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이 시설거주 흡연 정신장애인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mentally disordered smokers residing in an institu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7, v.12 no.4, pp.887-904
https://doi.org/10.17315/kjhp.2007.12.4.013
박영만 (꽃동네 정신요양원)
정명숙 (꽃동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흡연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금연동기요소를 강화한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의 효과가 흡연 정신장애인이 과거에 금연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지 여부도 알아보았다. 총 96명의 흡연 정신장애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 중 64명은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에 배정되었고 나머지는 통제집단에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은 또 과거의 금연시도 경험 유무에 따라 경험집단(25명)과 무경험집단(39명)으로 나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일일 흡연량과 니코틴 의존도가 더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호기(呼氣) 일산화탄소량, 담배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 우울감, 그리고 금연효능감의 변화에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거에 금연을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런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프로그램 종결 후 호기 일산화탄소량, 일일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그리고 담배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금연효능감과 우울감의 변화량에는 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smoking cessation,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 smokers with mental disorders, motivation to quit smoking, 금연,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 흡연 정신장애인, 금연동기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entally disordered smokers living in an institution. It also aimed at investigating the role of motivation in the successful cessation of smoking. A total of 96 smokers with ment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f the participants 64 were intervened by the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intervention group) and the rest were not(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consisted of two groups; one group had attempted previously to quit smoking and the other had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reported cigarettes per day and nicotine dependence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for intervention group than for control group. However, the amount of decrease in carbon monoxide in expired air, irrational thoughts about cigarette smoking,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carbon monoxide, nicotine dependence, cigarette smoking per day, and irrational thoughts about smoking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for smokers with previous experience of stopping smoking than for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keywords
smoking cessation, cognitive-behavioral smoking cessation program, smokers with mental disorders, motivation to quit smoking, 금연,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 흡연 정신장애인, 금연동기

참고문헌

1.

권영훈 (2003). 흡연중인 일부 군인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요법을 이용한 금연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명식 (2001). 청소년 니코틴 의존의 치료에 대한 小考. 심리검사 및 상담연구, 5(1), 259-280.

3.

김명식 (2003).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과 행동주의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명식, 권정혜 (2006).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및 행동주의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1-23.

5.

김미리혜 (2005). 금연프로그램에 관한 최신 지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259-276.

6.

김소야자, 남경아, 서미아, 박정화, 이현화 (2002). 흡연 청소년을 위한 학교 중심의 집단 금연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1(4), 462-473.

7.

김승수 (2001). 인지-행동적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흡연행위와 제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은경, 김매자, 송미령 (2002). 관상동맥질환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2(3), 355-363.

9.

김점숙 (2000). 인지행동수정기법이 여고생의 흡연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 정 (2006). 정신장애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절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한중, 박태규, 지선하, 강혜영, 남정보 (2001).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예방의학회지, 34(3), 183-190.

12.

남궁기, 민성길, 이희상, 조현상, 김세주 (1997). 흡연 및 비흡연 정신분열증 환자 간의 인지 기능과 치료 반응의 차이. 신경정신의학, 36(4), 630-642.

13.

도규영, 김광수, 백인호 (1994). 흡연이 항정신병 약물의 용량과 추체외로 증상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33, 777-781.

14.

문유선, 김도훈, 오병훈, 이회상, 남궁기, 유계준 (1998). 입원된 정신장애 환자들의 흡연 실태. 대한정신약물학회지, 9(1), 82-90.

15.

민성길 (2006).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16.

보건복지부 (2006). 이제 전․의경도 금연열풍에 합류. 전의경 금연캠페인 (보도자료). http://www. mohw.go.kr/user.tdf 에서 2007, 9, 13 인출.

17.

보건복지부 (2007). 흡연실태조사보고서. http://www. mohw.go.kr/user.tdf 에서 2007, 9, 13 인출.

18.

박규태, 신정호, 안정숙 (1997). 금연이 재입원한 정신병 환자의 약물용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 연구. 신경정신의학, 36(6), 1154-1161.

19.

반건호 (1996). 국내 정신과 병동에서의 흡연정책: 정신과 병동의 금연을 위한 예비연구(Ⅰ). 정신병리학, 5(1), 63-69.

20.

반건호, 조현주 (1996). 국내 정신과 입원환자의 흡연율: 정신과 병동의 금연을 위한 예비연구(Ⅱ). 정신병리학, 5(1), 70-76.

21.

반건호, 유희정, 윤도준, 김종우, 이기철 (2000). 정신분열증 입원환자에서 니코틴과 항정신병 약물의 상관관계 규명을 위한 니코틴 패취 적용 연구. 생물치료 정신의학, 6(1), 49-54.

22.

서경현, 전겸구 (2000).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분노와 흡연행동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223-237.

23.

서경현, 이석민 (2004). 금연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장․단기 금연 성공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 탐색. 보건교육․건강 증진학회지, 21(1), 137-151.

24.

신성례 (1997). 흡연 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양경애 (2003). 인지­행동적 금연프로그램이 흡연 여고생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연미영 (1996). 정신병적 경향성과 흡연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51-158.

27.

오윤미 (2003). 인지행동 금연프로그램과 니코틴 패치가 고등학생의 흡연 감소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유성림, 김공현, 김광기, 김정희 (2005). 한국 성인의 흡연기인 사망추이. 보건과 사회과학, 17, 133-148.

29.

이군자, 장춘자, 김명순, 이명희, 조영희 (2006). 6개월 금연 성공의 영향 요인 - 인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를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36(5), 742-750.

30.

이윤경 (1998). 문제음주자에 대한 집단 인지행동처치의 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종학, 배성일, 이택회 (1995). 흡연 및 비흡연 정신분열증환자의 정신병적 증상과 약물 부작용에 관한 비교 연구. 신경정신의학, 34(1), 50-58.

32.

장혜정, 노맹석 (2003). 금연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 이용의도 및 영향요인. 보건교육·보건증진학회지, 20(3), 1-18.

33.

정상조 (2001). 일부 병사들의 흡연실태와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보건학과 석사학위논문.

34.

정영조, 이강준 (2001). 정신분열병의 신경인지기능. 인제의학, 22(1), 13-27.

35.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 381-399.

36.

조현상, 민성길, 오병훈, 천근아, 이연희, 이회상, 유계준 (1997). 흡연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신운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정신약물학회지, 8, 133-141.

37.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5). 흡연과 통계. 우리나라 성인 흡연실태 일람표(2006년까지). http:// www.kash.or.kr/user_new/pds_view.asp 에서 2007, 9, 13 인출.

38.

Bellack, A. S. (1992).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a: is it possible, is it necessary. Schizophrenia Bulletin, 18, 43-50.

39.

Burkhalter, J. E., Springer, C. M., Chhabra, R., Ostroff, J. S., & Rapkin, B. D. (2005). Tobacco use and readiness to quit smoking in low-income HIV-infected persons. Nicotine & Tobacco Research, 7(4), 511-522.

40.

Carroll, K. M. (1998).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reating cocaine addiction.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41.

Cinciripini, P. M., Cinciripini, L. G., Wallfisch, A., Haque, W., & Van-Vunakis, H. (1996). Behavior therapy and transdermal nicotine patch: Effects on cessation outcome, affect, and cop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 314-323.

42.

David, P. J. (2001). The poor physical health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British Medical Journal, 175, 329.

43.

DiClement, C. C., Prochaska, J. O., Fairhurst, S. K., Velicer, W. F., Velasquez, M. M., & Rossi, J. S. (1991).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2), 295-304.

44.

Field, J. E. (1985). Smoking: Health effects and control.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3, 491-498.

45.

Fagerstrom, K., & Nina, G. S. (1989). Measuring nicotine dependence: A review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Journal of Behavior Medicine, 12, 159-182.

46.

Glasgow, R. E., & Lichtenstein, E. (1987). Long-term effects of behavioral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Behavior Therapy, 18, 297-324.

47.

Glassman, A. H. (1993). Cigarette smoking: Implications for psychiatric illnes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 546-553.

48.

Goldberg, T. E., & Gold, J. M. (1995). Neurocognitive functioning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 overview. In F. E. Bloom & D. J. Kupfer (Eds.), Psychopharmacology (4th ed., pp. 1245-1257). New York: Raven Press.

49.

Greenberger, D., & Padesky, C. A. (1999). 기분 다스리기 [Cognitive therapy treatment manual for clients]. (권정혜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5에 출판).

50.

Herzog, T. A., & Blagg, C. O. (2007). Are most precontemplators contemplating smoking cessation? Assessing the validity of the stages of change. Health Psychology, 26(2), 222-231.

51.

Hughes, J. R. (1993). Possible effects of smoke-free inpatient units on psychiatric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54, 109-114.

52.

Hughes, J. R., Hatsukami, D. K., Mitchell, J. E., & Dahlgren, L. A. (1986). Prevalence of smoking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3, 993-997.

53.

Kenford, S. L., Fiore, M. C., Jorenby, D. E., Smith, S. S., Wetter, D., Lando, H. A., & Platt, S. (1994).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Who will quit with and without the nicotine patch.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 589-594.

54.

Lavin, M. R., Siris, S. G., & Mason, S. E. (1996). What is the clinical importance of cigarette smoking in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Addictions, 5, 189-208.

55.

Lyon, E. R. (1999). A review of the effects of nicotine on schizophrenia and antipsychotic medications. Psychiatric Services, 50, 1346-1350.

56.

McChargue, D., Gulliver, S. B., & Hitsman, B. (2002). Would smokers with schizophrenia benefit from a more flexible approach to smoking treatment? Addiction, 97, 785-793.

57.

Ockene, J. K., Hosmer, D. W., Williams, J. W., Goldberg, R. J., Ockene, I. S., & Raia, T. J., (1987). Factors related to patient smoking statu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7(3), 356-357.

58.

Ran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59.

Resnick, M. P., & Bosworth, E. E. (1989). A smoke-free psychiatric unit. Hospital & Community Psychiatry, 40, 525-527.

60.

Richmond, R. L., Kehoe, L. A., & Webster, I. W. (1993). Multivariate models for predicting abstention following intervention to stop smoking by general practitioners. Addition, 88, 1127-1135.

61.

Smith, W. R., & Grant, B. L. (1989). Effects of a smoking ban on a general hospital psychiatric service. Hospital & Community Psychiatry, 40, 497-502.

62.

Taylor, N. E., Rosenthal, R. N., Chabus, B., Levine, S., Hoffman, A. S., Reynolds, J., Santos, L., Willets, I., & Friedman, P. (1993). The feasibility of smoking bans on psychiatric uni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5, 36-40.

63.

Tidey, J. W., Rohsnow, D. J., Kaplan, G. B., & Swift, R. M. (2005).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smoking cues in smokers with schizophrenia. Nicotine & Tobacco Research, 7, 421-429.

64.

Velicer, W. F., Di Clemente, C. C., Rossi, J. S., & Prochaska, J. O. (1990). Relapse situations and self-efficacy: An integrative model. Addictive Behaviors, 15, 271-283.

65.

Ziedonis, D. M., & George, T. P. (1997). Schizophrenia and nicotine use: Report of a pilot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review of neurobiological and clinical issues. Schizophrenia Bulletin, 23, 247-25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