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Emotional Awareness and their Involvement in Stress Coping Style and De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7, v.12 no.4, pp.797-812
조성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오경자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경험 특성으로서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서경험 특성과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경험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 보았다.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AMOS 4.0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주의력을 제외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과정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의 매개를 통해 우울에 각각 부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만 유의하였으며, 정서강도는 정서중심 대처를 매개로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th in which the three traits of emotional experience ;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awareness, influence depression. The assumption that stress coping style would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assumption of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 were tested through administering a set of questionnaire to a total of 411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th analysis using the AMOS 4.0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Emotional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results were found. In the male group only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intensity along with emotional clarity had sign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 negative effect through mediation of task-oriented coping and positive effect through emotion-oriented coping. Whereas in the female group emotional clarity had only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Emotional Intens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the female group through the mediation of emotion-oriented coping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depression, emotional clarity, emotional intensity, emotional awareness, stress coping style
투고일Submission Date
2007-08-19
수정일Revised Date
2007-10-2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7-10-3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