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격성의 사회인지적 매개과정에 관한 두가지 기초연구 -공격영화장면의 효과와 공격성수준에 따른 차이-

Two Exploratory Studies on the Social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The Effects of Aggression Film and of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Agg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2, v.6 no.2, pp.1-10
곽금주(Keum-Joo Kwak)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윤진(Gene Yoo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청소년의 공격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두개의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1에서는 공격영화 시청의 효과에 관해 살펴보기 위하여, 국민학교 5,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2학년 각기 남학생 20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공격영화 또는 중립영화를 시청한 후 애매한 영화장면에 대해 판단하게 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청소년에서 중립영화에 비해 공격영화시청이 그들의 공격적인 사고를 활성화시키는데 주요한 작용을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이 지닌 공격성정도를 고려하지 않은 점이 과제로 남아 있다. 그리하여 공격적인 청소년이 갖는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 2를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1,2학년의 남학생 261명 중에서 공격적인 집단(46명)과 비공격적인 집단(47명)을 선정하여 애매한 문제상황을 제시하고 이 상황에 대한 사회정보처리과정(판단과정과 반응과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공격적인 청소년에 비해 공격적인 청소년이 공격적인 상황판단을 더 많이 하였으며, 공격적인 반응을 더 많이 생성하였고, 공격행동을 긍정적이며 또한 효과적이라고 평가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청소년이 지닌 공격성에 따라 공격영화 시청의 효과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Abstract

For exploring the cognitive mechanism of aggression in adolescents, two studies had been done. In study 1, 5th and 6th grade(N=20), 8th grade(N=20), and high school juniors(N=20) watched the film and then were asked to judge the ambiguous scenes whether they were aggressive or not. Comparing with the neutral film, for the high school juniors more aggressive thoughts were activated after viewing the aggressive film. The second study was aimed at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aggressive adolescents. Among 261 high school juniors the aggressive group(N=46) and nonaggressive group(N=47) were selected. They were presented 5 ambiguous problem situations, and asked to judge them and to write the response. In the results, comparing with the nonaggressive group, the aggressive adolescents judged those situations as aggressive one, generated more aggressive responses and evaluated the agressive behaviors as the positve one. Concerning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agressive film in the aggressive adolescent, futher research in the future is need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