심박활동 비율상의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ype D 척도의 총점수, 부정적 정서 소척도와 사회적 억제 소척도는 기저선 상태에서의 심박활동 반응에 대한 유의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Type D 성격이 non-Type D 성격에 비해 교감신경계 활성화 비율이 높거나 또는 부교감신경계 활성화 비율이 낮음을 시사한다. 즉, Type D가 스트레스에 취약한 성격임을 시사하며, Type D에서 관찰된 심박 활동 양상, 즉 높은 교감신경계 혹은 낮은 부교감신경계 활성화는 Type D 성격이 심장혈관 장애 등을 포함한 정신신체 질환과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pons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individuals with Type D personality during an acute stressful situation. Twenty-three female students of Type D personality and 23 female students with non-Type D personality. Stroop Color-Word Task was used to induce a stressful situati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used to measure the respons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during the baseline, acute stress, recovery periods. To analyze the data,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ompar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the Type D group to that of the non-Type D group.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if the Type D scale and stress vulnerability predicte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Type D group's normalized low frequency (LF norm) and ratio of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LF/HF ratio)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non-Type D group, while its normalized high frequency (HF norm) was lower than that for the non-Type D group in all three period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periods in terms of LF norm, HF norm, and LF/HF ratio in the Type D group.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total scores of the Type DS-14 and scores of social inhibition and negative affect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LF norm and HF norm during the baseline. The Type D group showed increased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or decreased activation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Type D personality is vulnerable to the stress. Also, the highly activated sympathetic and/or lowly activated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s, which were observed in the Type D group during the baseline, indicated that the Type D individual is susceptible to psychosomatic disorders.

이인혜(강원대학교) pp.293-311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5
초록보기
초록

건강과 질병에 대한 왜곡된 신념과 태도는 건강염려증으로 발전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강염려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성격특성들을 중심으로 성격과 질병에 대한 태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질병태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성격특성은 무엇인지를 확인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남녀 대학생 607명에게 5요인 성격검사(NEO-PI-R), 불안민감성 척도(ASI), 질병태도 척도(IA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민감성과 신경증성은 건강염려증적 질병태도와 정적으로 그리고 외향성, 원만성 및 성실성은 건강염려증적 질병 태도와 부적으로 상관을 보여 성격특성과 질병태도는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경증성과 불안민감성 중에서도 신경증성보다 불안민감성이 건강염려증적 질병태도와의 상관계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도 건강염려증적 질병태도 전체에 대해 불안민감성의 하위 요인인 ‘심장혈관계 및 위장계 증상에 대한 두려움(AS-3)’의 설명력이 40.7%로 나타나 신경증성 3.6%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건강염려증적 질병태도 중 고차요인 1(‘질병에 대한 집착’)에서는 불안민감성 전체 점수(AS)가 44.3%의, 그리고 고차요인 2(‘건강에 대한 염려’)에 대해서는 AS-3이 6.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 결과는 건강염려증적 질병태도 중 더 병리적인 태도에서는 AS 전체 점수가, 그리고 덜 병적인 부분에서는 AS-3이 보다 설명력 있는 성격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건강염려증 발생에 성격 같은 개인차 변인이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Abstract

Hypochondriasis is defined as a preoccupation with fears of having, or the idea that one has, a serious disease based on a misinterpretation of one or more bodily signs or symptoms. It is well known that one's distorted attitudes and beliefs about illness are essential features in developing hypochondriasi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 relationship of hypochondriacal illness attitudes, Preoccupation to Illness and Concern to Health, in connection to Five-Factor Personality Model and Anxiety Sensitivity. And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ost predictive personality factor in explaining hypochondriacal illness attitudes among Korean non-clinical sample. 607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NEO-PI-R(Costa & McCrae, 1992), the Anxiety Sensitivity Index- Revised(Taylor1998), and Illness Attitudes Scale(Kellner, 1986).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previously observe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Neuroticism and Anxiety Sensitivity, and hypochondriacal illness attitudes, and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hypochondriacal illness attitudes. Anxiety Sensitivity was a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general hypochondriacal concerns, and especially of Preoccupations to Illness, that is the higher order factor of the I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hypochondriasis lies on a continuum and represents a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such as personality factors.

최지순(아주대학교) ; 조선미(아주대학교) ; 임기영(아주대학교) ; 김찬(아주대학교) ; 한경림(아주대학교) pp.313-327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은 사지의 외상이나 신경손상, 골절, 뇌졸중, 척수손상, 심근경색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이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으나, 발병 및 경과에 있어 심리적인 요인이 많이 관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여자는 102명의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들이었고, 이들의 인구통계학적 자료들, 질병행동질문지, 다차원 건강 통제척도, 통증대처전략질문지, MMPI T 점수결과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들의 MMPI 프로파일은 세 개의 하위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즉 군집 Ⅰ은 Hs와 Hy가 상승된 전환 V형태를 보였으며, 군집 Ⅱ는 비교적 정상프로파일을 보이는 집단으로 군집 Ⅲ에 비해 내적통제를 더 많이 나타냈다. 군집 Ⅲ은 신경증 세 척도(Hs, D, Hy)와 함께 정신증 세 척도(Pa, Pt, Sc)가 동시에 상승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병행동 특성에 있어서 건강염려, 질병확신, 감정억제, 정서적 혼란감 척도에서 다른 하위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처방식에 있어서는 군집 Ⅱ에 비해 재앙적 사고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의 심리치료에 있어서 이들 하위유형군 간의 적절한 치료적 접근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일부 환자의 경우는 정신과적인 치료적 개입과 함께 통증대처전략을 수정시키는 훈련 프로그램이 치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CRPS refers to neuropathic pain disorders developing as a disproportionate consequence of painful trauma or a nerve lesion affecting the limbs or a bone fracture, or as a consequence of a remote process like stroke, spinal cord injury or myocardial infarction. Although CRPS mechanism for the disease is still controversial, its onset and progress are widely known to be related to psychological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02 patients suffering from CRPS. Their demographic data, responses to the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 (IBQ),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MHLC) and coping strategies questionnaire (CSQ), and their MMPI T scores were analyzed. Multivariate clustering analysis divided the patients' MMPI profiles into three homogeneous subgroups. Group I was characterized by 'conversion V' pattern with elevated Hs and Hy scores. Group II showed relatively normal profiles, but had more internal control than group III. Group III showed simultaneous increases in Hs-D-Hy scores and Pa-Pt-Sc scores. It also acquired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subgroups in illness behavio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hypochondriasis, disease conviction, affective inhibition and affective disturbance. Besides, with respect to a way to handle the pain, group III displayed more disastrous thinking than group II. In conclusion, an appropriate therapeutic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 group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sychological treatment of patients suffering from CRPS.

송지연(가톨릭대학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329-343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문화특수증후군으로 알려진 가해염려형 사회불안과 특정 사회문화적 변인들, 특히 체면, 눈치, 문화적 자기관과 같은 변인들 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사회문화적 변인들의 영향력이 가해염려형 사회불안과 DSM에서 정의하는 사회불안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해염려형 사회불안은 체면, 주는 눈치, 보는 눈치, 독립적 자기관, 상호의존적 자기관, 우울, 삶의 만족도 등 모든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DSM 사회불안은 보는 눈치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에서는 DSM 사회불안 수준의 영향을 통제한 후 체면과 주는 눈치가 가해염려형 사회불안증상의 변량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가해염려형 사회불안 수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는 독립적 자기관, 상호의존적 자기관, 체면이 DSM 사회불안 증상의 변량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이 결과들은 체면 및 눈치, 특히 주는 눈치가 가해염려형 사회불안과 독특하게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ocial anxiety with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and sociocultural variables. 56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such as Tajin Kyofusho Scale(TK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 Che-myeon Scale, Nun-chi Scale, Self-Construal Scale(SC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TKS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ll variables, and SAD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ll variables except bo-neon nun-chi.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che-myeon, ju-neon nun-chi,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redicted the variance of TKS. On the contrary, Che-myeon,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redicted the variance of SAD.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e-myeon and nun-chi, esp. nun-chi may be an important sociocultural factor to influencing social anxiety with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박군석(성균관대학교) pp.345-362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8
초록보기
초록

한국 사회가 고령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노인들의 생존 및 사망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202명이 본 연구의 대상이었다. 그 결과, 17개 질병 각각의 경험 상태는 생존집단과 사망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자존욕구의 충족, 정적정서 등 14개 사회심리 요인들을 중심으로 두 집단을 판별한 결과 67.9%의 정확분류율을 보였다. 한편 생존집단과 사망집단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을 각각 설명해보고자 13개 요인들을 단계별로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존집단의 주관안녕은 경제상태, 부적정서, 자존욕구의 충족이란 3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고(70.9%), 사망집단의 경우에는 과거질병 요인이 추가되어 전체적으로 60.8%를 설명하였다. 생존집단의 신체건강 지각에는 과거질병과 경제상태 요인 외에 운동행동 요인만이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며(44.7%), 사망집단의 경우에는 과거질병, 경제상태 및 부적정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45.6%).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ath and the existence of elders in Korea in the stream of the rapid change into the aging socie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t different about the experience of 17 diseases discriminated between the group of the death and of the existence. When 14 factors, such as, fulfillment of social and self-esteem nee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etc.,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increased upto 67.9%. To explai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for both the death and the existence group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13 factors was implemented. Economic statu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fulfillment of social and self-esteem need significantly explained the subjective well-being (70.9%) for the existence group, and past illness was added (60.8%) for the death group. The perception of the physical health for the existence group was explained by only economic status and marital satisfaction (44.7%), whereas illness, economic status,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had the explanation variance (45.4%) for the death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proposed.

김별님(강원대학교) ; 이인혜(강원대학교) pp.363-382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감사 성향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기초점주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감사 훈련이 자기초점주의 및 우울 감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661명을 대상으로 감사 성향, 자의식 및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및 분석을 하였고, 이중 우울점수 상위 15%인 82명의 학생들을 선별하여 감사 처치가 자기초점주의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3가지 실험조건에 무선할당 되었고(감사, 목표, 일상) 이들이 평정한 자유반응기술과 우울기분질문지(Brunel Mood Scale)는 자기초점과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감사 집단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경험한 감사사건을 기록하는 과제와 고마움을 느꼈던 대상에게 감사편지를 쓰는 과제를 수행하였고, 목표 집단은 경험한 목표달성 사건을, 그리고 일상집단(플라시보 통제집단)은 아주 일상적으로 행동하는 일들을 기술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질문지 연구결과,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감사 성향과 우울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부적 상관을 보일 것이라 기대했던 감사 성향과 자기초점주의는 오히려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고 감사 성향과 우울에 대한 중재변인이나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던 자기초점주의는 회귀분석 결과 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 처치가 자기초점주의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실험연구는 감사 처치가 우울 기분을 낮추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해 주었다. 그리고 감사 집단은 목표 집단과 일상 집단과 달리 처치 후 자기에 대한 관심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타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감사 감정이 기타 긍정적 정서와는 달리 타인지향적 특성을 갖는다는 선행연구들을 지지해 주었다. 종합적으로 질문지 연구와 실험 연구의 결과는 감사가 자기초점적 특성과 타인지향적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감사 지각에 두 단계의 정보처리 과정이 관여 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elf-focused attention in the relation between gratitude-disposition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 data on gratitude-disposition, self-consciousness, and depression from 661 university students. Of these, 82 people with high depression score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al study, and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intervention conditions (gratitude, goal, or everyday event writing). Participants in the gratitude condition performed grateful or thankful event record and letter of thanks. But participants in the goal condition wrote down accomplished goal events in life, and in everyday condition were to write down events of everyday living. Self-focus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free-writing and Brunel Mood Scale. The questionnaire data showed that gratitude and depress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but, contrary to expectation, gratitude and self-focused atten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The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focused attention did not show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gratitude and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data, depressive-mood scores decreased in the gratitude condition group that was given, gratitude intervention. In this group, the focus of others increased, but the focus of self was unchanged. Therefore, the current result is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reporting that the other-focused feature of gratitude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ositive emotions. Overall, the present findings support the suggestion that gratitude includes self-focused and other-focused features

김유정(삼육대학교) ; 서경현(삼육대학교) pp.383-402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 차원에서의 충동성이나 STAXI와 NAS로 측정한 분노 및 분노조절이 데이트 폭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543명의 성인 남녀(남: 219, 여: 324)이고, 그들의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59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Straus의 갈등책략척도(CTS), 아이젱크성격검사(EPS),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 Novaco 분노척도이다. 분석 결과,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을 더 많이 보고하였다. 데이트 폭력 미경험자나 피해 경험만 있는 사람보다 가해와 피해 모두를 경험한 사람이 충동성 검사와 두 분노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 모두를 경험한 사람들은 미경험자보다 STAXI의 특성 분노 수준이 높았고 분노도 더 많이 표출하고 있었다. NAS의 경우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 모두를 경험한 사람들은 미경험자보다 지나치게 의심을 하는 경향이 있었고, 행동 및 각성 영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게다가 분노의 인지 영역은 단지 남성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STAXI에서는 분노 표출이 NAS에서는 분노의 간접적 표현이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의 가장 많은 변량을 설명하고 있었다. 데이트 폭력 가해에 대해서는 STAXI와 NAS의 설명력이 비슷하였고, 데이트 폭력 피해는 NAS의 설명력이 STAXI보다 컸지만 그 차이는 주목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트 폭력의 예방과 중재를 모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impulsivity as a personality trait, anger and anger regulation assessed by STAXI and NAS to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543 Korean adults (219 males and 324 females) who had the experience of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59.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traus' Conflict Tactics Scale (CTS), Eysenck Personality Scale (EPS), Spielberger'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The Novaco Anger Scale (NAS). Results revealed that male subjects reported more frequently experience of receiving dating violence than female did. People with experience of both inflicting and receiving of dating violence showed higher anger scores as well as more stronger impulsivity than those who never experienced it and the only victims. They revealed higher trait anger and anger-out in STAXI than those who never experienced it. In NAS, although they were cognitively more suspicious than others,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on behavior and arousal domai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omain of anger and male's inflicting dating violence only. Anger-out in STAXI and indirect anger expression in NAS accounted for the most variance of inflicting and receiving dating violence. STAXI and NAS accounted for almost same level of the variance of inflicting dating violence, and NAS accounted little more for the variance of receiving it.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e useful information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s.

박남숙(전북대학교) ; 강혜자(전북대학교) pp.403-418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고 경험 운전자와 무사고 운전자의 정서, 인지 및 행동반응을 비교하고 이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전경력이 1년 이상인 일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위험이 있는 운전상황을 시나리오로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경험할 수 있는 정서, 인지 및 행동들이 기술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343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과 t검증 및 상관분석을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정서요인은 분노와 불안, 인지요인은 상대비난과 자기비난, 행동요인은 공격적 반응양식과 방어적 반응양식의 하위요인들로 각각 구분되었다. t검증의 결과를 보면, 인지요인에서 사고자가 무사고자보다 상대비난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요인에서 사고자가 무사고자보다 방어적 반응을 유의하게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분노는 상대비난 및 공격적 반응과 각각 정적상관이 유의하였고, 불안은 상대비난, 자기비난 및 방어적 반응과 각각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상대비난은 공격적 반응과, 자기비난은 방어적 반응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방어적 반응과 불안 간의 상관은, 어느 정도의 불안이 안전운전에 다소 도움이 될 가능성을 추론하게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of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responses between the car accident experienced drivers and the accident-free drivers when facing car accident scenario. The respondents with driving experience above a year were asked to rate the experienced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in driving scenario. Responses of 343 participants had been analyzed factor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In factor analysis, 2 factors were showed in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responses, respectively: anxiety and anger in emotion, other-blame and self-blame in cognition, and aggressive responses and defensive responses in behavior. In t-test, the car accident experienced drivers have more other-blame than accident-free group.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blame. In behavior responses, the accident experienced group reported more of defensive responses than the accident-free drivers. In correlation analysis, anger was correlated with other-blame and aggressive responses, respectively. Anxiety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ther-blame, self-blame, and defensive responses, respectively. Other-blame was correlated with aggressive responses and self-blame was correlated with defensive responses.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level of anxiety may be effective in safe driving.

소원현(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pp.419-432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1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overall and specific negative emotions affecting eating behaviors, especially, binge eating.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influence of each specific negative emotion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on binge eating of bulimics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then conducted a laboratory experiment in order to clar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inge eating and anxiety. With 357 results of BULIT-R, K-EAT, DEBQ, and EES tests, this study first showed that negative emotion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inge eating. Moreover, it also demonstrated that anxiety was the most influential negative emotion that affected eating behaviors by bulimic and normal eaters. The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52 participants in order to examin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binge eat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bulimic eaters eat more when they are irritated or worried, but normal eaters eat less in the same situation.

이철호(법무부 진주교도소) ; 정정숙(한국국제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433-448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1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or effects in the influence of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pression.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Busan, and Gyeonggi in Korea. They completed a package of measure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self-esteem scale, irrational beliefs test, Korea depression scale. Participants who did not answer any questionnaire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final sample size was 339. Female adolescents scored higher on depression and male adolescents scored higher on self-esteem.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althoug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didn't have an 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is result suggest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fluence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s. The self-esteem was the most significant means of predicting adolescent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문미숙(안성병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449-464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긴장형 두통환자의 몰입 수준에 따른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점진적 이완훈련을 통한 두통감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행해졌다. 몰입은 자신의 자각과 상상적이고 관념화된 역량을 전체 주의를 몰두하게 해주는 개인의 재능이다. 두통진단질문지를 통해 긴장형 두통 환자로 입증된 32명의 참여자들이 무선적으로 네 집단에 할당되었다; 고몰입(바이오피드백 훈련집단, 점진적 이완훈련집단), 저몰입(바이오피드백훈련집단, 점진적 이완훈련 집단). 2회기의 기저선 전두엽 EMG 수준이 2주동안 측정되었다. 바이오피드백 집단은 7주동안(8회기) 청각 피드백을 이용하여 근육활동을 좀 더 낮추라는 지시와 함께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받았다. 점진적 이완 훈련 집단은 7주동안(8회기)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 절차가 녹음된 테잎을 들었다. 추적회기에서는 2회기의 전두엽 EMG 수준이 2주 동안 측정되었다. 모든 참여자들은 모든 치료 단계동안 두통일지를 기록하도록 요청되었다. 고몰입 집단에서는, EMG바이오피드백 훈련보다 점진적 이완훈련 후에 유의하게 더 두통감소를 보였다. 저몰입 집단은 EMG바이오피드백 훈련 후에 유의하게 더 두통감소를 더 보였다. 처치방법에 따른 이러한 차이의 이유가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제안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EMG Biofeedback Training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on headache reduction in tension headache patients' absorption capacity. "Absorption" is the ability of a person to immerse his or her awareness and imaginative and ideational capacities into periods of total attention. Thirty-two subjects, proved to be tension headache patients through Diagnosis Questionnaire, were divided randomly into four groups: Biofeedback group in high absorption, and relaxation group in low absorption. Baseline frontalis EMG level of 2 sessions was measured for 2 weeks. Biofeedback groups receive contingent EMG feedback with instruction to lower there muscle activity level using the auditory feedback for 7 weeks(8 sessions). Relaxation training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tape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procedure for 7 weeks(8 sessions). Follow up frontalis EMG level of 2 sessions was measured for 2 weeks. All subjects were required to record their daliy headache level for all treatment stages. Groups in high absor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than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s in low absorp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EMG biofeedback training. Groups in high absor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llowing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than EMG biofeedback training. Reason for these differences in responsiveness to the treatment were discussed. Finally, implications, restrictions and sugges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이지연(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465-480 https://doi.org/10.17315/kjhp.2009.14.2.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아토피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성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의 생활 스트레스, 상태 불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J 지역 피부과 외래환자와 광고를 통해 201명의 성인 아토피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 척도, 상태 불안 척도 및 피부과적 삶의 질(Skindex-29) 척도를 실시하여, 각 척도에서 상위 20%에 해당되는 피험자들(생활 스트레스, 48; 상태불안, 41; 피부과적 삶의 질, 71)을 선별하였다. 총 20명의 피험자들 중 10명은 성인 아토피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에, 나머지 10명은 대기 통제 집단에 배정 하였다. 성인 아토피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은 총 11회기로 1주 2회기씩 진행되어 총 6주 동안 실시되었고 4주 뒤에 추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인 아토피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 환자들은 생활 스트레스, 상태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피부과적 삶의 질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대기통제집단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Life Stress, State Anxiety and Dermatological Quality of Life in Adult Atopic Dermatitis Patients. Participants are Adult Atopic Dermatitis who selected by Daily Hassles Scale for Korean Worker,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and Skindex-29. Pati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assigned to 10 in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Group and 10 in the Waiting List Control Group.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Atopic Dermatitis Patients was administered for 11 sessions. Then 4 weeks later post test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Life Stress, State Anxiety of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waiting list control group. Also, Dermatological Quality of Life of therapy group were increased more than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