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생각억제와 자기노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nd self-disclosure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on well-being and health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5, v.10 no.2, pp.183-209
한덕웅 (성균관대학교)
박준호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스트레스를 유발한 생활사건에 관해서 타인에게 털어놓고 이야기하거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분산하게 되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반복생각, 생각회피, 생각억제를 하게 되면 이 준거변인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이 가정에 근거를 두고 (1) 선행연구에서 제작한 반복생각, 생각회피 및 자기노출 척도를 수정하여 선행연구(한덕웅, 박준호, 김교헌, 2004)의 결과가 본 연구에서도 반복해서 나타나는지 알아보려고 이 세 변인들이 각각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보인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2) 통합이론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서 반복생각, 생각회피, 생각억제, 주의분산 및 자기노출 가운데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3) 사건의 중요도와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서 이 다섯 변인들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고 가정하였다. 전국에서 1,02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사연구의 결과를 보면 위의 가설들이 완전히 지지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한편 앞의 예측변인들이 준거변인들에 미치는 효과는 스트레스 사건의 중요도와 스트레스를 경험한 수준에 따라서 달리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국내외 연구의 결과들과 비교하고 장래 연구의 과제도 논의하였다.

keywords
스트레스 사건, 자기노출, 반복생각, 생각회피, 생각억제, 주의분산, 주관안녕, 신체건강, stressful life event, self-disclosure,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distraction, subjective well-being, physical health, stressful life event, self-disclosure,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distraction, subjective well-being, physical health

Abstract

It was assumed that, self-disclosure and distraction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would affect positively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health, and that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would affect negatively criteria variables. Based upon the above assumption, following hypotheses were derived and examined through a survey research: (1)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rumination, avoidance, and self-disclosure on subject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health would be significant, respectively. (2) Among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distraction, and self-disclosure, finding the significant main factors affecting criteria variables. (3)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ortance and stress of the stressful event, the above predictors would affect differently criteria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21 college students from five regional areas in Korea.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physical symptoms, and physical illness were also measured as criteria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pported fully or partially the above hypothesis. Of importance, self-disclosure of the stressful life event affected positively subjective well-being when the level of rumination was low. This findings imply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elf-disclosure is not consistent to the general situation. Futhermore, the effect of rumination on criteria variables was widely supported among the predicto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스트레스 사건, 자기노출, 반복생각, 생각회피, 생각억제, 주의분산, 주관안녕, 신체건강, stressful life event, self-disclosure,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distraction, subjective well-being, physical health, stressful life event, self-disclosure,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distraction, subjective well-being, physical health

참고문헌

1.

(1992a) 자기노출의 기능,

2.

(1992b196-222) 친교관계에서 자기노출의 기능,

3.

(1995) 분노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노출이 생리적 각성 정서 및 인지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4.

(2002) 속마음 털어놓기와 노년기 건강 ,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김교헌, (2001) 자기노출이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6.

(1996) 자기노출의 목표 자발성 및 분노억제경향이 생리적 각성 정화 및 평가에 미치는 효과,

7.

(2000) 반복해서 생각하기 및 자기노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8.

(2002) 약물남용자의 자기노출이 부적 정서와 신체병리 경험 및 약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9.

(1980) 자기노출이 대인매력에 미치는 영향,

10.

(1981) 자기노출이 매력에 미치는 영향,

11.

(1985) 우정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사회 및 성격,

12.

(2001) 한국의 전통의학 사상에서 정서와 신체질병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들,

13.

(2003)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과 분노경험이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14.

(2004)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자기노출 반복생각 및 정서경험이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15.

(1993) 대학생 생활 부적응의 영향 요인과 영향 과정 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 사건과 개인차 변인 학생지도연구 성균관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

(2002)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17.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18.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McGraw-Hill

19.

(1984) Subjective well-being,

20.

(2000) Handbook of emotion, Guilford Press

21.

(1995) Origins of ruminative though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incompleteness and suppression

22.

(2002) Ruminative thoughts and their relation to depression and anxiety,

23.

(1979)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24.

(1990) Effects of responses to depression on the remediation of depressive affect,

25.

(1987) Sex differences in unipolar depression,

26.

(1988) Handbook of life stress,

27.

(1989a) Advanced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8.

(1989b) Stream of consciousness and stress Levels of thinking, Guilford Press

29.

(1997) The healing power of expressing emotions, Guilford Press

30.

(2003)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

31.

(2004) Writing to heal A guided journal for recovering from trauma and emotional upheaval, New Harbinger Press

32.

(1986) Confronting a traumatic event:Toward an understanding of inhibition and disease,

33.

(1990)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

(1985) Toward an understanding of trauma and disease, Plenum Press

35.

(1987) The psychophysiology of conf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1988) Disclosure of traumas and immune function Health implication for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7.

(1984) Confiding in others and illness rate among spouses of suicide and accidental death victims,

38.

(1988) Disclosure of traumas and psychosomatic processes,

39.

(1987) and expectancies for positive and negative future life events for self and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Depression

40.

(1999) Composure at any cost? The cognitive consequences of emotion suppression,

41.

(1994) Ironic processes of mental control,

42.

(1987)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