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집단수행 상황에서 유사성 - 매력 가설의 검증

Test of Similarity-Attraction Hypotheses in Group Performance Situ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1, pp.255-275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황소정(So-Joung Hwang)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자기범주화이론을 적용하여 개인정체화된 조건과 사회정체화된 조건에서 유사성 - 매력 가설이 지지되거나 지지되지 않는 조건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집단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개인정체화되면 유사성이 개인적 매력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정체화되면 유사성이나 비유사성이 집단에서 요구되는 수준에 따라서 사회적 매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들을 두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개인적 매력과 사회적 매력이 독립된 측정치로서 변별된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모든 조건에서 두 측정치를 얻었다. 두 실험의 결과를 보면 두 실험 모두에서 비유사한 사람보다 유사한 사람에 대한 개인적 매력이 높고 공동작업자로 선택된 빈도가 높아서 유사성 - 매력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두 실험 모두에서 일관되게 집단 수행에서 구성원들의 응집성이 요구되는 과제에서는 비유사한 사람보다 유사한 사람에 대한 사회적 매력과 공동작업자로서 선택한 빈도가 높았다. 반면 집단 수행에서 구성원들의 다양성이 요구되는 과제에서는 유사한 사람보다 비유사한 사람에 대한 사회적 매력과 공동작업자로서 선택한 빈도가 높았다. 개인적 매력과 달리 사회적 매력에서 유사성과 내집단 과제 요구의 상호작용 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난 결과는 자기범주화이론을 지지하는 현상으로 해석되었다. 자기범주화에 근거를 두는 기대의 매개 효과도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유사성 - 매력 이론과 관련지어서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similarity-attraction hypotheses in personal and social self-categorization situations. It was hypothesized that, based upon self-categorization theory, similarity will be operative to personal attraction in personal self-categorization context. On the other hand, both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will be operative to social attraction in social self-categorization context, depending upon the ingroup norm for achieving high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the following predictions were proposed and examined in two independent laboratory experiments: (1)High attitude similarity would lead to high personal attraction in interpersonal comparison situation; (2)High attitude similarity would lead to high social attraction when group performance task requires homogeneity among ingroup members to achieve high performance in intergroup comparison situation; (3)Low attitude similarity would lead to high social attraction when group performance requires diversity among ingroup members to achieve high performance in intergroup comparison situation; (4)The relations between attitude similarity and attraction would be mediated by expectancy. The obtained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above mentioned predictions (1), (2), and (3). The prediction (4), a mediation effect of expectancy between attitude similarity and attractions, were partly supported in two experiments. The main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traditional theories of similarity-attraction hypotheses and self-categorization theor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