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Emotional Awareness and their Involvement in Stress Coping Style and De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7, v.12 no.4, pp.797-812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08
조성은 (연세대학교)
오경자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경험 특성으로서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서경험 특성과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경험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 보았다.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AMOS 4.0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주의력을 제외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과정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의 매개를 통해 우울에 각각 부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만 유의하였으며, 정서강도는 정서중심 대처를 매개로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depression,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emotional awareness, stress coping style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th in which the three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awareness, influence depression. The assumption that stress coping style would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assumption of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 were tested through administering a set of questionnaire to a total of 411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th analysis using the AMOS 4.0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Emotional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results were found. In the male group only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intensity along with emotional clarity had sign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 negative effect through mediation of task-oriented coping and positive effect through emotion-oriented coping.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only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female group through the mediation of emotion-oriented coping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depression,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emotional awareness, stress coping style

참고문헌

1.

김미경 (1998). 정서주의력, 정서인식의 명확성,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가 도움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영혜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수용과 정서적 지지, 그리고 심리 적 안녕과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과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 연구, 7, 127-138.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5.

민하영 (1998).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과 내외 통제소재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이승미 (2003).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갈등, 정서표현성이 중년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 95-116.

8.

이은희, 이주희 (200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 문제 중심 적 대처방식,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45-175.

9.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117-140.

10.

임전옥, 장성숙 (199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59-275.

11.

최윤경, 이민수, 이준상, 신동균 (1997). 삼풍사고 생존자들에서 스트레스 대처방 식과 심리적 고통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36(4), 612-619.

12.

하정 (1997).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과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14.

Aldwin, C.M., & Revenson, T.A. (1987). Does coping help?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2), 337-348.

15.

Beck, A. T. (1967). Depression :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 Hoeber.

16.

Beck, A. T., & Beck, R. W. (1972). Screening depressed patients in family practice: A rapid technic. Postgraduate Medicine, 52, 81-85.

17.

Beck, A. T., Brown, G., & Steer, R. A. (1996).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18.

Billings, A. G. and Moos, R. H. (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4), 877-891.

19.

Catanzaro, S. H. (1997).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ffect intensity, dispositional coping, and depressive symptoms: a conceptual analysis and empirical reanalysi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 1065-1069.

20.

Endler, N. S. & Parker, J. D. A. (1990).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coping: A critical E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44-854.

21.

Flett, G. L., Blankstein, K. R. & Obertinsky, M. (1996). Affect intensity, coping styl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 221-228.

22.

Folkman, S. (1984). Personal control and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4),839-852

23.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150-170.

24.

Fujita, F., Diener, E., & Sandvik, E. (1991). Gender differences in negative affect and well-being: the case for emotional intens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3), 427-434.

25.

Gohm, C. L., & Clore, G. L. (2002b). Four latent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their involvement in attributional style, coping, and well-being. Cognition and Emotion, 16, 495-518.

26.

Gohm, C. L., & Clore, G. L. (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experience: Mapping available scales to process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 26, 679-697.

27.

Holahan, C. J., Moos, R. H., & Schaefer, J. A. (1996). Coping, stress resistance, and growth: Conceptualizing adaptive functioning. In: Zeidner, M. and Endler, N.S. Handbook of coping: Theory, research, applications. Wiley, New York, 2443.

28.

Kaplan, H. B. (1996). Psychosocial stress. Perspectives on structure, theory, life- course, and methods. Academic Press, New York.

29.

Kessler, R. C., Price, R. H., & Wortman, C. B. (1985).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s Psychology, 36, 531-572.

30.

Larsen, R. J., & Diener, E. (1987). Affect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teristic: A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1, 1-39.

31.

Lazarus, R. S., DeLongsis, A., Folkman, S. & Gruen, R. (1985). Stress and Adaptational Outcomes : The Problem of Confounded Measuers. American Psychologist, 7, 770-785.

3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김정희 역,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서울: 대광 문화 사.1991)

33.

Matud, M. P. (2004). Gender differences in stress and coping sty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1401-1415.

34.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35.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t,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Pennebaker (Ed),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6.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on of mood awareness: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37.

Vitaliano, P. P., DeWolfe, D. J., Maiuri, R. D., Russo, J., & Katon, W. (1990) Appraised Changeability of a Stressor as a Modifi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and Depression : A Test of the Hypothesis of Fi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3), 582-59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