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군 사기 앙양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지휘유형 연구 : Multivariate Analysis의 응용

A Study of Effective Leadership Style Improving Morale of the Korean Army : An Application of Multivariate Techniqu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88, v.4 no.1, pp.289-323
조남국 (육군사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까지의 군사기 연구들은 그 개념정립과 측정에서 미흡한 결과들을 보여 왔는데, 주원인은 사기의 간접적인 측정과 1차원적인 분석 방법의 적용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기를 mood의 형태로서 보다 직접적으로 접근해 가는 반면, 다차원적인 자료 분석을 통하여 과거의 고민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추진을 위하여 우선 사기요인 및 지휘유형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들이 개발되었고, 그 자료들은 Principal-Axes-Factor Analysis로 처리되었다. 그 다음에는 사기요인과 지휘 유형간의 관계규명을 위하여 stepwise MR과 Canon. Analysis가 적용되었다. 이 방법들은 사기 앙양을 위해 효과적일 수 있는 지휘 유형의 순서들을 결정하는데 ① 사기요인별, ② 전반적인 사기, ③ 중점적인 사기 앙양이라는 관점에서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Canon, Analysis는 사기 앙양을 위한 목표설정의 우선 순위까지도 제공해 주었다.

keywords

Abstract

In the previous studies of military morale, the results were still insufficient with regard to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Their major causes were indirect approaches to the concept and the use of uni-dimesional analysis. In this study, therefore, military morale was directly approached to measure as a type of mood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used.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sists of 2 parts. At first, 2 questionnaires for the measurement of morale factors and leadership styles were developed, in which the data were dealt with Principal-Axes Factor Analysis. In the second place, stepwisc Multiple Regression and Canonical Analysis were applied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e factors and leadership styles. These methods presented alternatives to determine the order of effective leadership styles in various aspects. These are improving as follows : 1) morale factors in seperate, 2) general morale in whole and 3) major morale factors. Especially, Canonical Analysis could offer a priority of goal setting for morale improving in general.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