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손정락(전북대학교) pp.453-467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1
초록보기
초록

코칭은 코치를 받는 사람들이 있는 곳 (지금 여기) 에서부터 클라이언트들이 있기를 열망하는 곳 (미래에) 까지 수송하는 것이다. 오늘날 코칭심리학은 개인 생활과 업무 영역에서 웰빙과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심리학적 접근법에 토대를 둔 코칭 모형에 근거를 두고 있다. 한편 마음챙김과 수용-전념 기반 접근법도 웰빙, 행복 및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 수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코칭과 마음챙김과 수용–전념 접근법은 모두 클라이언트의 가치 명료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마음챙김과 수용–전념 치료(ACT)를 코칭에 통합시키는 모형을 탐구해 보았다. 끝으로, 요약과 앞으로의 방향이 제시되었다.

Abstract

Coaching is to carry the coaches from they are (here & now) to where they aspire to be (in the future). Today, coaching psychology is for enhancing well-being and performance in personal life and work domains, and rooted by models of coaching grounded in established psychological approaches. Mindfulness and acceptance-committment based approache emphasizes the training of mind as a tool to improve well-being happiness and performance. Especially, coaching psychology and mindfullness-acceptance-commitment based approaches both focused to the clients’ value clarification. Thus, in this article the models that integrate Mindfulness and Acceptance Committment Therapy (ACT) into coaching practice are explored. Finally, the summary and the future directions are presented.

최초롱(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pp.469-483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훈련이 정서지능 점수가 낮은 대학생들의 정서지능, 대인관계 문제,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할당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6주 동안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수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훈련 집단은 프로그램 후에 정서지능과 정신건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대인관계 문제는 유의하게 감소되어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DBT) Skill Train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problems, and mental health in colleges students with low lev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A DBT Skill Training Program was implemented for a total of 12 sessions over 6 weeks. A follow-up test was conducted after 6 weeks. As a result of participation in this study, emotion intelligence and mental health of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DBT Skill Training Progra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group DBT Skill Training Program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some area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정윤주(한양사이버대학원 상담심리학과) ; 김윤주(한양사이버대학교) pp.485-507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 상담 프로그램이 유아기 및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참가자는 유아기 및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프로그램 참가를 신청한 24명에게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K-PSI-SF), 심리적 안녕감 검사(PWBS) 및 부모 양육태도 검사(PAT)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NLP 상담 프로그램은 관련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NLP의 전제조건과 주요기법을 새롭게 구성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총 8회기로 1주 1회씩 8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회기는 2시간가량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직후 사후 조사가 이루어졌고, 4주 후 실험집단에 대한 추적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 그리고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NLP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양육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양육태도에 유의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추적 조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Despite broad consensus that parenting can be the most rewarding job in life, it can still be stressful to parents, especially for mothers, who are mainly in charge of parenting. This stress in the parenting role among mothers has been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ing attitude, and eventually family functio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aren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help mothers deal with their parenting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counseling program as a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attitude among mothers with preschoolers or school-aged children. A total of 24 mothers with preschoolers or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Eugene, Oregon in the United States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a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outcome was assessed by the Parenting Stress Index/SF (PSI-SF),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and Parenting Attitude Index (PA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NLP counseling program for an 8 week session, once a week, for 2 hours each session. Measures were tak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three occasions: pre-intervention, at 8 weeks, and at 4 week follow-up,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did not receive the measures at 4 week follow-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NLP counseling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owering parenting stress,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ly changing parenting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after the program, and at the 4 week later follow-up perio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김완석(아주대학교) ; 신강현(아주대학교) ; 김경일(아주대학교) pp.509-531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s of and 8-weeks implementation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LCM) and Mindfulness Meditation (MM) on psycholog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long with compassion and empathy related variables. Thirty-six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class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meditation groups (experimental groups). Twenty-two students in another class participated in an MAC (Mindfulness-Acceptance-Commitment) program, being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Eight established instrument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o measure psychological health (MAAS, MQ-30, CD-RISC), psychological resources (SCL-90-R, WHO-QOL), and empathy and compassion (SCS, BES, CLS). All the variables was measured at three time points: pre-, mid- (4 weeks later), and post-implementation (8 weeks later). The LKCM and MM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quality of life, depressive symptom, resilience,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ate love compared the to control group, but not in meta-cognition, mindfulness level, and empathy.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etween the two meditation groups. Specifically, 1) MM had a unique effect on cultivating self-compassion, 2) LCM affected compassionate love for strangers and/or humaneness in general, and 3) while the effects of MM and LCM on the total changes of the scores were almost the sam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nging processes. Possible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ome themes and hypothese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서은성(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pp.533-547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증의 원형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울, 불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병 기간이 1년 이상이며 기존의 의학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은 중증 원형탈모증 환자들로서, 서울 소재 한방 탈모 클리닉 4개 지점에서 사전평가를 통해 선발된 30명(남 14, 여 16명, 연령 범위 25∼43세)이었다. 이들은 모두 한방병원에서 시행하는 통상적 치료를 받고 있었고, 추가적으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마음챙김 명상 집단과 통상적 치료만 받는 대기-통제 집단의 두 집단에 각 15명씩 무선 할당되었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회기 당 60-70분간 주 1회씩 8주간 총 8회 진행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에 참석했으며, 하루에 1회 이상 마음챙김 명상을 실습하도록 지도받았다. 두 집단 모두 프로그램 전후에 우울(BDI), 불안(STAI), 탈모증환자의 삶의 질(Hairdex), 심리적 수용(AAQ-16), 마음챙김 주의자각(MAAS)을 측정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환자는 두 집단에 각 10명씩 모두 20명이었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우울, 불안, 삶의 질 및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감정과 낙인부여 점수의 감소 폭이 대기-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컸다. 그러나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증상, 기능, 자존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심리적 수용에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이 마음챙김을 통한 심리적 수용이 상승되었음을 보여 준 반면, 대기-통제 집단에서는 심리적 수용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 마음챙김 주의자각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evere Alopecia Areata (AA). Thirty AA outpatient individuals (14 men and 16 women, 25-43 years old) from four local Korean traditional medical clinics in Seoul, South Korea, were recruited for this through preliminary evaluation. All participants suffered from severe forms of AA for at least one year and did not respond well to conventional AA treatment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groups did not differ with respect to AA severity, depression, or anxiety. The first group received treatments as usual (TAU), which included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such as Korean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he other group received both TAU and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TAU+MM). In addition to receiving TAU, the participants in the meditation group attended 8 weekly Mindfulness Meditation sessions lasting 60-70 minutes. Both groups complete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State Trait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air Disease (Hairdex) measur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factors. We also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acceptance(AAQ-16) and mindfulness(MAAS) were related process variables. The data of 20 participants (10 in each group)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AU+MM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change than the TAU-only group with respect to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i.e., total score, Emotion and Stigmatization subscale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is capable of reducing 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 of AA on patients and improving the general quality of life of patien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including areas of needed future research.

정기원(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안귀여루(강남대학교) pp.549-563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이들의 자아존중감 및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남부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273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시험불안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였다. 연구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가 시험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민주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육태도는 시험불안에 대하여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도 나타났는데 아버지의 양육태도 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시험불안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권위적 양육태도수준이 높으면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낮고,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민주적 양육태도수준이 높으면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존중감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권위주의형 양육태도와 시험불안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parenting, and students’ test-anxiety and self-esteem within the third graders of high school. A total of 363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Yong-in Area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authoritarian attitude and the students’ level of test-anxie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self-esteem varied according to whether both of their parents were authoritarian or liberal.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and test-anxiety was prove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서경현(삼육대학교) pp.565-583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독거노인의 후회, 자기노출, 원한 및 용서가 주관적 웰빙이나 심리적 웰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런 심리적 요인들이 주관적 웰빙이나 심리적 웰빙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 380명이었으며, 연령은 만 65세에서 94세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측정도구로 PGCMS(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 자기노출척도(Self-Disclosure Scale), 후회 질문지, Rye 등의 용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심리적 요인 중에 후회가 여성 독거노인의 주관적 웰빙의 가장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었다. 성공이나 자기성취에 대한 후회보다 이웃, 특히 가족 간의 관계에 대한 후회가 여성 독거노인의 웰빙과 부적으로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후회와 원한이 정적으로 상관이 있었으며, 원한은 용서와 부적으로 관계하고 있었으나 공유하는 변량은 크지 않았다. 원한과 용서 중에 주관적 웰빙은 원한이, 심리적 웰빙은 용서가 더 잘 설명하였다. 원한과 자기노출이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노출은 심리적 웰빙과 정적으로 상관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웰빙 증진을 위하여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적용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것들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regret, self-disclosure, resentment, and forgiveness relate to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and investigate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eir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380 elderly women who were living alone in Seoul and its suburbs, whose ages ranged from 65 to 94.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Ryff’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Self-Disclosure Scale, the Regret Scale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the Forgiveness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gret accounted for the most variance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Regret on th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was mo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well-being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rather than regret on the neighborhood. Regre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entment. Although resen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rgiveness, they shared little variance. Resentment accounted for more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forgiveness did; whereas forgiveness accounted for more varia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resentment did. Resent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disclosure, and self-disclos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 means to promote the well-being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were discussed, with some considerations being suggested as to how they might be applied.

권영실(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585-601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아통제감과 무망감이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이와 같은 경로에서 가족의 지지가 무망감과 자살생각을 중재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살 생각을 낮출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서 가족지지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DSM-Ⅳ 진단기준에 따라 알코올 남용 및 의존 기준에 해당하는 213명을 대상으로 자아통제감, 무망감, 가족지지, 자살생각을 측정하여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자아통제감이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경로와 자아통제감이 무망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경로 모두 유의하여 자아통제감에 따른 자살생각에서 무망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자아통제감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아통제감과 무망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는 자아통제감과 상호작용하여 무망감 수준을 중재함으로써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fluence of the sense of self-control and hopelessness on suicidal ideation in alcohol use disorders.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suicidal ideation. The data was gathered from 213 subjects who were all diagnosed with alcohol abuse or alcohol dependency by DSM-Ⅳ in Gyeong-gi and Incheon, South Korea. In analysis using SPSS 20.0, we found a direct path from sense of self-control to suicidal ideation and an indirect path from sense of control through hopelessness, to suicidal ideation. Because the two paths were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hopelessness mediated the path from sense of control to suicidal ideation. In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 of sense of self-control on hopelessness, but did not moderate the negative effect of hopelessness on suicidal ideation. It suggests that enhanced perceived support from the family can play a protective factor for suicide ideation by moderating hopelessness in alcohol use disorders.

권영실(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김현정(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김소라(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603-618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박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밝히고자 도박심각도, 도박 빚에 대한 압박감, 가족의 정서적 지지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내 도박 경험이 있는 도박중독 치유 및 상담 센터 내방자와 도박 시설 이용자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첫째, 도박자의 도박행동이 심각할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박심각도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도박 빚으로 인한 압박감이 그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박심각도가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직접 경로와 도박심각도가 도박 빚 압박감을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간접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족의 정서적 지지는 도박심각도와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완충하는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박자의 자살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가족의 정서적 지지를 증진하는 전략과 도박심각도 및 도박 빚에 대한 압박감에 대한 주의 깊은 평가・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verity of gambling behavior, psychological pressure of debt related to gambling, and the family’s emotion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gamb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gambler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from 179 gamblers who had visited legal gambling facilities, and counseling centers for gambling addict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severity of gambling behavior is a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in gamblers. Second, psychological pressure of debt related to gamb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gambling behavior, and suicide ideation in gamblers. We found a direct path of gambling severity to suicidal ideation, and an indirect path from gambling severity, through pressure of debt related gambling, to suicidal ideation. Third, moderating effect of family emotional support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gambling behavior and suicide ideation in gambler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손솔(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서경현(삼육대학교) pp.619-635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 성향,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29명(남: 137, 여: 192)의 대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1.34(SD=2.36)세였다. 본 연구에서 감사성향척도(GQ-6),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PWBS)와 같은 심리검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성차가 없었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 대인관계를 더 맺고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율성이 더 있었다.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심리적 웰빙과 밀접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남자 대학생의 심리적 웰빙은 감사 성향이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관계 형성 및 개시 그리고 타인에 대한 배려가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여자 대학생의 심리적 웰빙은 관계 형성 및 개시가 가장 잘 설명하였고, 감사 성향과 권리 주장이 추가적인 설명력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남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긍정적 효과에 관해서는 선행연구와 몇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임상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32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21.34 (SD=2.36).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Gratitude Questionnaire-6 (GQ-6),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ut, femal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autonomy than female students. Gratitude disposi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lso,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close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le students, and the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initiating relationships and providing support showed significance. Initiating relationships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 students, and the additional accountabilitie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sserting displeasure with other actions showed significa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ositive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and clinical meaning of this study were recommend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