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신장애인의 애착과 결혼만족도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Psychiatric Patient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6, v.11 no.4, pp.627-642
정민철 (성신여자대학교)
김용희 (광주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 9명, 불안장애 12명, 알콜의존 1명, 양극성장애 1명, 망상장애 1명, 정신분열증 1명으로 구성된 정신장애인 25명과 정상인 쒔명을 대상으로 애착유형과 결혼만족도의 상관을 알아보고 장애유무에 따른 애착유형과 결혼만족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의 경우 친밀애착에서 전반적 불만족, 정서적 의사소통 불만족, 문제해결 의사소통 불만족, 경제적 갈등, 성적 불만족, 자녀 양육갈등에서 상관이 나타났으며, 불안애착에서는 전반적 불만족, 자녀불만족, 자녀 양육갈등에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정신장애인은 친밀애착에서 전반적인 불만족과 상관을 보였다. 장애유무에 따른 애착수준에서는 정신장애인이 정상인에 비해 불안애착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존애착, 친밀애착은 정상인보다 정신장애인에서 낮은 편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 결혼만족도는 정상인보다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불만족, 문제해결 의사소통불만족, 성적 불만족, 자녀양육갈등척도가 높게 나타나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정서적 의사소통불만족, 경제적 갈등 및 자녀 불만족에서도 정신장애인의 불만족수준이 정상인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결혼만족과 관련하여 기존에 강조되어왔던 애착의 중요성을 다시 입증할 뿐 아니라 이는 정신장애인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차원적으로 결혼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결혼만족과 관련하여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keywords
애착, 결혼만족도

Abstract

This study was examined the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twenty-five psychiatric patients(depression 9, anxiety disorder 12, alcohol dependency 1, bipolar disorder 1, delusional disorder 1, schizophrenia 1) and thrity-eight normal subjects. As a result, normal person's attachment-intimacy degree related Global Distress(GDS), Affective Communication(AFC),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PSC), Disagreement About Finances(FIN), Sexual Dissatisfaction(SEX), Conflict Over Child Rearing(CCR). And normal person's attachment-anxiety related Global Distress(GDS), Dissatisfaction With Children(DSC), Conflict Over Child Rearing(CCR). psychiatric patients' attachment-intimacy degree was related Global Distress(GDS). With afterwords it is same From the comparis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normal person and the psychiatric patients. psychiatric patients' attachment-anxiety degre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person. Normal persons' attachment-dependancy and attachment-intimacy degree was more elevated than psychiatric patients. However, even not significant. Marital satisfaction in psychiatric disorder is following. The dissatisfaction of psychiatric pati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person in Global Distress(GD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PSC), Sexual Dissatisfaction(SEX), and Conflict Over Child Rearing(CCR). The dissatisfaction of psychiatric patient was higher normal person in Affective Communication( AFC), Disagreement About Finances (FIN), and Dissatisfaction With Children(DSC).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ttachment-intimacy" is closely related to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It was studied marrital satisfaction with single dimension until recently. However, this study was evaluated multiple dimension. And it probably means what kind of attachment factor gives an effect it researched. Therefore, When applying a research result in. the next couple treament, each dimension it fractionates a especially couple problem and approaches.

keywords
attachement, merital satisfac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6-03-31
수정일Revised Date
2006-10-1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6-1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