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원 검사와 단축형 검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Latent Profile Analysis of 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Focused on comparison of origin form and short form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2, v.36 no.4, pp.253-279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4.002
최상민 (한림대학교)
조은실 (고려대학교)
박용천 (고려대학교)
최기홍 (고려대학교)
서동기 (한림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의 단축형 검사의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원 검사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와 동등한지를 검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에는 총 1,059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5개의 일반 요인과 5개의 부적응 요인 상위 10요인 점수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BDPI 원 검사의 잠재 집단은 세 집단으로 나타났고, 단축형 검사도 원 검사와 동일하게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진은 세 집단을 적응형 성격 집단, 보통 성격 집단, 부적응형 성격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두 검사의 각 집단 별 점수 분포를 확인해본 결과 유사한 점수 분포가 나타났으며, 원 검사와 단축형 검사의 퍼센트 일치도는 86.89%로 높은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고, Cohen’s kappa 계수는 .78로 상당한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다. 단축형 검사의 잠재 집단에 따른 성격 요인 점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반 성격 5요인과 부적응 성격 5요인 모두 집단에 따른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잠재 집단에 따른 상위 요인 10개의 성격 요인 점수의 차이를 확인했을 때 일반적 성격 특성에서 점수 차이가 없던 두 집단이 부적응적 성격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도출된 세 집단이 실제 부적응 성격인 성격장애 점수를 예측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판 축약표준성격평가-자기보고형(SAPAS-SR) 점수를 종속변수로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에 따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부적응형 성격 집단이 SAPAS-SR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BDPI, BDPI short form, Person-centered approach, Latent profile analysis, BDPI, BDPI 단축형 검사, 사람 중심 접근법, 잠재프로파일 분석

Abstract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of 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Short Form was conducted and verified whether it was equivalent to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 of the original form. Collected 1,059 people data for BDPI validation study was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10 high-order factor score of General personality 5 and Maladaptive personality 5 factor. In BDPI original form, latent group was determined as three groups. and BDPI short form’s latent group was determined as three groups like the orignal form. These three groups were named as “well-adjusted personality group”, “ordinary personality group”, “maladaptive personality group”. As a result, the score distribution of each group of the two forms were similar each other like that score distribution was found before, the percentage agreement between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was 86.89%, and the Cohen’s kappa coefficient between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was .778, showing a significant level of agreement.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scores according to three latent groups of the short for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scores of the high-order 10 factors according to the latent group was confirmed, the two groups with no score difference in general personality tra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adaptive personality trait. The latent groups predict differently Self-Report Standardized Assessment of Personality- Abbreviated Scale(SAPAS-SR) score, which proved prediction validity of BDPI-SF. The score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aladaptive personality group predicted the high SAPAS-SR average score. Finally,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keywords
BDPI, BDPI short form, Person-centered approach, Latent profile analysis, BDPI, BDPI 단축형 검사, 사람 중심 접근법, 잠재프로파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