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 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Perceptions of criminal voyeurism: Based on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8, v.32 no.3, pp.1-18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3.001
홍영은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박지선 (숙명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성범죄인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인남녀 291명을 대상으로 카메라등이용촬영죄(소위 불법촬영, 몰래카메라 범죄)의 지각된 범행동기, 범죄노출경험 및 해당 범죄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자기보호행동,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 카메라등이용촬영죄 가해자 및 피해자의 책임 및 비난 정도, 양형 판단을 조사하여, 독립표본 t-test, 카이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과 남성은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범행동기를 다르게 지각하였다. 여성은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목격경험이 많은 반면, 남성은 불법 촬영물에 대한 시청 경험이 더 많았다. 범죄 두려움에서 기인하는 자기보호행동에서도 성차가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은 자기보호행동을 보고했다.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성차별적 태도, 즉 높은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보고하였다.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인식(피․가해자 비난 및 책임, 양형판단)의 성차를 비교한 결과, 남성은 여성에 비해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사건 발생에 있어 피해자의 책임을 더 크게 지각하고, 피해자에 대한 비난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가해자 책임과 가해자에 대한 처벌수위 판단에 있어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가해자 책임 및 피해자에 대한 비난 판단을 달리 했다. 적대적 성차별주의 하위요인은 가해자 책임을 적게, 피해자에 대한 책임은 높게 평정하는 데 관련이 있으며,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피해자 비난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근절 대책에 대해 갖는 함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keywords
criminal voyeurism, sexual violence, gender difference, ambivalent sexism, victim blaming,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범죄, 성차, 양가적 성차별주의, 피해자 비난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criminal voyeurism(illegal shooting crim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 total of 291 males and femal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Questionnaire involved criminal motives, crime exposure experience, self-protection behavior, victim and perpetrator blame, responsibility, and sentence judgment. and Ambivalent Sexism scal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Gender difference were found on perception of criminal voyeurism: Women and men differently perceived motives for criminal voyeurism. While Women reported more frequent experiences of witnessing criminal voyeurism than men did, men had more experience of watching criminal voyeurism shootings than women did. There was also a gender difference in the self-protection behaviors: Women reported more frequent and various self-protection behaviors. For Ambivalent Sexism attitude, males exhibited a higher Ambivalent Sexism attitude than females, both in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to perception of criminal voyeurism, males tended to blame victims more for criminal voyeurism case than females, although sentencing judgement on criminal voyeurism did not differ by gender. According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perpetrator responsibility and victim blame was differently related by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sub-factor. Final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criminal voyeurism, sexual violence, gender difference, ambivalent sexism, victim blaming,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성범죄, 성차, 양가적 성차별주의, 피해자 비난

참고문헌

1.

경찰청 (2016). 경찰범죄통계.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529에서 검색.

2.

권인숙, 이미경 (2015). 우리가 말하는 피해자란 없다: 성폭력 통념 비판과 피해 의미 재구성.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3.

김성미, 박미라 (2014). 남녀고등학생의 성폭력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2), 970-978

4.

김영철, 조현욱 (2016).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신체부위 해당여부. 법학연구, 57(3). 151-177.

5.

김은지, 박지선 (2011).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 한국심리학회지:법정, 2(2), 171-183.

6.

김종오, 함혜현 (2013). 해수욕장 성범죄의 특성과 범죄예방에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9(6), 167-182.

7.

김재은, 김지현 (2016).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중심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강간통념의 관계. 상담학연구 17(1), 187-205.

8.

대검찰청 (2016). 2016 범죄분석. http://www.spo.go.kr/spo/info/stats/stats02_2016.jsp 에서 검색

9.

대법원 (2008.9.25.) 대법원 선고 2008도7007 판결.

10.

박명숙, 한인영, 유서구 (2008). 성폭력에 대한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16(2), 123-146.

11.

박혜림 (2017). 몰래카메라 범죄의 해석과 입법적 개선방안. 법과정책 23(3), 101-126.

12.

배상균 (2016). ‘도촬행위’ 현상과 규제에 관한비교법적 검토. 형사정책연구, 27(1), 199-227.

13.

서윤정, 박지선 (2013).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성범죄 사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7(1), 33-59.

14.

송승현 (2017). 성폭력처벌법 제 14조 제 1항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의 판단 문제. 법학논총 24(1), 337-364.

15.

심현정, 신소라, 조윤오 (2017). 대학생의 일상활동이 지하철 성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19(1), 39-61.

16.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2005). 한국형 양가적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39-66.

17.

안상수, 백영주, 김인순, 김혜숙, 김진실 (2007). 한국형 다면성별의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7, 2-204.

18.

여성가족부 (2017). 2016년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결과보고서. 1-68.

19.

여성가족부 (2017.09.27). 디지털 성범죄 피해방지 종합대책. 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228608에서 검색

20.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19.

21.

이선경, 허용회, 박선웅 (2015). 성별과 나이에따른 성폭력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9(1), 65-81.

22.

이은숙, 강희순 (2014).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지, 20(1), 18-56.

23.

이재영, 유영재 (2014). 여성의 성범죄 두려움에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3(1), 170-202.

24.

이정원, 김혜숙 (2012). 강간사건 판단에 주변 단서들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26(1), 47-73.

25.

이주락 (2013). 지하철 성범죄의 유형별 실태분석과 대응전략. 한국범죄심리연구, 9(1), 175-196.

26.

이해선 (2017.11.06). 한샘, 사내 성폭행 ‘일파만파’... 누리꾼 공분, 불매운동으로 확산. 폴리뉴스.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 no=334897 에서 검색

27.

전영실, 승재현, 전현욱 (2016). 국민안전 보장을위한 형사정책 실효성 검증 및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6-12, 1-376.

28.

전윤경 (2016).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구성요건 해석및 개선방안. 법학연구, 19(3), 113-144.

29.

조무용, 김정인 (2016). 성평등의식과 성차별주의가 스토킹통념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109-134.

30.

조윤오 (2016). 성범죄 유형 별 재범 요인 연구:카메라 촬영 범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2(4), 147-170.

31.

진경선, 김수연, 정유경, 송현주, 송민 (2017).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289-313.

32.

최은하 (2013). 경찰학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성평등의식과 성희롱 통념 비교. 한국위기관리논집 9(11), 115-131.

33.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34.

Abrams, D., Viki, G. T., Masser, B., & Bohner, G. (2003).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111-125.

35.

Chapleau, K. M., Oswald, D. L., & Russell, B. L. (2008). Male rape myths: The role of gender, violence and sexism.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3(5), 600-615.

36.

Check, J. V. P., & Malamuth, N. M. (1984). Can there be positiv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pornography experiments? Journal of Sex Research, 20(1), 14-31.

37.

Cowan, G. (2000a). Beliefs about the causes of four types of rape. Sex Roles, 42, 807-823.

38.

Cowan, G. (2000b). Women’s hostility toward women and rape and sexual harassment myths. Violence Against Woeman, 6(3), 238-246.

39.

Durán, M., Moya, M., Megías, J. L., & Viki, G. T. (2010). Social perception of rape victims in dating and married relationships: The role of perpetrator’s Benevolent Sexism. Sex Roles, 62(7-8), 505-519.

40.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3), 491-512.

41.

Glick, P., & Fiske, S. T. (1997).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Measuring Ambivalent Sexist attitudes toward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1), 119-135.

42.

Grubb, A., & Harrower, J. (2008). Attribution of blame in cases of rape: An analysis of participant gender, type of rape and perceived similarity to the victim.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3(5), 396-405.

43.

LeMaire, K. L., Oswald, D. L., & Russell, B. L. (2016). Labeling sexual victimization experiences:The role of sexism, rape myth acceptance, and tolerance for sexual harassment. Violence and Victims, 31(2), 332-346.

44.

Shearer, C. L., Hosterman, S. J., Gillen, M. M., & Lefkowitz, E. S. (2005). Ar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ssociated with risky sexual behavior and condom-related beliefs? Sex Roles, 52(5-6), 311-324.

45.

Viki, G. T., Abrams, D., & Masser, B. (2004). Evaluating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Sexism in perpetrator blame and recommended sentence length. Law and Human Behavior, 28(3), 295-303.

46.

Yamawaki, N. (2007). Rape perception and the function of Ambivalent Sexism and gender-role traditionalit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2(4), 406-42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