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우정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friendship formation and developmen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85, v.2 no.2, pp.169-191
韓德雄(Duck-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우정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14개월에 걸친 종단적 연구를 수행했다. 대학 입학후 처음 사귄 동성 친구들 가운데 세 조사 시점에서 동일한 인물을 가장 좋아하는 친구로 선정했던 71명이 연구의 대상이었다. 이들이 친구와의 사이에서 있었던 것으로 보고한 대인행동, 자기노출 및 친구에 대한 대인매력의 변화를 성별 및 시점을 고려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를 보면, 친교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친구가 교류한 전체 행동의 다양성, 긍정적 행동수, 부정적 행동수, 최고 자기노출 수준 및 노출의 바람직한 수준이 증가되었다. 변화의 크기는 친교 후기보다 초기에 더 컸다. 대인매력 평정총점에서 세 시점간에 변화가 없었으나 대인관계의 밀접성 수준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대인행동 측정치들과 자기노출 측정치들을 함께 예언요인으로 사용하여 다음 시점에서의 대인매력을 효과적으로 중다예언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대인행동, 자기노출과 아울러 대인매력 측정치를 중다예언 요인으로 첨가하면, 다음 시점에서의 대인매력을 더 효과적으로 예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사회적 침투이론을 지지하는 자료로서 해석되었다.

keywords

Abstract

A longitudinal study was performed within a framework of social penetration theory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same sex friendship formation and development. 71 junior college students who had successfully developed into intimate friendship completed questionnaires three times an newly developing friendship during 14 months after admission to the colleg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self-reports of dyadic behaviors, self-disclosure exchanged in dyad relationship, and rating of attractiveness of the best friend. Results revealed that both diversity of interpersonal behaviors and intimacy level of self-disclosure were increased as the relationship progres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ttractiveness of the friend. It was also found that dyadic behaviors and intimacy levels of self-disclosure were good multiple predictors of attractiveness of the friend 7 months later.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a supporting data for social penetration theor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