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직의 유형을 자발적 실직과 비자발적 실직의 두 유형으로 구분하고 두 유형에서 정신건강과 구직활동 관련 변인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실직한 지 2개월 이내의 실직자 가운데 비자발적 실직자 1083명과 자발적 실직자 55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비자발적 실직자의 정신건강이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직활동 관련 변인에서는 구직강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명확성과 구직효능감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nd job-search related variables between voluntary and involuntary unemployed individuals. Among people who had been unemployed for less than 2 months, 1083 involuntary unemployed individuals and 557 voluntary unemployed individuals were surveyed. Results showed that involuntary unemployed individual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depression, anxiety, psychosomatic, and KGHQ, supporting hypothesis 1. Involuntary unemployed individuals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job intens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search self-efficacy between two groups. Thus, hypothesis 2 was partially support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중독을 자기조절의 입장에서 조망했다. 여러 개별 중독현상에 걸쳐 공통되게 작용하는 유전과 심리사회적 취약성, 중독 단계 및 신경생물학적인 바탕이 있으며 이를 증후군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보상에 관한 학습과 기억기제가 정상적인 조절을 이탈하는 신경생리적 변화가 중독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는 최근 인지신경과학적 연구결과들을 소개했으며, 자기조절을 인지신경과학적 입장에서 접근하는 Lieberman 등(2002, 2004)의 연구를 중독에 대한 인지신경과학적 연구의 결과와 관련시켜 논의했다. 마음챙김이 기존의 심리치료나 약물치료와 결합해서 중독과 관련된 자기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제안했다.
Addiction was discussed as a self-regulatory process. Addiction can be understood as a syndrome with common genetic and psychosocial vulnerabilities, temporal stages, and neurobiological basis. Results of recent cognitive neuroscientific studies, which show same underlying disregulatory neural mechanisms of learning and memory that under normal circumstances serve to shape survival behaviors related to pursuit of rewards and cues that predict them, were presented. Lieberman et al.(2002, 2004)'s cognitive neuroscience approach to self-regulation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addiction researches of neuroscience. I suggest that mindfulness can be used as a useful strategy to improve the self-regulatory power of addicts in combination with both chemical and behavioral treatm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실직자들의 성격이 재취업을 위한 구직강도, 부정적 행동, 생애만족 및 정신건강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데 있다. 인터넷에 의한 온라인 조사방법에 의해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최근 2개월 이내에 실직한 사람들 16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방성을 제외한 성격의 5요인 대부분이 재취업을 위한 구직강도, 실직에 따른 부정적 행동, 생애만족, 정신건강과 유의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성격의 5요인 모두는 재취업 장애요건에 대한 지각과 생애만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실하거나, 외향적이거나, 개방적이거나, 원만하거나,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사람들에서는 재취업 장애요건에 대한 지각과 생애만족 간에 부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직자들의 성격에 따라 재취업에 대한 장애요건 지각과 생애만족간의 관련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ity on behaviors,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f unemployed individuals. Among people who unemployed for less than 2 months, 1671 involuntary unemployed individuals were surveyed. Results indicated that Big 5 personality factors except openn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job-searching intensity for reemployment, negative behaviors followed by unemployment,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all of Big 5 personality facto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barriers to re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barriers to re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eople who were high in Extraversion, Emotional Stability, Agreeableness,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facto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barriers to re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eople who were low in Extraversion, Emotional Stability, Agreeableness,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성인도박 인식실태와 도박성 게임 행동 예측요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115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도박(로또, 카지노, 경마, 경륜, 경정, 소싸움)에 대한 “인지도” 및 “관심수준”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둘째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성인도박에 대한 관심”, “지각된 주위도박”, “비합리적 도박신념”, “행동활성화체계(BAS)” 및 “각 요인들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로 “도박성 게임 행동”을 예측해보았다. 첫 번째로 성인 도박에 대한 아동들의 인지도와 관심수준을 살펴본 결과 “로또”가 가장 높았으며, 남자 아동, 가정 경제수준 및 용돈 수준이 높은 아동, 6학년 아동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수준을 보였다. 두 번째로 “지각된 주위도박”, “성인도박 관심” 및 “비합리적 도박신념” 수준이 높아질수록 “도박성 게임 행동”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 아동들의 “성인도박 관심”이 “도박성 게임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남자 아동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의 시사점들을, 장래 연구와 실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trends in adult gambling and gambling behavior prediction variables of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sample of 1,115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interest level" on for adult gambling (lotto, casino, horse racing, cycling race, boat racing, bullfighting) separately, testing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quality. Second, sample of 282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using regression analysis, "interest on for adult gambling", "perceived family gambling", "irrational gambling belief", "behavior activating system(BA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factors and sex" predicted "gambl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to children's awareness of adult gambling, i.e. "lotto", the affirmation rate(77.7%) for the response "I know" was very high, "lotto" showed the highest rate among children for awareness of adult gambl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male children, with a high domestic income level and children whose pocket money level was high, and sixth grade children had a high interest level relatively. Second, these results showed that as "perceived gambling", "interest in adult gambling",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were higher, and "gambling behavior" increases. The implications glean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aspect.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ess, significant others' smoking and smoking belief on smoking behavior in adolescents. To test this purpose, the hypothetical model that smoking belief would mediate the relation of stress, significant others' smoking and smoking behavior in the stress-diathesis and social learning theory were proposed. In this study, 289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LISRE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moking belief was found in the relation so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Also the smoking belief-mediating model were proved properly. Accordingly, psychosocial mechanism was showed that there are not only the direct effects of stress and significant others' smoking on smoking behavior in adolescents but also stress induces irrational smoking belief that leads to smoking behavior subsequently.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smoking belief was found, it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cant others' smoking and smoking behavior differs with the level of smoking belief. That is to say, irrational smoking belief acts as a vulnerable factor in smoking behavior whereas rational smoking belief as a buffering factor of the significant others' smoking influences. The moderating effect of smoking belief needs to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ongoing research. These results might used to understand the processes underlying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as well as be applied to program a useful prevention and cessation interven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적 강요와 태도, 경험, 성격 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으로 태도 요인으로는 성차별적 태도, 경험 요인으로는 성장기 가정 폭력 경험, 성격 특성으로는 불안과 우울, 충동성, 자존감을 선정하였다. 전체 응답자 426명 중에서 성적 강요경험을 했거나 당했다고 보고한 사람은 128명으로 전체의 30.0%였다. 성격적 특성에 있어서는 성적 강요경험을 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남자의 경우 충동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는 우울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적 강요경험이 있는 남학생의 경우에는 성차별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더 많은 외상 증후를 보였다. 성장기 가족 내의 폭력적 경험과 성적 강요 경험의 관련성에서는, 남녀 모두 성적 강요 경험과 성장기 가족 내에서 경험한 폭력 행동이 유의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성인기의 폭력적 행동이 성장기의 폭력에 대한 노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이전의 연구를 지지해준다. 마지막으로 이후 연구에 시사하는 바와 임상실제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Contribution of agression in family of origin, sexist attitude, personality factors, TSC to the experience of sexual coercion were studied in a homogeneous sample of you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426 college student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agression in the family of origin and experience of sexual coercion. Sexual coercion was related to depression, impulsivity. Among men, sexual coercion was associated impulsivity. and Among women, sexual coercion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Sexist attitude was related to sexual coercion. But its effect is dependent on participant's sex. Men who have sexist attitude had experienced more sexual coercion. But this is not true for women. The discussion address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애착유형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변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성인남녀 147명(남 61명, 여 8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애착유형 중 불안애착을 가진 사람들이 신체화 호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불안애착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변인들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안정성 요인이 이 두 개념을 완전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나 불안애착은 정서안정성을 통해서 신체화 현상이 증가되는 것이 시사되었다. 이외에도 대인신뢰감, 자기존중감, 문제해결, 자기개념총합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불안 애착과 자아개념, 신체화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attachment type and somatization, and whether the self-related variables, self-esteem, emotional unstablity, interpersonal trust, interpersonal relation problem, problem solving,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somatization. As a result, anxious attachment styl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somatization. And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among the self-related variables, emotional stability is the full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somatization. Limitation of these studies and further study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은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원의 영향을 중재한다고 여겨지는 성격 양식이다. 이 연구에서 이러한 성격 양식이 스트레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더 나아가 우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성격 양식이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과 상호작용하여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성격 양식 질문지(PSI-Ⅱ), 생활사건 질문지, 대인관계 문제해결 질문지, 우울을 측정하였고 위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은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성취관련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과 자율지향성의 상호작용은 대인관계, 성취관련 스트레스 모두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지향성과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함의와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otropy, autonomy,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on stress. Sociotropy and autonomy are personality style that are believed to moderate the effects of stressors on depression.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se personality styles may actually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stress in the domain of vulnerability and the relation with depress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of these personality styles with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325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Personal Style Inventory-Ⅱ, Life Event Questionnair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BDI. The results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is, results indicated that sociotropy was a risk factor of interpersonal stress, but autonomy was not a risk factor of achievement stres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autonomy was a risk factor of both interpersonal stress and achievement stress when coupled with poor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But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otropy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ability was not found.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Think Aloud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사회적 행동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또래관계 문제로 인해 부모가 본 프로그램을 희망한 아동 중 1) KEDI-WISC로 측정된 IQ 90 이상, 2) DSM-Ⅳ진단면접 결과, ADHD로 진단되고, 3) 현재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 3명이다. 이들에게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를 이용하여 Think Aloud 프로그램 24회기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결 후에는 일반화(generalization) 효과와 4주 후 유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3회를 더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hink Aloud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긍정적 행동의 증가와 부정적 및 비사회적 행동의 감소를 보여 사회적 행동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Think Aloud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른 또래와 상호작용하는 놀이 환경으로 일반화 되었다. 셋째, Think Aloud 프로그램의 효과는 종결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집단에 속하는 3명의 아동만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기에 추후 사례를 더 수집하여 연구하는 방안과 학교 및 가정환경으로 일반화되는지 평가해보는 방안,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대상 아동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 통제집단을 설정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ink Aloud Program had an effect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The subjects were three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lived in Kyung Ki Do. They were selected by three criteria: 1) children with IQ above 90 on the KEDI-WISC; 2)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according to the DSM-Ⅳ criteria; and 3) children on medication for it. Think Aloud Program,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24 sessions, was implemented using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generalized and maintained, the subjects were measured three times when the program was terminated and three more times 4 weeks later. The following results emerged: first, it was revealed by the children's increased positive behaviors and decreased negative ones that Think Alou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behavior; second, the effect of Think Aloud Program was generalized into the children's playing environment where they interacted with other peers; and third, the effect of Think Aloud Program was maintained when it was measured 4 weeks later.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search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ith more additional cases, investigating whether the effects will be generalized into other environments such as school and family, developing programs focused more on the target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setting up a control group to compare with.
본 논문에서는 웰빙연구의 몇 가지 관점을 살펴보고 이들 연구에서 드러나는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해 보았다. 또한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안된 웰빙치료와 마음챙김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개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들이 일상에서 심리적 웰빙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시사하는 바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several major perspectives on well-being research are reviewed. In addition, the important factors which are considered as the key elements affecting well-being are reviewed. Then, some recent studies about well-being therapy and mindfulness that are suggested to increase well-being are reviewed as well. Finally,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people who pursue psychological well-being in everyday life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McCullough, Emmons, 및 Tsang(2002)가 개발한 감사 성향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먼저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와 문항의 속성을 분석하고 내적 일관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다음으로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타당도에 관한 준거관련 증거를 평가했다.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는 미국판의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안정적인 1요인 구조를 보였고 내적 합치도가 높았으며 적절한 준거관련 타당도와 증분 타당도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긍정 심리학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GQ-6/ McCullough, Emmons, & Tsang, 2002). GQ-6 is a short, self-report measure of the disposition to experience gratitude. First,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item property are analyzed for 269 university students. Second, criterion-related evidence of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are investigated for 328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 in a similar way as the original version, displays a stable one factor structure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showing good convergent, discriminant, and incremental validit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itive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