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아동용 외상 후 반응 척도(K-CRTES)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hild's Reaction to Traumatic Events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7, v.12 no.3, pp.667-675
https://doi.org/10.17315/kjhp.2007.12.3.012
권선중 (침례신학대학교)
이상규 (한림대학교)
이민규 (경상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이홍석 (한림대학교의료원 신경정신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Jones(1996)가 개발한 ‘아동용 외상 후 반응 척도(CRTE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친구의 처참한 사망사건에 노출된 초등학생(연령 범위: 8-13세) 828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와 문항 속성을 분석하고, 내적 일관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척도의 타당도에 관한 준거관련 증거를 평가했다. 한국판 척도는 원판과 유사하게 안정적인 2요인 구조(침습 및 회피 요인)와 수용할만한 수준의 신뢰도(침습 .83, 회피 .68, 전체 .83)를 보였다.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성별의 효과를 통제하고 목격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하위 요인 및 전체 척도 모두에서 목격자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각 하위 척도와 부적 정서(불안, 우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를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아동기 외상, 외상 후 반응 척도, 신뢰도, 타당도, Childhood trauma, Child's reaction to traumatic event scale, Reliability, Valid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korean version of the Child's Reaction to Traumatic Events Scale(CRTES/ Jones, 1996). First,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item property are analyzed for 829 children with traumatic experience. Second, criterion-related evidence of validity are investig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s Reaction to Traumatic Events Scale, in a similar way as the original version, displays a stable two factor structure and good internal consistency(.83 for the Intrusion Subscale, .68 for the Avoidance subscale, and .83 for the total scale), showing good convergent validity.

keywords
아동기 외상, 외상 후 반응 척도, 신뢰도, 타당도, Childhood trauma, Child's reaction to traumatic event scale, Reliability, Validity

참고문헌

1.

미국 PTSD 국립센터 (2007. 8. 1 접속). http://www.ncptsd.va.gov/ncmain/index.jsp

2.

송옥선, 조수진, 구정일 (2006). 한국판 임상가용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644-645.

3.

안현의 (2007). 복합외상(complex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105-119.

4.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 943-956.

5.

조수철, 최진숙 (1989). 한국형 소아의 상태․특성불안척도의 개발. 서울의대정신의학, 14(3), 150-157.

6.

한성희 (2002). 아동기 외상의 정신과적 개관. 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 13(1), 3-14.

7.

Breslau, N., Reboussin, B. A., Anthony, J. C., & Storr, C. L. (2005). The Struct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Latent Class Analysis in 2 Community Sampl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 1343-1351.

8.

Foa, E. B., Riggs, D. S., & Gershuny, B. S. (1995). Arousal, numbing, and intrusion: symptom structure of PTSD following assaul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2, 116-120.

9.

Herman, J. L. (1992). Complex PTSD: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5, 377-391.

10.

Johnson, J., Cohen, P., Brown, J., Smailes, E., & Bernstein, D., (1999). Childhood maltreatment increases risk for personality disorders during early adulthood.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6, 600-606.

11.

Jones, R. T. (1996). Child’s reaction to traumatic events scale (CRTES): Assessing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ren. In J. P., Wilson & T. Keane (Ed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 PTSD (pp. 291-298). New York: Guilford.

12.

McNally, R. J. (2003). Progress and controversy in the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229-252.

13.

Shelby, R. A., Golden-Kreutz, D. M., & Andersen, B. L. (2005). Mismatch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and DSM-IV symptom clusters in a cancer samp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TSD Checklist-Civilian Versio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4), 347-357.

14.

Shevlin, M., Dorahy, M., & Adamson, G. (2007). Childhood traumas and hallucinations: A analysis of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1, 222-228.

15.

Yen, S., Shea, M. T., Battle, C. L., Johnson, D. M., Zlotnick, C., et al. (2002). Traumatic exposur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orderline, schizotypal, avoidant, and obsessive- 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s: Findings from the collaborative longitudinal personality disorders study.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0(8), 510-518.

16.

WHO (2007)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http://www.who.int/classifications/ apps/icd/icd10onlin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