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교헌(충남대학교) pp.667-693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1
초록보기
초록

여러 개별 중독현상들에 걸쳐 있는 공통점에 주목하여 중독문제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다. 중독을 공식적으로 정의하고 의존(dependence) 대신 중독(addiction) 개념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며, 중독장애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기존장애들에 대해 고려해 보았다. 중독의 발달원인을 보상 학습과 기억기제가 정상적인 조절을 이탈해서 행동에 대한 자기조절이 실패하는 것으로 조망하고, 이를 생물-심리-사회적 수준에서 설명해 보았다. 중독의 원인론을 중심으로 중독의 예방과 치료를 논의했으며, 중독의 치료에는, 중독의 원인에 기반을 둘 수 있는 예방과는 달리, 중독의 회복에 관한 변화이론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장차 인류가 당면할 중독문제가 더욱 다양하고 심각해지리라고 예상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고, 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심리학의 자기조절 이론과 연구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Abstract

A integrative approach was attempted to understand various addiction disorders. Addiction can be defined as a loss of self-regulation and substitute the dependence. Addiction can be understood as a syndrome with common genetic and psychosocial vulnerabilities, temporal stages, and neurobiological basis. Results of recent cognitive neuroscientific studies, which show underlying disregulatory neural mechanisms of learning and memory that under normal circumstances serve to shape survival behaviors related to pursuit of rewards and cues that predict them, were presented. Patholog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ddiction were discussed at bio-psycho-social levels. A new model to explain changing processes from addiction to self-regulation are needed. Roles of psychology to overcome for new coming technological addiction was emphasized.

서경현(삼육대학교) pp.695-713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2
초록보기
초록

본 개관연구에서는 흡연과 관련 변인들의 성차를 조명하고 니코틴에 중독된 여성들에 대한 개입 전략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흡연관련 질환에 더 취약하고, 여성만이 갖는 건강상의 해악도 있다. 한국 여성의 흡연 행동은 여성의 흡연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회규범에 영향을 받는데, 그것이 금연할 때 사회지원을 받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한다. 여성은 스트레스나 슬픔, 분노, 좌절 등 부적 정동에 대처하기 위해 흡연하는 경향이 있으며 체중 조절을 위해 흡연하기도 한다. 남성은 기분을 좋게 만드는 상황에서 금연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데 반해, 여성은 부적 정동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금연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니코틴대체요법과 같은 약물요법이 더해져 적절히 구조화된 인지행동치료가 니코틴에 중독된 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항우울제와 같은 정신약물치료가 어떤 여성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런 치료를 임상가는 여성 흡연자의 상태와 부작용을 조심스럽게 고려한 후 선택해야 한다. 여성 흡연자의 생리적․심리적 측면이 모두 고려된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review article illuminates gender differences in smoking and its related factors and suggests intervention strategy for women's nicotine dependence. Generally, women are more vulnerable than men to smoking related diseases and they have female-specific harmful effects. Smoking behaviors of Korean women are influenced by social norms which think ill of female smokers and make them difficult to find social support. Women are more reliable on cigarettes to cope with stress and negative affects, such as sadness, anger and frustration and concerns about weight gain than men are. So, they tend to relapse in situations involving negative affects while men in social events with positive emotions. Well structured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program with pharmacological treatments including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may help to women addicted to nicotine. There are new therapeutic options for female smokers such as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Clinician should consider its adverse effects and the condition of female smokers. It is needed to develop specific treatment strategies that address both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female smokers who want to quit smoking.

박상규(꽃동네대학교) pp.715-732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약류 중독 치료에 있어서 동양적 수행법을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마약류 중독의 원인, 분류, 마약류 중독자의 특성,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적 개입 등과 같은 마약류 중독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동양적 수행법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교와 불교를 들 수 있다. 유교적 수행은 인의를 강조하여 윤리와 예의를 중요시한다. 불교적 수행은 자신을 해탈하고 이웃에 자비를 베풀려는 데 목적이 있다. 마약류 중독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유교적 수행은 자신의 몸과 태도를 조절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경의 훈련, 구용구사, 극기복례 등이다. 마약류 중독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불교적 수행은 계정혜의 실천인 팔정도, 마음챙김명상, 성향에 따른 접근법 등이다. 동양적 수행법을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꾸준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중독자를 치료하는 치료자의 바람직한 태도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마약류 중독 치료에 대한 동양적 수행법을 활용하는 데 있어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ly Eastern Self-discipline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rug addiction such as the cause of drug addiction and classification, the drug abuser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intervention.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the two representative Eastern self-disciplines. Confucian principles value morals and courtesy by emphasizing benevolence and morality.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of Buddhist principles is showing mercy to neighbors and emancipating oneself. Confucian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are the practices of mindfulness by controlling one's body and attitude, the Nine manners and the Nine mental attitude as well as overcoming oneself to recover one's true nature. Buddhist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are the Noble Eightfold Path, mindfulness meditation, and an approach with predisposition. Constant and sustainable work is needed to succeed with Eastern Self-discipline. In this study, the desirable attitude of the therapist to treat addicts was identified and the limitation and future study for the treatment of drug addicts using Eastern Self-discipline was discussed.

강희양(학교법인 을지대학병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733-744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icacy of variables which have been related in Internet Addiction and Game Addiction using a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lculated over the 66 effect sizes from 29 studies using the means and SDs of selected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1998 to 2005. The 66 variables falled under the 6 categorized variables. And then, The 41 studies were divided into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and the game addiction group. It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et Addiction related variables and Game Addiction related variables using the p-val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of mean effect size in target theses was found to be 0.49(t=4.27, p< 0.5). It is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variables related Internet and Game Addiction was effective. The variable related peer relation is most effective variabl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variable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Game Addiction were the variables related self.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전영민(을지대학교) ; 차진경(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 이종은(가톨릭대학교) pp.745-759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심리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치료효과검사(Brief Outcome Questionnaire: BO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알코올병원과 거주시설에 입원중인 알코올 의존자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OQ45(Outcome Questionnaire45: OQ45)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한 요인구조를 탐색하여 45문항에서 20문항으로 단축된 단축형 치료효과검사(Brief Outcome Questionnaire: BOQ)를 구성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원저자가 이론적으로 제안한 3요인 모형보다 20문항의 4요인 모형이 더 적합하였고, 신뢰도 및 수렴타당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validation of scores on the Brief Outcome Questionnaire(BOQ) which has been bound to be useful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over time. Participants in the current study were 224 alcohol dependent patients. As has been intimated in past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one- and three-factor models conventionally associated with scores on the OQ45(Outcome Questionnaire 45) did not fit the data. This led to a rather rigorous shortening of the scale resulting in the ultimate deletion of 25 of the 45 items. Four related dimensions appeared to explain responses to the remaining 20 items. This Brief Outcome Questionnaire(BOQ) displayed a high reliability and good convergent validity.

김미례(호남대학교) pp.761-777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생활스트레스를 예언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 및 조절변인으로, 우울을 결과변인으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5개 지역 20-50대 주부 541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고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혼여성들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자아존중감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부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으면 우울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기혼여성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혼여성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은 자아존중감이 낮은 여성들에게서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여성들에게서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혼여성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담중재프로그램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life stress and depression, especiall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tested by setting married womens' life stress as a prediction variable, their depression as an outcome variable and their self-esteem as mediator and moderator variables. The subject were 541 women (aged 20-59) from Seoul, Gyeonggi, Cheonnam & Cheonbuk province. The data was analysed by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ose variables among housewives' life stress, self-esteem & dep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variables. Covariance structural analyses were done by AMOS software. SEM was used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ose variables among married womens' life stress, self-esteem &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proved that married womens' self-esteem exerted as mediating variables. That is, married womens' life stress appeared to affect their depression via their self-esteem. Therefore, their depression could be evident when their self-esteem is low. Third, it was proved that married womens' self-esteem exerted as moderating variables. That is, those with low self-esteem experienced high life stress and much depression, and those with high self-esteem experienced low life stress and less depress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married women to cope with their depression, various counseling strategies are required in terms of improving their self-esteem.

이경희(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중독예방치유센터) ; 이훈진(서울대학교) pp.779-795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7
초록보기
초록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전반적인 정신건강의 토대가 되는 부정적 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질과 대처양식의 역할을 공분산구조모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대학에서 온라인으로 심리학 과목을 수강하는 29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스트레스, 기질, 스트레스 대처양식, 그리고 불안과 우울증상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신경증기질과 대처양식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며, 생활사건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정서는 신경증기질에 의해 증폭되고 이는 회피 대처양식에 의해 더욱 악화되거나 문제해결 대처양식을 통해서 경감되는 이중매개모형이 생활사건 스트레스, 기질, 그리고 대처양식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는 단순효과 모형과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질과 대처양식이 병렬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병렬매개모형 등의 대안적 모형에 비해 우수한 모형임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개인에게 안정적인 기질과 대처양식이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관련된 개인의 정서경험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개입변인으로 사용될 가능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effects of life event stress, temperament and coping style o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wo hundred and ninety nine students who attended on-line psychology class were surveyed. As a result dual mediating model is approved superior than the other alternative two models. Which means the effect of life event stress o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is mediated by neuroticism and the effect of neuroticism o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is mediated by problem-solving coping style and avoidance coping style. The avoidance coping style aggravating the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 and the problem-solving coping style relieving the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ssibilities of using the temperament and coping style as a tool of interven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조성은(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797-812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경험 특성으로서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서경험 특성과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경험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 보았다.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AMOS 4.0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주의력을 제외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과정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의 매개를 통해 우울에 각각 부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만 유의하였으며, 정서강도는 정서중심 대처를 매개로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th in which the three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awareness, influence depression. The assumption that stress coping style would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assumption of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 were tested through administering a set of questionnaire to a total of 411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th analysis using the AMOS 4.0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Emotional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results were found. In the male group only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intensity along with emotional clarity had sign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 negative effect through mediation of task-oriented coping and positive effect through emotion-oriented coping.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only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female group through the mediation of emotion-oriented coping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조성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797-8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경험 특성으로서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서경험 특성과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경험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 보았다.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AMOS 4.0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주의력을 제외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과정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의 매개를 통해 우울에 각각 부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만 유의하였으며, 정서강도는 정서중심 대처를 매개로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th in which the three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awareness, influence depression. The assumption that stress coping style would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assumption of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 were tested through administering a set of questionnaire to a total of 411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th analysis using the AMOS 4.0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Emotional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results were found. In the male group only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intensity along with emotional clarity had sign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 negative effect through mediation of task-oriented coping and positive effect through emotion-oriented coping.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only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female group through the mediation of emotion-oriented coping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안정숙(세브란스 정신건강병원) ; 채규만() pp.813-832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Cloninger(1994)가 심리생물학적 모델을 근거로 개발한 기질과 성격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를 이용해, 우울증집단과 비우울증집단간의 어떠한 성격특성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TCI에서 측정하고 있는 7가지의 성격차원에서 우울증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자기 주도성(self-directedness)이 스트레스와 우울증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해서, 우울증의 치료적인 개입전략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OCU(Open Cyber University)로「성행동의 심리학」수업을 듣는 전국 약 14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중 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47명의 자료를 수집하고(남자 258명, 여자 189명) 분석하였다. 우울증과 비우울증집단간의 TCI의 7가지 성격특성의 하위척도별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우울증집단이 비우울증집단에 비해 위험회피(harm avoidance), 자극추구(novelty seeking),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사회적 민감성(reward-dependence), 자기 주도성(self-directedness), 연대감(cooperativeness)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특히, TCI 7가지 성격특성 중에서 자기 주도성(self-directedness)이 우울증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임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와 우울증간의 관계에서 자기 주도성(self-directedness)의 조절효과결과, 여자의 경우 스트레스와 우울증간의 관계에서 자기 주도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울증 치료시 개입전략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여자의 경우 우울증 치료시 자기 주도성(self-directedness)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mong stres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elf-directedness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self-directedness which was proposed by Cloninger(1994) as one of the seven-factor model was assu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447 college students(258 males, females 189) who were recruited from fourteen differen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such as Cloninger's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based on Cloninger's psycho-biological model,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Delongins, Folkman & Lazarus(1988)'s Daily Stress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findings were as the follows: First, The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more depressed than the male subjects. Second, the depressed groups obtained higher scores in harm avoidance, novelty seeking and self-transcendence scales, as well as lower scores in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and reward dependance scale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Third, the self-directedness among seven factors of the TCI was identified 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for prediction of depression in female subjects.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rectedness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in female subjects. This results were suggestive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cusing self-directedness would be effective for the depressed woman.

장현갑(동국대학교) ; 김정모(영남대학교) ; 배재홍(포항공과대학교) pp.833-850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K-MBSR)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마음챙김에 관한 선행연구와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MBSR)을 고찰한 결과 K-MBSR은 身受心法의 단계로 구성하고 6회 후 종일명상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K-MBSR 프로그램은 대학원생과 성인, 그리고 신체형 장애의 환자집단에서 전반적으로 유의한 증상의 감소를 보여 주었다. 이 결과는 K-MBSR 프로그램이 심리적 및 신체적 증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양한 대상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논의에서는 K-MBSR 프로그램의 추후 연구 방향과 환자 집단의 연구에서 무선 통제 집단을 통하여 효과가 검증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In this article, we have developed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view of previous studys about the mindfulness and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MBSR) has shown that K-MBSR can be effectively based on 4 stages of body, feeling, mind and mental objects and daily meditation after session 6. Examined the effects of the 8 session program, K-MBSR reduced effectively the various symptoms of SCL-90-R of students at graduate school, adults and somatoform patients. This results suggests that K-MBSR can influence positive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ymptoms and have application to different groups. In discussion we pointed out necessity of following studies, especially using of randomized control design to bring to a proper conclusion.

전진수(고려대학교) ; 신강현(아주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 김완석(아주대학교) pp.851-868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당뇨환자들이 지각한 당뇨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개인차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의표집한 당뇨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식, 자기효능감, 건강통제신념, 우울(BDI), 척도 등을 실시하였다. 예측변수는 지각된 당뇨스트레스이고, 준거변수는 우울이며, 조절변수는 대처방식, 자기효능감, 건강통제신념이었다. 연구 결과, 주효과에 관해서는 환자들이 당뇨병에 의해 유발된 스트레스를 경험할수록, 건강에 대한 통제감이 외부에 있다고 인식할수록, 당뇨병 관리에 대한 자신감이 낮을수록 높은 수준의 우울감을 보였다. 또한 당뇨스트레스와 세 개의 개인차 변수가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즉, 자기관리효능감과 특수상황대처효능감, 외적통제신념은 당뇨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의 수준을 조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iabetes stress on depression,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coping skills, self-efficacy, health locus of control. Participants were 117 diabetes patients by arbitrary sampling. The employed statistical methods were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diabetes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Main effects revealed that the more experience of diabetes stress and perceive of ex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the lower of self-efficacy,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e interactive effects of diabetes stress and two sub-dimensions of self-efficacy(efficacy of self-management /efficacy of specific situation) on depression were confirmed. Finally, ex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shown to be a moderator in a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stress and depre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신성례(삼육대학교) ; 김선경(삼육대학교) pp.869-885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흡연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대상자들은 금연교육 참석을 권고 받고 5회기의 소집단 교육에 참여한 45명의 흡연대학생들이었다. 교육 종료 후 대상자들은 12주에 걸쳐 전화상담과 문자 메시지를 제공받았다. 대상자들의 흡연 량은 교육 전에 비해 소집단 교육 후, 교육종료 후 각각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대상자들의 교육종료 후 금연 율은 42.2%였다. 대상자들의 흡연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흡연유혹정도는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흡연에 대한 지식, 학교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 후 더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볼 때 대학생대상의 캠퍼스 금연교육은 대상자들의 금연율, 지식, 대학금연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상승시키는데 효과적이라 볼 수 있으며 이들의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스트레스와 흡연유혹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흡연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캠퍼스 금연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chool 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urty five smoking students who we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smoking cessation program received 5 session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consisted of small group discussion led by smoking cessation leaders. Twelve weeks of follow up care, consisted of telephone counseling and short message service was given. Student's smoking amount, smoking cessation rate, attitude, intention, knowledge, stress, tempt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policy was measured. Student's smoking amount was decreased. The smoking cessation rate was 42.2% after the 12 weeks . The attitude became more negative, the level of knowledge, satisfaction on required attendance of campus 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e level stress, smoking temptation was decreased. This school 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smoking cessation rate, knowledge, and satisfaction on school policy, decreasing the level of stress and temptation. In the future, more efforts should be given to develop campus 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박영만(꽃동네 정신요양원) ; 정명숙(꽃동네대학교) pp.887-904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흡연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금연동기요소를 강화한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의 효과가 흡연 정신장애인이 과거에 금연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지 여부도 알아보았다. 총 96명의 흡연 정신장애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 중 64명은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에 배정되었고 나머지는 통제집단에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은 또 과거의 금연시도 경험 유무에 따라 경험집단(25명)과 무경험집단(39명)으로 나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일일 흡연량과 니코틴 의존도가 더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호기(呼氣) 일산화탄소량, 담배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 우울감, 그리고 금연효능감의 변화에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거에 금연을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런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프로그램 종결 후 호기 일산화탄소량, 일일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그리고 담배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금연효능감과 우울감의 변화량에는 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entally disordered smokers living in an institution. It also aimed at investigating the role of motivation in the successful cessation of smoking. A total of 96 smokers with ment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f the participants 64 were intervened by the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intervention group) and the rest were not(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consisted of two groups; one group had attempted previously to quit smoking and the other had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reported cigarettes per day and nicotine dependence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for intervention group than for control group. However, the amount of decrease in carbon monoxide in expired air, irrational thoughts about cigarette smoking,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carbon monoxide, nicotine dependence, cigarette smoking per day, and irrational thoughts about smoking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for smokers with previous experience of stopping smoking than for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김원형(대전대학교) ; 신강현(아주대학교) ; 허창구(아주대학교) ; 이종현(아주대학교) pp.905-921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서노동(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탈진(소진, 냉소)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자원(자율성, 사회적 지지)이 조절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호텔 종업원 17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서노동 전략 중 표면행동은 직무탈진의 하위요인인 소진과 냉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표면행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자율성이 조절하고 있었다. 한편, 표면행동이 냉소에 미치는 영향은 동료지지가 조절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무탈진 하위요소 직무와 관련이 높은 소진에 대해서는 직무의 자율성이 조절효과를 보이고, 사람과 관련이 높은 냉소에 대해서는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회적 지지 중 동료지지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난 점은 호텔서비스직 종사자의 직무특성 상 상사보다는 동료로부터의 지지가 중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행동과 달리 내면행동은 소진과 냉소에 미치는 주효과 및 직무자원과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이전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deep acting) on burnout(exhaustion, cynicism)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resources(autonomy, social supports) in hotel service job. Exhaustion and cynicism were influenced by surface acting. The relation between surface acting and exhaustion was moderated by autonomy, while the relation between surface acting and cynicism was moderated by support of coworkers. But, deep acting did not influence on exhaustion and cynicism. This results consist with previous studies that deep acting bring more positive effect than surface acting and suggest that autonomy and social supports influence on exhaustion and cynicism separately. Research limitations and several suggestions are discussed.

구해경(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김미정(중앙대학교) pp.923-937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 자극에 대해서 수용과 억제의 정서조절 방략을 사용함에 따른 주관적인 정서반응과 생리적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생 집단 37명을 수용집단과 억제집단에 무선 배정하고 각 집단의 지시사항을 녹음하여 약 5분간 들려주었다. 이어서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시키는 동영상을 보여주면서 앞서 들려준 지시사항에 따라서 느껴지는 정서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정서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주관적인 자기보고식 정서 반응과 생리적인 피부전도반응을 동영상을 보기 전과 보는 동안 그리고 보고 난 후의 회복기간에 반복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동영상을 보는 동안에는 유사한 정도의 주관적 고통을 보고하였으나 회복기간에는 억제집단이 수용집단보다 PANAS-N으로 보고한 주관적 고통의 수준이 낮았다. 생리적인 측정치인 피부전도반응에서는 억제집단이 수용집단보다 상승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 방략으로 억제를 사용할 때가 수용을 사용할 때보다 주관적으로 고통을 적게 보고할 지라도 신체적으로는 고통을 더 느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according to using acceptance and suppression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negative emotion-provoking stimulus. 37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ne group listened to a rationale for suppression emotions, and another group listened to a rationale for acceptance emotions. After that, participants watched an emotion-provoking film and applied the instructions. Subjective distress and skin conductance Response were measured before, during, and after watching the film. Both groups reported similar levels of subjective distress during the film in VAS. Suppression group was less distressed than acceptance group in PANAS-N after the film. However the suppression group's skin conductance level was higher than the acceptance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suppression group reported lower subjective distress, but they have higher physiological arousal.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송혜수(포항공과대학교) ; 김정기(포항공과대학교) pp.939-950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6
초록보기
초록

정신건강이나 심리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자기 보고식 검사는 많다. 이런 검사의 대부분은 심리적 증상을 위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정신건강의 평가는 증상의 유, 무뿐만 아니라 웰빙과 사회적/직업적 기능까지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목적에 적합한 행동건강 질문지-20 (Behavioral Health Questionnaire-20: BHQ-20)을 소개하고, 이 검사 척도가 한국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진단하고 심리치료의 효과를 평가해주는 정신건강 측정도구로서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로 수행되었다. 대학생 집단 400명을 대상으로 먼저 한글판 BHQ-20(K-BHQ-20)의 요인구조를 탐색한 결과, 원판 BHQ-20과는 달리 4개의 요인, 즉 ‘학교생활의 웰빙’, ‘심리 증상’, ‘음주/섭식문제’ 및 ‘사회생활 기능’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내적 일치도로 살펴본 K-BHQ-20의 신뢰도는 양호하였으며, 대학생활 부적응 척도 및 BDI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동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K-BHQ-20을 정신건강 및 심리치료의 평가 척도로서 제안하기 위해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Behavioral Health Questionnaire-20 is a self-report instrument assessing the status of mental health and the effects of psychotherapy. While most of the mental health assessments focus on psychological symptoms, BHQ-20 aims to monitor overall mental health over time(especially across psychotherapy sessions) by including scales of Well-Being and Life Functioning as well as a scale of Symptom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al Health Questionnaire-20(K-BHQ-20). We gave the K-BHQ-20 to 400 college students in Pohang. The 4 constructs of the K-BHQ-20 investigated by factor-analyzing were 'Psychological Symptoms', 'Well-Being of School Life', 'Drinking/Eating Problem' and 'Social Life Functioning'. The K-BHQ-20's concurr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correlations with Mt and BDI. Support was also found for the reliability of internal consistency measure(Chronbach's alpha).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BHQ-20, a relatively brief questionnaire,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assessing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To further prove the validity of the K-BHQ-20 as a measure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determine whether the K-BHQ-20 can detect responsiveness to psychotherapy or recovery across therapy sessions in university counseling service.

최명심(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951-967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의미 수준이 자존감, 문제해결 인식도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7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PIL(Purpose In Life) 검사, 자존감 척도, 문제 해결 인식도 그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를 실시하였다. PIL 점수에 의해 높은/ 중간/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상관, t-검증, 변량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PIL과 자존감,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 직면-회피, 자기 통제와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는 모든 변인들이 부적인 상관을 보여주었다. 2)성차를 알아본 결과 PIL, 자존감, 문제 해결에 대한 확신, 직면-회피 및 자기-통제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종교의 유무에서는 PIL 수준과 문제해결의 확신에서 종교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종교가 없는 학생들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3)PIL 수준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PIL 수준이 높을수록 자존감과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 직면-회피 및 자기-통제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삶에서 갖게 되는 기대나 목적이 선명할수록 자신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며 문제 상황에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purpose in life on self-esteem, problem solving aptitude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t the study, 277 students completed four questionnaires; PIL test, self-esteem, problem solving aptitudes &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IL test if utilized to measure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nd High/Middle/low groups are classified from the result. Correlation, t-test, ONEWAY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appli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of the PIL, self esteem and problem solving aptitudes we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bu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econd, the male and female difference in PIL, self-esteem and problem solving aptitudes were showed male students group reported the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At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howed female group reported the higher level than male. In PIL and problem solving, religious group was higher than irreligious group. Third, the classified groups from PIL level were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self-esteem, problem solving,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igh level of PIL was related to high self-esteem, problem solving subscale and to low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high group students conceit that good problem solver for oneself. At the result, the specific and concrete purpose can increase of self efficient and more successive result.

황정미(고대구로병원 임상심리실) ; 채규만() pp.969-982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질 및 성격 특성과 우울간 관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대생 122명을 대상으로 JTCI와 MMPI를 실시하였으며, 기질의 4가지 차원인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그리고 성격의 3가지 차원인 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 및 우울간의 상관, 회귀분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울과 관련이 높은 변인은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자율성, 자기초월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에서 위험회피는 우울로 향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자극추구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높은 위험회피 성향은 우울에 대한 취약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질은 자율성과 같은 성격 차원의 성숙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character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 on depression. 12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dministered JTCI and MMPI.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such as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the three dimensions of character such as self-directedness, cooperativeness and self-transcendence and depression scale of MMPI were calc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self-directedness and self-transcendence were import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harm avoidance had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on dep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 harm avoidance and low self-directedness ar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the influences of temperament on depression may partially depend on the maturity of character in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limitation and furth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nbsp;&nbsp;&nbsp;

이정은(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유제민(강남대학교) pp.983-995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폭력 피해자가 폭력적인 데이트관계를 지속하는데 있어 투자모델에 이타적 망상이라는 변인을 추가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투자모델은 개인이 파트너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만족도, 대안 여부, 투자 정도를 고려하여 자신의 헌신 정도를 조절하고 그것에 따라 관계지속여부를 결정한다는 이론이다. 이 모델은 결혼여부와 상관없이 어떤 친밀한 관계에도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타적 망상 변인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구성한 개념으로 데이트 폭력 피해자들이 파트너의 폭력적인 성향을 자신이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현실적인 믿음을 말한다.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데이트폭력을 경험한 20대 여성 227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절단점을 기준으로 110명을 데이트폭력 피해자로 상정하였다. 분석결과, 투자모델을 한국의 20대 여성의 데이트 관계에 적용하였을 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투자모델과 이타적망상을 추가한 새로운 투자모델을 구조방정식 모델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 새로운 투자모델의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투자모델이 관계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그 예측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교제기간을 통제하고, 동성애 커플이나 기혼커플, 남자피해자, 대학생이나 직장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수준이 다른 참여자를 대상으로 투자모델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investment model accompanied by the altruistic delusion variable when dating violence victims maintain their violent relationships. The investment model states that dating violence victims consider their satisfaction level, quality of alternatives, and investment level to determine their commitment level in their relationship. And those variables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ir relationship. The altruistic variable is dating violence victims' belief that they can change their partners' violent behaviors by themselves. South Korean women who were in their 20s (N=227) provided self-reported data, and 110 people were endorsed as dating violence victims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standard. The investment model turned out to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South Korea's victims of dating violence who were maintaining their relationships. Also, the new investment model which is composed of the past investment model and altruistic delusion variable had a better prediction to explain the reasons victims' did not leave their violent relationships. In the following studies, the investment model should be applied to homosexuals, married couples, male victims, and other participants who have a different social economic status to generalize the investment model's validity.

이승훈(중앙대학교) pp.997-1017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녹시율(綠視率, Index of Greenness)의 정서증진효과에 대한 회복환경 모델(이승훈, 2007a)을 “집" 혹은 “집 이외의 장소"라는 맥락에 따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참여자들(301명)은 하루 동안 12회에 걸쳐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전송 받았다. 문자메시지를 받자마자 참여자들은 “지금 이 순간"을 기준으로 자신이 있는 곳의 사진을 한 장 촬영하였고, 자신이 있는 곳이 “집"인지 혹은 “집 이외의 장소"인지를 표시하였으며, 이어서 스트레스 척도, 회복환경지각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를 평정하였다. 일련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 표본 1(n = 233; 집 혹은 집 이외의 장소에서 식물의 잎을 본 경우의 데이터들을 모두 포함시킨 표본), 표본 2(n = 54; 집에서 식물의 잎을 본 경우의 데이터들만 포함시킨 표본), 표본 3(n = 219; 집 이외의 장소에서 식물의 잎을 본 경우의 데이터들만 포함시킨 표본)을 만들었다. 회복환경 모델을 표본 1, 2, 3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비교해 보았다. 경로분석 결과 (1) 적합도 지수는 표본 3에서 가장 높았고, (2) ‘녹시율 → 회복환경' 경로는 표본 3에서만 유의하였으며, (3) ‘회복환경 → 정서' 경로는 세 표본 모두 유의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표본 2에서만 스트레스 × 회복환경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의 효과가 회복환경 지각이 높을 때에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녹시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집이 심리적 회복의 중요한 세팅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서를 증진시킴을 보여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연구는 집 이외의 장소에서는 녹시율이 높을수록 심리적 에너지가 잘 회복되며, 이로 인해 정서가 증진됨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test the restorative environment model (Lee, 2007a) of the emotion-improving effects of the Index of Greenness (IG) according to the context of “home" or “places other than home." During a day, cellular phone text messages were sent to South Korean undergraduates (n = 301) twelve times. On receiving each message, participants took a photograph of their surroundings, marked if they were either “at home" or “in places other than home", and then rated stress scale,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with reference to “here and now." Three samples were drawn through a series of data processing. These samples consisted of the data only in case that the participants saw the leaves of plants (1) at home or in places other than home (sample 1; n = 233); (2) at home (sample 2; n = 54); and (3) in places other than home (sample 3; n = 219). The restorative environment model was tested with sample 1, 2, and 3, and then compared. A series of path analyses showed that: (1) the fit indices were better for the data from the sample 3 than the sample 1 and 2; (2) the causal path from ‘IG' to ‘restorative enviro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sample 3; and (3) the causal paths from ‘restorative environment' to ‘emo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ree samp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showed that stress × restorative environment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sample 2. In other words, the negative effect of stress on emotion was present only at high level of restorative environ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spite of the low level of IG, home is an important setting for psychological restoration, which enhances emotion. In contra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places other than home, higher IG is associated with higher psychological restoration, which enhances emo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