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경미(연세대학교) ; 한상원(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pp.1-25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1
초록보기
초록

의학기술의 발달로 요도하열의 성공적인 수술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외과교정수술로 완벽한 성기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요도하열이 심리성적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66년부터 2009년 사이에 출판 되었던 심리사회적 기능, 심리성적 발달 그리고 요도하열의 부모의 적응에 대해 발표된 논문 결과를 개관하였다. 비록 연구 수는 제한되었지만, 현재까지 축적된 심리사회적 자료는 요도하열 환자가 상대적으로 사회적 유능성이 낮고, 이성과의 접촉에서 위축되거나 적극적이지 못한 등 사회적으로 소극적임을 보인다. 그러나, 환자가 성기 외형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적응이 좋음을 보여준다. 요도하열의 심리성적 발달에 대한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해 결론을 내리기 어렵지만, 적어도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는 요도하열 환자들이 성기능의 문제, 성기 외형에 대한 불만, 그리고 성행동이 제한되어 성정체감 발달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요도하열 부모는 아동의 남성성에 불안을 보이며 장애를 비밀로 유지하려고 하고, 아동의 적응을 긍정적으로 보고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 역시 연구 수가 제한되어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본 개관은 요도하열의 심리적 적응과 관련된 추후 연구방향을 비롯해, 환자와 가족의 적응을 돕기 위한 몇 가지 지침을 알려준다.

Abstract

Thanks to medical research, we now have available effective surgical procedures for treating individuals with hypospadias. Despite the availability of such medical procedures, ver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wards examining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hypospadias, particularly those post-surgery that may be associated with positive follow-up and long-term patient outcomes. In the present paper, we reviewed published articles between 1966 and 2009 in order to identify relevant psychosocial functioning, psychosexual development and parent-related issues associated with hypospadias. Although few in number, research studies have shown that persons with hypospadias report lower levels of social competence, and higher social anxiety than normal controls. Accumulating psychosocial data have also shown that patient self-appraisal of genital appearance is a critical component of positive psychosocial outcomes, following a corrective procedur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ake conclusive statements regarding the psychosexual adjustment among persons with hypospadias based on current research, it has been reported that persons with hypospadias tend to be less sexually active in relationships and less satisfied with their sex life and genital appearance. Their parents also show higher level of anxiety regarding their masculinity and display a tendency to discount their problem behaviors. Findings from the present review addresses the influences of psychosocial variables on hypospadias, which includes factors associ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outcomes, as well as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utilizing this knowledge to increase psychological services, following medical surgical procedures for hypospadias.

김지연(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27-4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C 대학교의 500명 이상의 남녀 대학생들 중 기능성 소화불량증 진단 준거에 맞는 24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최종 선발된 24명은 MBCT 집단 (12명), 통제 집단 (12명)에 각각 무선할당 되었으며, MBCT 프로그램은 10회기로 실시되었다. 참가자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위장관련 삶의 질은 사전 검사, 사후 검사 및 1개월 추적 검사 기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 치료 집단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위장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더 개선되었으며, 그 수준이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symptoms, worry, an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functional dyspepsia. Among five hundred college students, twenty four people who met the diagnosis criteria for functional dyspeps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first of which received 10 weeks of MBCT (n=12), whereas the second was the control group (n=12) and received no MBCT. At pretreatment, the end of treatment, and at 4 week follow-up periods, all participants completed an Index of Dyspepsia Symptoms-Korean (IDS-K), a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and a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NDI-K). MBCT was administered for 10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Dyspepsia symptoms and worry of the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gastrointestinal-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therapy group improved also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ill also be discussed.

김지연(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27-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C 대학교의 500명 이상의 남녀 대학생들 중 기능성 소화불량증 진단 준거에 맞는 24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최종 선발된 24명은 MBCT 집단 (12명), 통제 집단 (12명)에 각각 무선할당 되었으며, MBCT 프로그램은 10회기로 실시되었다. 참가자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위장관련 삶의 질은 사전 검사, 사후 검사 및 1개월 추적 검사 기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 치료 집단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위장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더 개선되었으며, 그 수준이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symptoms, worry, an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functional dyspepsia. Among five hundred college students, twenty four people who met the diagnosis criteria for functional dyspeps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first of which received 10 weeks of MBCT (n=12), whereas the second was the control group (n=12) and received no MBCT. At pretreatment, the end of treatment, and at 4 week follow-up periods, all participants completed an Index of Dyspepsia Symptoms-Korean (IDS-K), a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and a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NDI-K). MBCT was administered for 10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Dyspepsia symptoms and worry of the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gastrointestinal-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therapy group improved also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ill also be discussed.

이희영(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43-63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이 우울 증상이 있는 여자대학생의 우울, 자살사고, 삶의 의미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참가자는 BDI 점수가 10점 이상이면서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나 음주ㆍ약물 의존 문제가 없는 일반대학생이었다. 본 연구에는 프로그램 집단 8명과 통제집단 9명이 최종적으로 참가하였으며, 측정에는 자살사고 척도(SSI), 삶의 의미 척도(PIL), 삶의 만족 척도(SWLS), 삶의 기대 척도(LSES), 수용 행동 척도(AAQ), 우울 척도(BDI-I),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PANAS),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KIMS)를 사용하였다. MBCT의 주요한 효과 기제인 마음챙김과 심리적 수용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마음챙김(전체), 마음챙김(비판단적 수용) 및 심리적 수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의 우울, 자살사고,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삶의 기대,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MBCT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MBCT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삶의 기대, 부정 정서 및 마음챙김(집중행동)의 변화가 유의한 수준에 근접하였다. 그러나 자살사고, 긍정 정서, 마음챙김(주의집중), 마음챙김(기술)에서의 유의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MBCT가 비임상집단인 일반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수용 수준을 증진시키고 우울 수준을 경감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suicidal thought, depression, emotion, purpose in life and well-being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17 female college students, who showed the BDI score of above a 10, but no other psychiatric symptoms or substance-related disorde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MBCT group (n=9) or the control group (n=8). The MBCT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per week, over 8 week period, and each session lasted for 70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core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mindfulness (total) and mindfulness (accepting without judgment) in the MBCT group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lief in depression in the MBCT group. Besides, the improvement of purpose in life, satisfaction with lif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negative affect and mindfulness (acting with awareness) in the MBCT group approached the level of significan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suicidal thought, positive affect, mindfulness (observing) and mindfulness (describing).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BCT program can help depressive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윤병수(영남대학교) pp.65-77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집중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이 뇌의 주의체계(배측체계와 복측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명상 수련경험이 평균 4.0년인 9명의 실험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뇌의 주의체계의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EEG를 기록하고 이것을 sLORETA 분석을 하였다. 먼저, 기저선 2분을 측정하고 각각 5분간 집중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을 수행하는 동안 EEG를 기록하였다. 명상의 순서는 균형을 맞추었다. 연구의 결과에서 집중명상과 마음챙김명상 모두 대뇌의 활성화를 감소시켰다. 집중명상과 마음챙김명상과 각 기저선과의 차이에서 확인된 것은 마음챙김명상은 상대적으로 전측 대상회와 하전두회 그리고 안와전두회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집중명상의 경우는 안와전두회만 상대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가 갖는 의미는 논의에서 논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entration meditation and mindfulness meditation on attention systems of the brain. Subjects were 9 male and female experts of meditation, who trained for the mean of 4.0 years. EEG was recorded during a 5min concentration meditation and mindfulness meditation, with a 2min baseline, individually. In sLORETA analysis, both meditations suppressed the brain activity. Mindfulness meditation was relatively activated in the anterior cingulate, inferior frontal gyrus, and orbitofrontal cortex,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areas of the brain. However, concentration meditation was relatively activated only in the orbitofrontal cortex compared to the of the areas of the brain. Implication for this result was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김완석(아주대학교) ; 전진수(이수심리상담센터) pp.79-98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effects of K-MBSR on levels of mindfulness, psychologic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2) the relationships between home practice and the amounts of changes in mindfulness, psychologic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K-MBSR, and 3) the moderating role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Korean versions of FFMQ, BSI, and EORTC QLQ‐C30 were used to measure mindfulness, psychologic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K-MBSR in a sample of 57 adults in a clinical K-MBSR program. The amount of practice at home was calculated based on participants' self-report, and motivations for of participating in K-MBSR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two categories either for reducing personal suffering or for career development based on pre-program interview data.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mindfulness ability, especially in subscales such as observation, describing, non-judgment, and non-reactivity. The GSI score and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subscale scores of BS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suggesting that participating in K-MBSR leads to reductions in psychological symptom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dex (Core-30), and psychological function, evaluation of one's health, and evaluation of one's quality of life were all significantly increased as well. The amount of home practice didn'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anges of mindfulness levels, psychological symptoms, or quality of life during 6 weeks of the K-MBSR program.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self-healing group whose main purpose was to reduce personal suffering, showed greater salutary effects in most dependent variables than the career-development group, whose main purpose was developing careers as mindfulness professionals.

송수미(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유재호(동아대학교) pp.99-121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슐린-의존형 당뇨병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문제를 완화 및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절충적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4학년 사이의 인슐린-의존형 당뇨병 아동 17명과 어머니 17명으로 실험집단 5쌍, 비교집단 5쌍, 통제집단 7쌍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절충적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한 집단에서 어머니와 아동의 부모-자녀관계가 향상되었고, 아동의 총문제행동, 외현화문제행동, 우울/불안감이 감소하였으며, 아동의 내적 통제소재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척도인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 역시 향상되었다. 아동 자신이 보고하는 치료순응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어머니가 보고한 치료순응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인슐린-의존형 당뇨병 아동의 대사조절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 수치(HbA1C level)도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절충적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인슐린-의존형 당뇨병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입증하였으며 치료순응과 대사조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spected the effect of eclectic filial therapy on children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IDDM), and showed that the improved psychosocial adjustment affects treatment adherence and metabolic control of the children with IDDM in this study. Sevent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nging from first-grade to fourth-grade,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ve pairs of experimental groups, five pairs of comparative groups, and seven pairs of control group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eclectic filial therapy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hildren diagnosed with IDDM in strengthen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children's total behavioral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depression/anxie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Second, then children's internal loci of control,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self-control (which is a subscale of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ird, treatment adherence reported by mothe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reatment adherence reported by children did not show any noteworthy change. Last, the HbA1C level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ch indicates that metabolic control was improved.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eclectic filial therapy is an effective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psycho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with IDDM and also found out that this therapy can affect treatment adherence and metabolic control.

정성진(삼육대학교) ; 장성숙(가톨릭대학교) ; 서경현(삼육대학교) pp.123-14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에서 상처 받은 사람이 경험하는 용서과정에 근거하여 용서과정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경순의 용서과정 모형을 근거로 총 60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연구에서 내용타당도 점검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이 추출되었다. 6개 요인은 증오기, 고투기, 안정기, 재정의기, 용서기, 성숙기로 명명하고 각 요인 당 5문항씩 총 30개의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전체문항과 하위요인들 모두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다. 개발된 용서과정 척도의 타당도 분석은 네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용서과정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요인 구조는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수렴타당도 분석 결과, 용서과정 척도의 하위요인은 Rye 용서 척도(FS) 및 한국인 용서 척도(KFS)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용서과정 척도의 점수는 용서 수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준거관련타당도 분석 결과, 용서과정 척도의 하위요인들은 분노, 불안,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서과정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닌 도구임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which is based on the process of forgiveness experienced by people who were hur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an attempt to find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oping methods in each phase of the Forgiveness Process. For this purpose, three interrelated studies have been performed. Study 1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based on the Process of Forgiveness Model by Lee, Kyoung-Soon.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ix factors have been derived: ‘Hatred,’ ‘Struggle,’ ‘Stabilization,’ ‘Redefinition,’ ‘Forgiveness’ and ‘Maturing.’ Five items for each of these factors, thirty in total, have been formulated.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reasonable fit index for 6 factors of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Convergent validity with the Rye Forgiveness Scale (FS) and the Korean Forgiveness Scale (KFS) was verified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reliably differentiated upper forgiveness level group from lower forgiveness level group. As a result of concurrent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is, sub-factors of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이효윤(강원대학교) ; 이인혜(강원대학교) ; 성주헌(서울대학교) pp.143-163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란성과 이란성 쌍둥이 및 쌍둥이 가족들을 대상으로 공포증, 공황장애 등 불안 장애의 핵심 기제를 잘 설명해주는 정신병리 개념인 불안민감성의 유전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우울, 알코올의존, 니코틴의존에 대한 불안민감성의 유전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불안관련 심리적 장애들의 유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부산, 천안지역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일란성(278쌍), 이란성(80쌍) 쌍둥이 및 그들의 직계가족 835명, 총 155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자 모두 한국판 불안민감도 지수 확장형(ASI-R), 한국판 우울척도(CES-D), 알코올중독 자가진단 검사(AUDIT) 및 니코틴의존도 평가(FTND)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이들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불안민감성에 대한 일,이란성 상관분석 결과 일란성이 이란성 보다 높게 나와 불안민감성의 유전적 영향력을 시사해 주었으며 이를 근거로 불안민감성 전체와 불안민감성 하위요인에 대해 실시한 유전율 분석결과 불안민감성 전체 유전율은 약 20% 정도로 나타났다. 불안민감성의 하위척도별 유전율은 심혈관위장계 감각염려가 21%정도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사회적 염려(19%), 호흡계 감각염려(16%), 심리적 염려(13%) 순으로 나타났다. 불안민감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는 알코올 의존, 니코틴 의존, 우울 이상의 세 가지 부적응 문제와의 관련성을 불안민감성의 하위요인별로 알아본 결과 일란성쌍둥이 집단에서만 불안민감성 하위척도 중 심리적 염려와 호흡계 감각 염려가 순서대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불안민감성의 유전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불안민감성과 우울 간 관련성 및 불안관련 심리적 장애들의 유전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안민감성과 관련 있는 심리적 장애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 시 가족단위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근거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bnormally high anxiety sensitivity, the fear of anxiety-related sensations,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main mechanism of anxiety disorder, such as phobia or panic disorder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of genetic contributions to anxiety sensitivity by comparing healthy adult (>30 ys. old) monozygotic (MZ) twins (N = 278 pairs) with that of dizygotic (DZ) twins (N = 80 pairs). Data were obtained from several scales, including the ASI-R(The Revised Anxiety Sensitivity Index),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nd FTND (Fagerstrom Test of Nicotine Dependence) scales. Heritability of anxiety sensitivity was computed using MERLINE. Using multiple regressions, the relationships of four subscales of anxiety sensitivity and the other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depression, alcohol dependence, and nicotine dependence) were examined, separately, for individuals in the MA and DZ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anxiety sensitivity scores between twins for the MZ group but not for that of the DZ group. The total heritability estimate of anxiety sensitivity was about 20% the heritability estimate of sub-scales of anxiety sensitivity measure was 21% for cardiovascular concerns, 19% for social concerns, 16% for respiratory sensation concerns, and 13% for psychological concerns. Two of the four subscales anxiety sensitivity(psychological concerns and respiratory sensation concerns) were correlated with depression, but only for the MZ group. These findings for genetic contributions to anxiety sensitivity indicate that anxiety sensitivity is a risk factor of many psychological disorders. Therefore, family-based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n approaching anxiety sensitivity which is related to psychological disorders.

심주식(대구대학교) ; 김홍근(대구대학교) ; 김용숙(대구한의대학교) pp.165-179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만성 알코올 중독성 환자에서 나타나는 기억장애의 세부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알코올 의존 환자 28명과 정상인 26명에게 ‘Rey-Kim 기억검사’와 K-WAIS를 실시하였다. 알코올 의존군이 보여주는 기억장애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억기능을 즉시기억(immediate memory), 최근기억(recent memory), 옛날기억(remote memory)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최근기억에만 결손이 있었고 즉시기억과 옛날기억은 정상 수준이었다. 둘째, 최근기억의 내용을 언어기억(verbal memory)과 시각기억(visual memory)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언어기억과 시각기억 모두에 결손이 있었다. 셋째, 최근기억의 인지적 과정을 등록(encoding), 유지(retention), 인출(retrieval)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등록과 인출 단계에만 결손이 있었고 유지 단계는 정상 수준이었다. 넷째, 최근기억과 일반지능에서 결손된 정도를 비교한 결과 최근기억의 결손이 유의하게 더 심하였다. 이 결과는 최근기억의 장애가 일반화된(generalized) 인지장애가 아니라 기억에 특이한(specific) 인지장애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최근기억장애를 개인별 수준에서 살펴본 결과 다수가 경증이었고 중증은 약 20% 정도에 해당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만성 알코올 중독성 기억장애의 학술적 이해와 임상적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memory deficits, associated with chronic alcoholism. To this end, we administered Rey-Kim memory test and K-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o a sample of 28 alcohol dependent patients and 26 normal controls. The alcohol dependent group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heir memory deficits. First, their memory deficits involved recent memory, but not immediate or remote memory. Second, their recent-memory deficits involved both verbal and visual memory. Third, their recent-memory deficits involved problems in registration and retrieval stage, but not in retention stage. Fourth, their deficits in recent memory were more severe than their deficits in general intelligence, suggesting that the memory deficits were not part of generalized cognitive dysfunction, but a memory-specific dysfunction. Finally, about 20% of the patients evidenced severe memory decline, whereas other patients showed mild to moderate decline.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data for the understanding of alcoholic memory deficits and their clinical managements.

윤경희(국립서울병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181-199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 양가감과 사고-실제 융합이 침투적 인지, 이에 대한 평가, 통제방략을 포함하는 강박 경향성의 전 과정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 양가감과 사고-실제 융합이 강박 경향성에 대하여 가지는 영향력, 강박 경향성에 대한 자기 양가감 및 사고-실제 융합의 상호작용 등을 탐색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대학 졸업생 314명을 대상으로 자기 양가감 척도, 사고-실제 융합 척도, 침투적 인지 질문지, 침투 해석 질문지 단축형, 불안 증상 질문지, 우울 증상 질문지, 자기 존중감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Bhar(2004)의 자기 양가감 척도를 번안하여 타당화 하였다. 상관 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양가감 및 사고-실제 융합은 침투적 인지의 발생, 이에 대한 평가, 통제방략을 포함하는 강박 경향성의 전 과정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상관은 자존감, 불안, 우울을 통제하고도 유의하였다. 둘째, 자기 양가감과 사고-실제 융합은 강박 경향성의 전 과정에서 불안, 우울, 자존감을 통제하고도 유의한 고유 변량을 나타내었다. 셋째, 자기 양가감이 강박 경향성에 미치는 효과는 사고-실제 융합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의 임상적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urposed to verify relations of self-ambivalence, thought-reality fusion, and obsessive-compulsive tendency, and the interaction of self-ambivalence and thought-reality fusion. The association was investigated between self-ambivalence, thought-reality fusion and obsessive-compulsive tendency, including intrusive thoughts, appraisal and control strategies to them. Before that, the Self-Ambivalence Measure (SAM) was translated into Korean which was validated to measure self-ambivalence. A total of 314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Self-Ambivalance Measure (SAM), Thought-Reality Fusion Scale (TRFS), Revised Obsessional Intrusions Inventory (ROII), shortened form of Interpretation of Intrusions Inventory (III), Beck Anxiety Inventory (BA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Self-Esteem Scale(SES). 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lf-ambivalence and thought-reality fusion were related significantly to obsessive-compulsive tendency and the relations were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the variables,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2) Self-ambivalnce and thought- reality fusion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obsessive-compulsive tendency, which includes intrusive thoughts, appraisal and control strategies even after controlling the variables,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3) The interaction of self-ambivalence and thought-reality fusion was not significant to the effect on the obsessive-compulsive tendency. Additio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장성리(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 박수미(중앙대학교) pp.201-21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혐오정서 유발자극에 대한 정서 표현전략과 인지적 재평가전략, 그리고 표현 불일치전략이 부정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여자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혐오정서유발 동영상을 시청할 때 서로 다른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여 경험적, 생리적, 인지행동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경험적 반응 분석결과, 긍정정서경험은 표현 불일치집단이 가장 많이 감소하고 정서 표현집단, 인지적 재평가집단의 순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정서경험은 표현 불일치집단이 가장 많이 증가하고 인지적 재평가집단, 정서 표현집단의 순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반응 분석결과, 표현 불일치집단은 혐오정서경험과 일치하는 피부전도수준(SCL)의 증가와 맥박용적진폭의 감소가 나타난 반면, 인지적 재평가집단은 부정정서경험의 완화와 일치하는 SCL의 감소가 나타났다. 인지행동적 반응 분석결과, 정서유발동영상 내용에 대한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기억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서조절전략으로 인한 주관적 정서경험 및 생리적 반응을 통해 다른 정서조절전략보다 인지적 재평가전략이 부정정서경험 조절에 기능적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cognitive reappraisal and expressive dissonance o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 total of 5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use differen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le viewing a disgust-inducing film. While watching, their experiential, physiological, and cognitive behavioral response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subjective emotional experiences indicated the largest decrease of positive emotions reported in the DG (expressive dissonance group), followed by the EG (emotional expression group), and then the CG (cognitive reappraisal group). However, the largest increase of negative emotions reported in the DG, and they repor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CG, and the EG. For physiological responses, the DG showed skin conductance level (SCL) increase, while pulse volume amplitude decrease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emotional experience of disgust. However, the CG showed a decrease of SCL, which is associated with relief. For a cognitive behavioral respon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reappraisal to a negative event is a more 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strategies, which is related to experienti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hat affec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송원영(건양대학교) pp.217-227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2
초록보기
초록

청소년들이 성폭력을 비롯한 비행을 저지르는 원인의 하나로 이들이 가족 내에서 적절한 보호와 지도를 받지 못한다는 것이 알려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성범죄를 저지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족환경이 성에 대한 중독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외로움이 매개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성범죄로 보호관찰을 받는 73명의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FACE- III(Olson 등, 1983)의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성중독(박영숙, 전영민, 2002) 및 UCLA 외로움척도(Russel 등, 1980)을 실시하여 각각을 측정한 후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로움은 가족응집력이 성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접매개를 하고 있으며, 가족적응력은 성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밝혀졌다. 결과에 대한 함의와 치료적 접근에서 가족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 외로움에 대한 개입 방법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on sexual addiction an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loneliness between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3 delinquent juveniles who committed sexual offending and sentenced probation(mean age=16.5). FACE-III(Olson et al., 1983), Sexual addiction scale(Park & Chun, 2002), UCLA loneliness scale(Russel et al. 1980) were used to measure them. The result showed that family cohe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addiction(r=-.36) and Loneliness indirect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amily cohesion on sexual addiction.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such as the necessity of family intervention and to therapeutic approach to juvenile sexual offender's loneliness were discussed.

이정민(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pp.229-24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부정적 정서와 인터넷 중독 간 관계에서 반추사고 또는 걱정에 대한 사고를 반복하는 인지적 처리과정으로 정의되는 메타인지와 정서지능과 그 개념이 유사한 메타기분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고등학생 396명(남자 259명, 여자 137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척도, 단축형 메타인지 질문지, 특질 메타기분 척도, 우울증 척도, 불안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부정적 정서, 메타인지, 메타기분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정적 정서와 인터넷 중독 간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메타기분의 중재효과가 확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각 변인들의 상호작용 영향력은 부정적 정서 수준에 따라 달랐다. 메타인지가 많을수록 그리고 메타기분이 적을수록, 부정적 정서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이 높았다. 부정적 정서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도 마찬가지로 메타인지가 많을수록, 메타기분이 적을수록 인터넷에 중독 될 위험성이 높았으나, 단 메타인지가 적을 경우에는 메타기분은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and meta-mo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For this study, a sample of 396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296 boys, 137 girl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f the following: Internet Addiction Scale, Metacognitions Questionnaire, Trait Meta-Mood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Beck Anxiety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negative emotion, metacognition and meta-mood, on internet addiction.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metacognition and meta-mo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internet addictio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and internet addi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etacognition and the lower the level of meta-mood, the higher risk for the adolescents to have high level of negative emotiont. Likewise, the higher the level of metacongnition and the lower the level of meta-mood, the higher risk of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who had low levels of negative emotion. However, with lower level of metacognition, meta-mood had no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지은진(통영교육지원청 wee센터) ; 최지명(김해 한사랑 병원) ; 김교헌(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박은진(대전성모병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243-25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를 정서적 의사소통이 매개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남과 충청지역 이주여성 1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글 교실 및 문화 교실 담당자의 협조를 얻어 한국어, 영어, 베트남어, 중국어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 중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는 적절한 측정도구가 없어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하였고, 우울은 CES-D 척도를, 정서적 의사소통은 K-MSI의 하위문항 중 일부(AFC)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검증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서적 의사소통은 부적으로 관계하고 있었으며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서적 의사소통과 우울과는 부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ron과 Kenny(1986)의 회귀분석에 따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의사소통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한국 문화에 보다 건강하게 적응하는 데에 한국인 남편의 친밀한 태도 및 비언어적인 부분의 소통이 중요하게 작용함이 검증되었으며, 관련 기관에서도 이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연구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acculturation stresses in immigrant women with depression,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relationships. So I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in Korean, English, Vietnamese, and Chinese to 134 immigrant women of Gyeong-nam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acculturation stresses scale, which developed through advanced researches, CES-D, and sub items (AFC) of K-MSI. The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cculturation stresses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ffective communic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ccording to Baron and Kenny's method of mediating effects test, affective communication partially mediated in relation to the immigrant women' acculturation to depression. This result suggest that husbands' intimate attitud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are significant on immigrant women' acculturation into Korean culture, with the necessity of related organizations' activating programs, as a result for this.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s and research tasks.

김홍순(경기대학교) ; 송민경(경기대학교) ; 김청송(경기대학교) pp.253-270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행복감에 미치는 감사성향과 사회적 지지가 직접적인 주효과와 완충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구체화시키고, 이러한 조절효과가 청소년시기에도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신경증적 경향성과 행복감간의 관계는 인지적인 정서조절이라는 대처유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가정하였으나, 부적응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성립되지 않았다. 오히려 신경증적 경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정서조절의 허위효과(spurious-effect model)모형이 입증되었다. 행복과의 관계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외향성이 인지조절과 감사성향에 의해 그 효과가 증폭되는지 검증한 결과, 외향성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적응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모형(dual mediation)이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행복에 있어서 감사성향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mediation)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모델에서는 자기애 집단(자기주도적 자기애, 타인의존적 자기애)에 따라 감사성향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기도 하고(자기주도적 자기애) 하지 않기도 하는(타인의존적 자기애) 중재된 매개(moderated mediation) 관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행복감에 대하여 감사성향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거나 증폭시키고 완충하는 중재효과를 구체적으로 모형화 함으로써 행복감을 촉진시키는 맞춤형 교육조건들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 integrative moderating model of happiness which incorporated gratitude as well as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The Oxford Happiness Inventory (OHI), Gratitude Questionnaire–6 (GQ-6),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LOT-R), Eysenck Personality Scale (EPS), and the CERQ criteria were adapted to assess the model of happiness of adolescents. Four hundred thirty eight (43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thee self report in Kyung-Gi-Do, Korea, were studied.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purious effect on emotional adjustment relations between neuroticism and happiness; whereas gratitude and adaptive emotional adjustment had a dual mediate relation between extraversion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a narcissistic personality was a moderating predictor on the mediating variable of social support, and on personality traits and gratitude for happiness. The research outcomes proved that the gratitude and social support moderating model of happiness of adolescents were effectiv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ailored-treatment of gratitude on happiness might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life span development, and the validity of stress severity on adolescents.

박준호(순천향대학교) pp.271-28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6
초록보기
초록

선행연구들에서는 생각억제와 자기노출이 각각 독립적으로 정서나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변인이 상호작용하여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즉, 스트레스를 유발한 사건에 관해서 생각을 억제하는 수준에 따라 자기노출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이원상호작용 가설을 세웠다. 2(생각억제: 고/저)×2(자기노출: 고/저)의 완전무선설계였으며 대학생 58명이 참가하였다. 지난 1년 동안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사건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억제한 다음에 자기노출하도록 하여 현재 상태에서 경험하는 정서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부정정서에 이원상호작용이 유의한 추세를 보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생각억제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는 자기노출이 낮은 조건보다 높은 조건일 때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에 생각억제 수준이 낮은 조건에서는 자기노출이 낮은 조건과 높은 조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기노출이 정서에 미치는 순기능이 생각억제의 수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남을 알아내는 데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emo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emotion would be significant in the condition with high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whereas not significant in the condition with low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To test the hypotheses, a 2×2 ANOVA, with thought suppression (high/low) and self-disclosure (high/low), as between-participants factors was performed on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emotion. Fifty eight undergradua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main hypothesis was suppor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actors was significant, and it showed that, in the higher condition of thought suppression, negative emotion was lower in the higher condition of self-disclosure than in the lower condition. In the lower condition of thought suppression, however, negative emo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negative emotion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indicating that self-disclosure affect the emotion in a positive manner, only when the level of thought suppression is high.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한명선(삼육대학교) ; 서경현(삼육대학교) ; 최인(삼육대학교) pp.287-298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탐색하고 일반적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설명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4명을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자의 연령 분포는 만 35세에서 68세 사이였다.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묻는 문항들을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개발하여 요인을 분석한 결과, 7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검증되었다. 7요인은 각각 정서적 곤란, 열악한 처우/근무환경, 성적 불편감, 간호사의 질책/부당한 대우, 휴식시간 부족, 직무교육 내용과 다른 실무 그리고 3D 직무를 묘사하고 있었다. Karasek의 직무내용질문지로 측정한 직무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을 7.9%가량만 설명하는데 반해, 이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검증된 일곱 가지 요인은 스트레스 반응을 59.7%나 설명하였다. 이런 결과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s a preliminary study in efforts to developing the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Questionnaire, researchers investigated factors of job stress among professional geriatric caregivers, and compared its accountability for stress responses with accountability of common job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240 geriatric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at a geriatric hospital, whose ages ranged from 35 to 68. Researchers developed items of job stresses directly from geriatric care works,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 (FGI).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n factors were finally retained. Each of 7 factors described emotional difficulties, low salary and poor benefit/working condition, sexual inconvenience, nurse's scolding and poor treatment, lack of recess, the difference between job description and reality, and 3D works. These 7 factors were accounted for 59.7% of the variance in stress responses of geriatric caregivers, while factors from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accounted for 7.9% on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job stresses of geriatric caregivers should be explored continuousl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