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성숙성 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먼저 1차 예비척도 문항은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대한 개념 정의를 근거로 개발된 여러 척도들을 검토하고 심리사회적 성숙성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총 195문항을 선정하였다.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예비문항 45개로 축소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대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최종적으로 16문항을 확정하였고 3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3개 요인은 개인적 성숙성, 대인적 적합성, 사회적 개방성으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척도의 타당화를 위하여 삶의 만족, 심미적 감수성, 및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신경증 경향과 정서조절곤란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네 번째, 독립적으로 표집한 대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요인 구조의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척도가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측정하는 신뢰로운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을 제안하였다.
A new scale for measuring psychosocial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was construct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At the first stage, 195 items tapping various aspects of psychosocial maturity were extracted from the previous scales for measuring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from literature review. Based on evaluation of the whole items by 7 psychology students, 45 items were selected. At the second stag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45 items with 241 college students of both sexes. Using a scree test, we extracted three factors of 16 items; they are ‘personal maturity’, ‘interpersonal adaption’, and ‘social openness’. To check validity of scales, the correlations with related scales were examined. The correlations with satisfaction of life, aesthetic sensitivity, and subsca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e correlations with neurotic propensity and with difficulty of emotional regulation were negative. The results supported that this scale is a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maturity. At the last stage of checking the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nother sample of 27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upported the preceding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노이경 (2012). 한국 성인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97-337.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문정순 (2007).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정희 (2002). 부모의 가정교육방향 및 양육행동이 자녀의 심리 사회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봉연, 황상민 (1993). 서울대생의 심리사회 성숙성에 관한 연구. 학생연구, 28(1), 1-31.
서수균, 정영숙, 안정신, 박민아 (2012). 성숙한 사람의 특징. 대동철학연구회 논문집. 대동철학 제59집.
양병화 (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이순묵 (2001).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이현수 (1997). 한국판 아이젱크 성격검사 실시요강. 서울: 학지사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877- 896.
여정희, 현미열, 이은주, 박은옥, 김정희, 송효정 (2005). 일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 우울 및 자존감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4(1), 73-81.
윤 진, 김도환 (1995). 군복무 경험이 청년초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심리. 사회적 발달을 중심으로 한 탐색 연구. 한국심리학회 ‘95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185-197.
장세호 (2003). 동양의 이상적 인간관, 남명학연구, 제 16집, 381-423.
정옥경 (2006). 가정환경이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옥분 (2007). 인간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정은이 (2003). 일상적 창의성과 심리 사회적 적응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3(18), 103-120.
조긍호 (2007b). 동아시아 집단주의와 유학사상: 그 관련성의 심리학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21-53.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 1015-1038.
조애리, 김계현 (2011). 대학생의 자아정체성 지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상담학 연구, 12(1), 283-300.
조윤경 (2003).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91-109.
탁진국 (2011). 심리검사-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한규석 (1991). 사회심리학 이론의 문화특수성: 한국인의 사회심리학 연구를 위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6(1), 132-155.
한덕웅 (1994). 퇴계심리학.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황명숙 (2001).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사회적 문제 해결양식의 관계. 원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지도연구. Vol.21.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822-848.
Berzonsky, M. D., & Kuk, L. S. (2005). Identity style, psychosocial maturity, and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9, 235-247.
Bingham, C. R., . Shope, J. T, Zakrajsek, J., & Raghunathan, T. E. (2008). Problem driving behavior and psychosocial maturation in young adulthood.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0, 1758-1764.
Côote, J. E. & Levine, C. G. (2002). Identity formation, agency, and culture: A social psychological synthesi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ntes
Din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Eysenck, H. J., & Eysenck, S. B. G. (1991). Manual for the Eysenck Personality Scales. London: Hodder & Stoughton.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Greenberge, E., & Sorensen, A. B. (1974). Toward a concept of psychosocial maturit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 329-358.
Monahan, K. C., Steinberg, L., Cauffman, E., & Mulvey, E. P. (2009). Trajectories of antisocial behavior and psychosocial maturity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Development Psychology, 45(6), 1654-1688.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981.
Schwartz, S. J. (2001). The evolution of Eriksonian and neo-Eriksonian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A review and intergration. Identit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and Research, 1, 7-58.
Sheldon, K. M., & Kasser, T. (2001). ‘‘Getting older, getting better’’: Personal strivings and psychological maturity across the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37, 491-501.
Suh, E. M. (2002). Culture, identity consist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 1378-1391.
Waterman, A. S. (1972).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social maturity of entering college freshmen and their expetation about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1), 4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