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70년대말에서의 가치, 태도 및 신념으로 본 한국인의 세대차(1)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mong Korean Adults as of 1979: 1.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lu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85, v.2 no.2, pp.129-168
車載浩(Jae-Ho Cha) (서울大學校 心理學科)

초록

한국인의 가치, 태도, 및 신념의 시대적 변천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77개 문항으로 된 질문지를 두 세대, 즉 20대와 50대 성인, 각 300명에게 실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45개의 가치에 관한 문항의 결과만을 다루었다. 표집은 성(2)x세대(2)x학력/거주지(3)의 直交設計하에 각 칸에 50명씩의 임의표집 방법으로 얻었다. 연구결과는 (1) 현재(1979당시)의 가치의 위치와 (2) 이 자료에서 판정된 시대적 변천의 유무 및 방향을 알아보는 방향으로 분석하였다. 20개의 가치는 세대차가 없었으나 다른 25개의 가치에서는 27대와 50대간의 세대차가 있어 가치의 세대간 갈등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14개의 가치는 지난 30여년간 가치변동이 없었다는 시사를 얻고 다른 15개에서는 이 기간에 가치의 변동(상승 또는 쇠퇴)이 있었다는 시사를 얻었다. 이 연구는 同時的資料(橫斷的 연구에서 얻은 자료)에서 世代間의 차이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서 時代間變動을 알아내는 방법의 첫 적용이다.

keywords

Abstract

A 177-item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00 Korean married adults, 300 in their twenties and 300 in their fifties or older, in a study designed to assess changes occurring in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mong Koreans over the span of past 30 years. The present report presents only the results from the 45 items that dealt more directly with values. An incidental sample of 50 were interviewed at their residence for each of the cells formed by a Sex (2) x Generation (2) x Education/Urban-Rural Residence (3) orthogonal design. Data were analyzed for (1) the current status of values as of 1979 and (2) evidence for epochal changes and the directions of such changes in the values studied. Of the items analyzed, 20 did not show any generational differences, but the remaining 25 did show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adults in their twenties and those in their fifties or older. Significant inter-generation differences as well as significant main effects of the education-residence variable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eneration and education residence variables, indicated that 15 of the values covered underwent changes sometime in the past 30 years and that 14 other values did not go through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same span of time. The present study represent a first application of a methodology which permits determination of possible epochal changes in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s well as their generational differences from synchronic (cross-sectional) as contrasted with diachronic data.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