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에 따른 군집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 일상적 차별감, 남/북 공동체 지지 간 차이

The Differences of Acculturation Stress, Everyday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from North/South Korean according to Acculturation Clusters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in South Kor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7, v.31 no.2, pp.77-99
https://doi.org/10.21193/kjspp.2017.31.2.005
한나 (이화여자대학교)
이승연 (이화여자대학교)
이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진입기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차원 문화적응 모델을 기반으로 원문화 및 주류문화에 대한 문화지향성을 문화적 행동과 가치라는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문화적응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북한이탈 청년 94명(남: 38명, 여: 5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은 세 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남한문화 행동이 적은) 부분 통합’, ‘(북한문화 행동․가치가 보통인) 부분 분리’, ‘(남한문화 행동이 우세한) 동화.’ 한편, ‘(남한문화 행동이 우세한) 동화’는 가장 낮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문화충격/이질감, 차별, 주변화)를 보고한 반면, ‘(남한문화 행동이 적은) 부분 통합’은 가장 높은 일상적 차별감(불공정 대우, 개인적 거절감)을 보고하였다. 또한 ‘(남한문화 행동이 우세한) 동화’는 ‘(북한문화 행동․가치가 보통인) 부분 분리’ 보다 남한 공동체 지지 수준이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 청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먼저 남한사회의 차별적 분위기를 감소시키고 두문화주의가 가능한 사회문화 맥락을 만드는 것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북한이탈주민,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차별, 사회적 지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ssify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acculturation model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North Korean refugee youth. For this reason, after we respectively divided heritage/receiving cultural orientations into two domains(cultural behaviors and values). Participants were 94 North Korean refugee youths aged 18 to 28 (male: 38, female: 56). Self-report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were categorized 3 types as follows: ‘the partial integration (with small cultural behaviors of South Korea)’, ‘the partial separation (with average cultural behaviors․values of North Korea)’, ‘the assimilation (with superior cultural behaviors of South Korea).’ The assimilation was the lowest on acculturation stress, while the partial integration was the highest on everyday discrimination. The support from South Korean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ssimilation than in the partial separation. Based on result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reating sociocultural context of biculturalism to improve their adaptation.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북한이탈주민,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차별, 사회적 지지

참고문헌

1.

금명자, 권해수, 이희우 (2004). 탈북 청소년의문화 적응 과정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95-308.

2.

김금미 (2011). 대학생의 탈북자에 대한 수용적행동의도와 행동을 설명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3), 1-16.

3.

김연희, 김현아, 조영아, 김유진, 이겨레 (2009). 북한이탈청소년 심리사회적응평가도구 개발 연구. 서울: 무지개청소년센터.

4.

김윤나 (2008).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관한 연구. 아동과 권리, 12(4), 401-421.

5.

김은경, 권정혜 (2009). 탈북자 문화적응척도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61-781.

6.

김인숙, 유시은 (2015). 탈북대학생 학업중단 요인과 지원 방안: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다문화와 평화, 9(3), 122-142.

7.

김종국, 조아미 (2008). 새터민청소년의 사회적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5(2), 103-119.

8.

김태국, 정은의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의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후성장과 문화적응. 북한학보, 37(2), 147-173.

9.

김태동 (2010).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관계에서 탈북 후기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17(9), 277-296.

10.

김현옥 (2011). 재한 동아시아 유학생의 문화적응, 지각된 차별감, 민족유형이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현옥, 추상엽, 임성문 (2014). 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1), 1-18.

12.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5(2), 51-89.

13.

김희경, 신현균 (2010).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 증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707-724.

14.

박순호 (2016). 대구․경북지역의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168-179.

15.

박영숙 (2012).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문화변용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2), 144-154.

16.

박주현, 변미희 (2008). 새터민 초등학생의 문화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모교육연구, 5(2), 7-78.

17.

서한나 (2009). 아시아권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 수준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민족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송운석, 김명선 (201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지지가 남한 사회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9(1), 54-91.

19.

양계민 (2009).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0(4), 387-422.

20.

이예슬, 김은하 (2015).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에 따른 군집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2(3), 295-316.

21.

이채영, 박주희 (2014). 탈북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레질리언스가 우울증상에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3), 313-324.

22.

윤상석 (2009). 북한이탈청소년 현황과 과제. 다문화교육연구, 2(2), 138-154.

23.

윤인진, 채정민 (2010).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상호인식: 정체성과 사회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4.

이은선 (2015).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정체성적응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의 어려움,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전연숙, 강혜영 (2010). 탈북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 차이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69-487.

26.

정윤경, 김희진, 최지현 (2015). 북한이탈주민의차별경험과 적응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31(2), 157-182.

27.

정진경 (2002).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 탈북자 자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163-177.

28.

정진웅 (2004). 적응을 넘어서: 탈북 청소년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열린교육연구, 12(2), 179-194.

29.

조영아 (2011).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1), 1-19.

30.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31.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32.

채나리 (2011). 북한이탈주민의 문화변용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10(단일호), 165-185.

33.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채정민, 김종남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상대적박탈감과 심리적 적응: 개인적 정체감과 사회적 정체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1), 41-63.

35.

채정민, 이종한 (2004).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문화이질성: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2), 79-101.

36.

채정민, 한성열, 허태균, 김동직 (2002). 북한이탈주민용 문화적응 전략척도 개발.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2002년 동계학술대회, 85-94. 12월 14일.

37.

통일부 (2017). 통일부 홈페이지 북한이탈주민통계자료. http://www.unikorea.go.kr/ 에서2017. 5. 1 자료 얻음.

38.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홍순혜, 이숙영 (2008). 청소년 새터민의 문화변용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6), 121-144.

40.

홍순혜, 이숙영, 김선화 (2010).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변용 추적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1), 343-365.

41.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

42.

Barnes, L. L., De Leon, C. F. M., Wilson, R. S., Bienias, J. L., Bennett, D. A., & Evans, D. A. (2004). Racial differences in perceived discrimination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blacks and white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6(3), 315-337.

43.

Berry, J. W. (1980). Social and cultural change.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5, 211-279.

44.

Berry, J. W. (Ed.). (2002). Cross-cultural psychology:Research and applicat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Berry, J. W., Phinney, J. S., Sam, D. L., & Vedder, P. (2006a). Immigrant youth: Acculturation, identity,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55(3), 303-332.

46.

Berry, J. W., Phinney, J., Sam, D. L., & Vedder, P. (2006b). Immigrant youth in cultural transition:Acculturation, identity and adaptation across national context. New Jersey: Mahwah.

47.

Berry, J. W., & Sabatier, C. (2010). Acculturation, discrimination, and adaptation among second generation immigrant youth in Montreal and Par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4(3), 191-207.

48.

Brown, C. M., Gibbons, J. L., & Hughes, H. M. (2013). Acculturation clusters and life satisfaction. Acta de Investigación Psicológica, 3(2), 1108-1121.

49.

Cabassa, L. J. (2003). Measuring acculturation: Where we are and where we need to go.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25(2), 127-146.

50.

Chen, S. X., Benet-Martínez, V., & Harris Bond, M. (2008). Bicultural Identity, bilingualis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societies: Immigration-based and globalizationbased accultu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76(4), 803-838.

51.

Chia, A. L., & Costigan, C. L. (2006). A person-centred approach to identifying acculturation groups among Chinese Canadian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1(5), 397-412.

52.

Clark, R., Coleman, A. P., & Novak, J. D. (2004). Brief report: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veryday discrimination scale in black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27(3), 363-368.

53.

Del Pilar, J. A., & Udasco, J. O. (2004). Deculturation: Its lack of validity.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0(2), 169-176.

54.

Dubow, E. F., & Ul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55.

Gordon, M. M. (1964). Assimilation in American life:The role of race, religion, and national origins. New York, US: Oxford University Press.

56.

Jang, Y., Kim, G., Chiriboga, D., & King-Kallimanis, B. (2007). A bidimensional model of acculturation for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Studies, 21(3), 267-275.

57.

Juang, L. P., & Cookston, J. T. (2009). Acculturation, discri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nese American adolescents:A longitudinal study.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30(3-4), 475-496.

58.

Kunst, J. R., & Sam, D. L. (2013).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cculturation expectations and Muslim minority youth's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7(4), 477-490.

59.

Le, T. N., & Stockdale, G. (2008). Acculturative dissonance, ethnic identity, and youth violence.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1), 1-9.

60.

Major, B., & O'Brien, L. T. (2005). The social psychology of stigma.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6, 393-421.

61.

Montreuil, A., & Bourhis, R. Y. (2001). Majority acculturation orientations toward “valued” and “devalued” immigra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2(6), 698-719.

62.

Oppedal, B., & Idsoe, T. (2015).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of unaccompanied minor asylum seeker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6(2), 203-211.

63.

Pascoe, E. A., & Smart Richman, L. (2009).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5(4), 531.

64.

Pfafferott, I., & Brown, R. (2006). Acculturation preferences of majority and minority adolescents in Germany in the context of society and famil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0(6), 703-717.

65.

Ramos, M. R., Cassidy, C., Reicher, S., & Haslam, S. A. (2016).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on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7(3), 401-420.

66.

Rodriguez, N., Myers, H. F., Mira, C. B., Flores, T., & Garcia-Hernandez, L. (2002).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acculturative Stress inventory for adults of Mexican origin. Psychological Assessment, 14(4), 451-461.

67.

Romero, A. J., Carvajal, S. C., Valle, F., & Orduña, M. (2007). Adolescent bicultural stress and its impact on mental well-being among Latinos, Asian Americans, and European American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5(4), 519-534.

68.

Rudmin, F. W. (2003). Critical history of the acculturation psychology of assimilation, separation, integration, and marginaliza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7(1), 3-37.

69.

Ryder, A. G., Alden, L. E., & Paulhus, D. L. (2000). Is acculturation unidimensional or bidimensional? A head-to-head comparison in the prediction of personality, self-identity, and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1), 49-65.

70.

Safdar, S., Dupuis, D. R., Lewis, R. J., El-Geledi, S., & Bourhis, R. Y. (2008). Social axioms and acculturation orientations of English Canadians toward Britishand Arab Muslim immig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2(5), 415-426.

71.

Schwartz, S. J., Unger, J. B., Zamboanga, B. L., & Szapocznik, J. (2010). Rethinking the concept of acculturation: Implica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65(4), 237-251.

72.

Schwartz, S. J., & Zamboanga, B. L. (2008). Testing Berry's model of acculturation: A confirmatory latent class approach.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4), 275-285.

73.

Schmitt, M. T., Branscombe, N. R., Postmes, T., & Garcia, A. (2014). The consequence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40(4), 921-948.

74.

Sullivan, C., & Kashubeck-West, S. (2015). The interplay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modes.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ents, 5(1), 1-11.

75.

Tadmor, C. T., & Tetlock, P. E. (2006). Biculturalism a model of the effects of second-culture exposure on acculturation and integrative complexit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7(2), 173-190.

76.

Williams, D. R., Yu, Y., Jackson, J. S., & Anderson, N. B. (1997). Racial differenc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o-economic status, stress and discriminatio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3), 335-351.

77.

Zane, N., & Mak, W. (2003). Major approaches to the measurement of acculturation among ethnic minority populations: A content analysis and an alternative empirical strategy. In K. M. Chun, P. E. Balls-Organista, & G. E. Marín (Eds.). Acculturation: Advances in theory, measurement, and applied research (pp.38-60).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