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지역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설득메시지의 효과: 설득자 집단범주와 메시지 유형의 영향

The Effects of Persuasive Message on Regional Attitude: The Effects of The Group Category of The Source and Message Typ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1, pp.165-182
유주란(Joo-Ran Yu)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김혜숙(Hai-Sook Kim)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메시지의 유형과 설득자의 집단범주가 지역편견을 경감시키는 데에 있어서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정적 메시지는 합리적 메시지에 비해 우리가 보다 좋아하는 내집단에 의해 전달될 때 감정적 정교화를 일으켜 설득이 더 잘 될 것이라는 가설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감정의 부정적 효과를 지적하고 이의 감소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합리적 메시지와 감정적 메시지를 만들고, 영남ㆍ호남ㆍ서울 말씨의 설득자가 이를 전달하는 메시지를 피험자들에게 들려주었다. 그 결과, 태도 평정에서 설득자 집단범주와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즉, 감정적 메시지의 경우 합리적 메시지의 경우와는 달리, 내집단 설득자가 외집단 설득자보다 더 설득효과가 컸다. 이러한 결과는 전달자에 따라 감정적 메시지가 설득을 일으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의 구체적 기제에 대해서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이론적ㆍ실제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ssage type and the group category of the source of a message on regional prejudice.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the emotional message would be more persuasive when the source was an in-group member of the recipient than when he was an out-group member, in comparison with the rational message.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 persuasive effect of an emotional message would be through the emotional elaboration that the message elicited, while that of the rational message would be due to the cognitive elaboration. To test these hypotheses, participants listened to the emotional or rational message, indic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regional conflicts in Korea. The message was delivered thriough a tape recording either by Yongnam, Honam or Seoul source, manipulated by dialects. The results obtain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he message type and the source`s group category on attitude ratings. That is, the emotional message, unlike the rational message, was more persuasive when it was delivered by an in-group source than an out-group sourc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emotional message which had been relatively ignored in persuasion research area could be as effective as the rational message, in changing prejudiced attitudes. However, the results failed to clarify the specific mechanism through which the emotional message elicited persuas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