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A Preliminary Study toward an Integral Group Counseling with Yoga-Meditation Practi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9, v.14 no.1, pp.147-157
https://doi.org/10.17315/kjhp.2009.14.1.00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l Group Counseling with supplementary procedure of yoga-meditation as a preliminary approach to develop an integral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e group program of this study, the yoga exercise and meditation were included in each weekly group sessions, along with the group members' invdividual log for yoga-meditation reported to the counselor's weekly in-session feedback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in such that, upon completion of 10 group sessions of college students(n=9), the pre-post reduction rate of anxiety-depression-anger affects measured by MAACL turned out significant thus supporting the main tenet of the Integral Counseling approach. Some implications relevant to this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Integral Counseling, Yoga-Meditation practice, MAACL, 통합상담론적 집단수련, 요가-명상, 건강심리학적 함의, Integral Counseling, Yoga-Meditation practice, MAACL

Reference

1.

권석만 (2006). 위파사나 명상의 심리치유적 기능. 불교와 심리, 서울: 불교와 심리연구원.

2.

김보경, 이상훈, 한현민, 안정애, 최은영(2008). 선-행동치료: 불교상담을 위한 인지-행동적 전략과 전망. 서울: 시그마프레스.

3.

김정호 (1996). 한국의 경험적 명상연구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3, 79~131,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 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8.

5.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6.

김정호, 김수진 (2002).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위한 호흡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의 실제. 학생생활연구, 18, 25-67, 덕성여자대학교.

7.

문형춘 (2007). 내담자 성인애착 특성에 따른 내담자 및 상담자의 내현적 대인반응과 회기성과.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박태수 (2008). 명상을 통한 상담의 가능성 모색. 상담학연구, 9(3), 1373-1388.

9.

백지연, 김명권 (2005).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치료적 가치: 사띠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6(2), 665-685.

10.

윤관현, 이장호, 최송미 (2006). 통합상담론적 집단수련, 집단상담: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11.

이영호 (1999). 한국판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의 신뢰도-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2), 154-161.

12.

이장호 (2005). 통합상담(Integral Counseling) 서설,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264-265. 8월 26일. 지리산 한화리조트.

13.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14.

정인석 (2003).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서울: 대왕사.

15.

Ajaya, S. (1981). Psychotherapy East and West: A Unifying Paradigm. Pennsylvania, USA: Himalayan Ianstitute Press.

16.

Brazier, D. (2007). 선 치료 [Zen therapy: A Budhist Approach to Psychotherapy]. (김용환, 박종래, 한기연 역). 서울: 학지사.

17.

Corey, M. S & Corey, G. (2004).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김명권, 김창대, 박애선, 전종국, 천성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8.

Corey, M. S & Corey, G. (2005). 집단상담의 실제: 진행과 도전. (이은경과 이지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9.

Earley, J. (2004). 상호작용중심의 집단상담. (김창대 외 9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

Hayes, S. C., Follette, V. M & Linehan, M. M. (2004). Mindfulness and Acceptance, The Guilford Press.

21.

Kabat-Zinn, J. (2005). 마음챙김명상과 자기치유 [Full Catastrophe Living]. (장현갑, 김교헌, 장주영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년에 출판)

22.

Rama, S., Ballentine, R., & Ajaya, S. (1976). Yoga and Psychotherapy: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Pennsylvania, USA: Himalayan Institute Press.

23.

Rogers, C. (1961). On Becoming a Person. Houghton Mifflin Co.

24.

Scotton, B. W., Chinen, A. B., & Battista. J. R.. (2008). 자아초월 심리학과 정신의학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김명권 외 7인 역). 서울: 학지사.

25.

Welwood, J. (2008). 깨달음의 심리학 [Toward a Psychology of Awakening]. (김명권과 주혜명 역). 서울: 학지사.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