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남들은 세금을 얼마나 낼까?: 조세 공정성 지각에서 사회비교 정보의 역할

How Much Do Others Pay?: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n Perceived Tax Fairnes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3, v.27 no.3, pp.193-207
https://doi.org/10.21193/kjspp.2013.27.3.011
이진안 (고려대학교)
최승혁 (고려대학교)
허태균 (고려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조세제도에서 타인과의 비교정보 및 세금제시 단위와 같은 세금 관련 정보의 형태와 양이 조세제도의 공정성 및 적정 세금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설문조사의 형태로 성인 315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은 급여명세서의 세금 단위가 세액으로, 세율로, 또는 세액과 세율로 모두 제시된 조건 중 한 조건에 무선할당 되었고, 이들은 종합소득과세표준 구간 상 자신의 소득구간에 해당하는 급여명세서만 보고 난 직후(타인과의 비교정보 제시 이전)와 소득 전 구간에 해당하는 급여명세서를 보고 난 후(타인과의 비교정보 제시 후) 각각의 경우에 부과된 세금 양의 적정성과 조세제도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타인과의 비교정보 제시 여부에 따라 세금의 공정성 지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타인과의 비교가 가능한(전 구간에 해당하는 급여명세서를 본 이후) 경우에 타인과의 비교정보를 보기 이전보다 조세제도가 더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금의 적정성 및 공정성 지각에 대한 타인비교정보 제공 여부와 세금제시 단위 간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즉, 타인의 세금과 비교가 가능한 상황에서는 비교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보다 조세가 더 공정하고 적정한 세금을 부과했다고 지각했는데, 특히 세금을 세액 또는 세율로 하나만 제공한 조건보다 세액과 세율을 모두 제공한 조건에서 타인비교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보의 형태와 양이 합리적 판단에 가지는 의미와 납세자들이 보다 더 공정하게 지각할 수 있는 납세정보의 형태에 대한 실질적 정책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tax fairness, tax adequacy, social comparison, metrics of tax, quantity of information, type of information, 조세 공정성, 세금 적정도, 사회비교, 세금 제시 단위, 정보의 양, 정보의 형태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exam the effect of quantity and types (such as, social comparison and amount/rate information) of tax-related information on perception of tax fairness and tax adequacy. 315 adults participated an internet survey developed with 2 (social comparison: only own paystub vs. others’ paystubs ) X 3 (metrics of tax; absolute amount vs. rate vs. both) mixed design. Participants were first presented with a hypothetical paystub within their own income range and then later five hypothetical paystubs that were designed to describe all range of income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Aggregate Income Assessment. The paystubs provide the taxes either in absolute amount, rate, or both. Participants reported twice perceived adequacy and fairness of the present tax both right after the first paystub of their own income range and after the extra five paystub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comparison information. That is, the extra five paystubs of all income range, in addition to a paystub of their own income range, made the tax system perceived fairer. Furthermore, there were a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ocial comparison information and metrics of tax. That is, the impacts of social comparison information were stronger when the paystubs provided both tax absolute amounts and rat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optimal quantity and quality of tex-related information for rational judgment and social attitudes toward tex system.

keywords
tax fairness, tax adequacy, social comparison, metrics of tax, quantity of information, type of information, 조세 공정성, 세금 적정도, 사회비교, 세금 제시 단위, 정보의 양, 정보의 형태

참고문헌

1.

김선구, 박성배, 홍정화 (2006). 소득세 누진세율 체계와 과세표준 구간의 공평성 연구. 대한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06년 12월 2일, 593-616.

2.

류윤상, 박광배, 김유진 (1996). 탈세에 대한 형평성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10(2), 23- 33.

3.

박광배 (2002). 법심리학. 서울: 학지사.

4.

박명호, 정재호 (2011). 공정사회와 조세정책. 한국조세연구원.

5.

박성배, 홍정화, 김선구 (2007). 소득세율 체계와 과세표준 구간의 공평성에 대한 세무전문가집단의 인식도 연구. 대한회계학회, 12(2), 311-340.

6.

박주철, 이남우 (2007). 조세 공평성 지각이 납세순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회계학회: 한,중 국제학술발표대회 및 제 21차 하계 정기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21, 75-91.

7.

박주철, 이남우 (2008). 과세공평성 지각이 납세순응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회계저널, 9, 123- 144.

8.

박춘래, 김종원 (2003). 우리나라 소득세제의 기간별 공평성 분석. 회계저널, 12(1), 115-152.

9.

배수진, 심태섭 (2011). 납세자의 세무신고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비경제적 요인에 대한 연구동향: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세무와회계저널, 12(3), 215-273.

10.

연합뉴스 (2010. 10. 6). 직장인 66% “나, 세금 많이 낸다”.

11.

이계원 (2001). 조세공평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세무학연구, 18(2), 7-33.

12.

이균봉, 임성근 (2009). 소득세의 기간별 수직적 공평성 분석: 사업소득과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재무와회계정보저널, 9(1), 49-72.

13.

이우택 (1995). 조세행정의 적정절차와 합리화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소, 11, 101-102.

14.

장은영, 한덕웅 (2004). 사회비교의 목표, 대상 및 결과에 따른 자기정서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27-153.

15.

장호영 (2010). 세율변화에 따른 공평성분석: 소득세를 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31, 343-357.

16.

한국일보 (2010. 9. 20). 부자감세 ‘논란 불씨’ … 서민들 세부담 증가로 불똥 튈라.

17.

한국일보 (2011. 12. 3). 여권 ‘부자 증세론’ 갈등 확산.

18.

Adams, S. J.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 267-299.

19.

Ankrom, J. (1993). An analysis of horizontal and vertial equity in Sweden, the U. S. and the U. K..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95(1), 119-124.

20.

Berliant, C. M. & Strauss, P. R. (1985).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characteristics of the federal individual income tax, 1966-1977. In M. David & T. Smeeding(Eds.), Horizontal Equity, Uncertainty, and Economics Well-Being (pp. 179-214).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Dean, P., Keenan, T., & Kenney, F. (1980). Taxpayers’ attitudes to income tax evasion: An empirical study. British Tax Review, 25, 28-44.

22.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 117-140.

23.

Heath B. T., Chatterjee. S., & France. K. R. (1995). Mental accounting and changes in price: The frame dependence of reference depend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 90-97.

24.

Hite A. P. (1997). An investigation of moral suasion and vertical equity arguments on intended taxpayer noncompliance. Law&Policy, 19(1), 1-22.

25.

Letzring. D. T., Wells, M. S., & Funder, C. D. (2006). Information quantity and quality affect the realistic accuracy of personality judg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1), 111-123.

26.

Lively, J. K.,Steelman, C. L., & Powell, B. (2010). Equity, emotion, and household division of labor response.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3(4), 358-379.

27.

McCaffery, J. E., & Baron, J. (2003). The humpty dumpty blues: Disaggregation bias in the evaluation of tax system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91, 230-242.

28.

McCaffery, J. E., & Baron, J. (2004). Framing and taxation: Evaluation of tax policies involving household composition.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5, 679-705.

29.

McCaffery, J. E., & Baron, J. (2006). Thinking about tax.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12(1), 106-135.

30.

Moser, V. D., Evans III, H. J., & Kim, K. C. (1995). The effects of horizontal and exchange inequity on tax reporting decisions. The Accounting Review, 79(4), 619-634.

31.

Thaler, R. (1985). Mental accounting and consumer choice. Marketing Science, 4(3), 199-214.

32.

Wood, V. J. (1996). What is social comparison and how should we study i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5), 520-53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