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

The Moderat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 Life Stress and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9, v.14 no.3, pp.633-648
https://doi.org/10.17315/kjhp.2009.14.3.010
서경현 (삼육대학교)
오경희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가 신체 및 정신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건강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280명(여: 194)의 대학생들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2.06(SD=2.88)세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척도, 삶의 기대 척도, 신체증상척도, 건강지각척도, 정서빈도검사, 자기진술 부정정서질문지, 주관안녕척도이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변인들과 상관이 있었으며, 그런 변인들에 대한 유의한 예언변인이었다. 특히, 생활 스트레스는 신체증상과 우울의 변량을 각각 15.9%와 25.6%를 설명하였다. 한편, 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의 신체증상, 우울 및 주관안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가 발견되었다. 단순주효과분석 결과, 신체증상과 우울의 경우 삶의 기대 수준이 낮은 대학생이 더 영향을 받아 스트레스가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많은 신체증상과 우울 수준을 보였다. 주관안녕은 삶의 기대수준이 높은 대학생이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삶의 기대 수준이 높은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주관안녕 수준이 높았다. 이는 삶의 기대가 건강에 미치는 생활 스트레스의 영향에 완충작용을 하는 중재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건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를 선행연구와 동기상태이론 등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keywords
stres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health,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health,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스트레스, 삶의 기대, 건강, 우울, 주관안녕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re related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the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 their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280 college students (106 females) lived in Seoul or its suburb, whose average of age were 22.06 (SD=2.88).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the Life Stress Scal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 Perceived Health Inventory, Emotion Frequency Test, Negative Affect Self-Statement Questionnaire, and the Korean Version of Subjective Well-being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all physical and mental health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and it was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m. The life stress, especially, accounted for the 15.9% and 25.6% each of the variances for physical symptoms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moderate effects of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 the relations of the life stress to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of simple main effect analyses revealed that influences of life stress on physical symptoms and depression for students with low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were more stronger than those for students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while influences of life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was vice versa. These means that it was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their buffering effect on negative results of th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on their health. These moderate effects of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 health were discussed with motivational states theory and previous studies.

keywords
stres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health,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health,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스트레스, 삶의 기대, 건강, 우울, 주관안녕

참고문헌

1.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453-484.

2.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25-345.

3.

김정호, 김선주, 오영희 (1995). 덕성여대생들의 생활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 37-49.

4.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2009).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 187-205.

5.

류준범 (2000). 분노의 다차원적 특성과 신체 건강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정양, 이재구, 서경현 (2007). 음악이 스트레스로부터의 심혈관계 반응과 정서 반응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95-409.

7.

박현순 (1999). 10년간 대학생들의 상담 호소문제 변화 추세. 서울대학교 학생연구, 33, 9-18.

8.

윤병수, 정봉교 (1999). 영대생의 스트레스 요인, 수준, 및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영남대학교 학생연구, 30, 27-57.

9.

이은희 (2000).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25-52.

10.

이주영, 김지혜 (2002). 아동․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과 관련된 부정적 자기진술: 한국판 부정적 자기진술 질문지(Negative Affect Self - Statement Questionnaire)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 871-889.

11.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 316-335.

12.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13.

차경호 (2004).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 321-337.

14.

최미경 (2003). 대학생의 자각증상과 우울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3, 433-439.

15.

한덕웅, 장은영 (2003). 사회비교 동기와 강요된 사회비교가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619-644.

16.

한덕웅, 표승연 (2002). 정서 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 403-427.

17.

Aldwin, C. M., & Revenson, T. A. (1987). Does coping help?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337-348.

18.

Allen, K., Blascovich, J., Tomaka, J., & Kelsey, R. (1991). Presence of human friends and pet dogs as moderators of autonomie responses to stress in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61, 582-589.

19.

Brown, G. W., & Harris, T. O. (1989). Life events and illness. London: Guilford.

20.

Cacioppo, J. T., Malarkey, W. B., Kiecolt-Glaser, J. K., Uchino, B. N., Sgoutas-Emch, S. A., Sheridan, J. F., Berntson, G. G., & Glaser, R. (1995). Heterogeneuty in neuroendocrine and immune responses tobrief psychological stressors as function of autonomic cardiac activation. Psychosomatic Medicine, 57, 154-164.

21.

Cam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Y: McGraw-Hill.

22.

Cannon, W. B. (1929). Bodily Changes in Pain, Hunger, Fear and Rage. New York: Appleton.

23.

Dean, A., & Ensel, W. (1982). Modeling social support, life events, competence, and depression in the context of age and sex.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0, 392-408.

24.

Diener, E., Emmons, R. A., Larsen,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5.

Dohrenwend, B. S., & Dohrenwend, B. P. (1974). Stressful life events: Their nature and effects. New York: Wiley.

26.

Eckersley, R. M. (2004). Well and good: how we feel and why it matters. Melbourne: Text Publishing.

27.

Eckersley, R. M., Wierenga, A., & Wyn, J. (2005). Life in a time of uncertainty: optimizing the health and wellbeing of young Australians.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83, 402-404.

28.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29.

Hilmert, C. J., Christenfeld, N., & Kulik, J. A. (2002). Audience status moderate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cardiovascular reactivity during public speaking.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4, 229-240.

30.

Hobfoll, S. E., & Lieberman, J. R. (1987). Personality and social resources in immediate and continued stress resistance among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18-26.

31.

Holmes, T. H. (197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quantitative measure of life change magnitude. In J. E. Barrett (Ed.), Stress and mental disorder. New York: Raven.

32.

Keinan, G., Ben-Zur, H. Zilka, M., & Carel .R. S. (1992). Anger in or out, which is healthier?: An attempt to reconcile inconsistent findings. Psychology and Health, 7, 83-98.

33.

Kessler, R. C., & Magee, W. J. (1993). Childhood adversities and adult depression: basic patterns of association in a U.S. national survey. Psychological Medicine, 23, 679-690.

34.

Kessler, R. C., Berglund, P., Demler, O., Jin, R., Merikangas, K. R., & Walters, E. E. (2005). Lifetime prevalence and age-of-onset distributions of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es of General Psychiatry, 62, 593-602.

35.

Naschitz, J. E., Rosner, I., Rozenbaum, M., Fields, M., Isseroff, H., Babich, J. P., Zuckerman, E., Elias, N., Yeshurun, D., Naschitz, S., & Sabo, E. (2004). Patterns of cardiovascular reactivity in disease diagnosis. QJM, 97, 141.

36.

Pavot, W., Diener, E., & Suh, E. (1998). The temporal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70, 340-354.

37.

Rabkin, J. G., & Struening, E. L. (1976). Life events, stress and illness. Science, 194, 1013-1020.

38.

Ronan, K. R., Kendall, P. C., & Rowe, M. (1994). Negative affectivity in Childr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statement questionnair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8, 509-529.

39.

Sheps, D., & Sheffield, D. (2001). Depression, anxiety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The cardiologist's perspectiv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2, 12-16.

40.

Silver, R. L., & Wortman, C. B. (1980). Coping with undesirable life events. In J. Garber & M. E. P. Seligman (Eds.), Human helplessness: Theory and applications (pp. 279-340). New York: Academic Press.

41.

Sullivan, M., LaCroix, A., Baum, C., Grothars, L., & Katon, W. (1997). Functional status in coronary artery disease: A one year prospective study of the role of anxiety and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03, 348-356.

42.

Thoits, P. A. (1986).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416-423.

43.

Watkins, C. J. (1989). Learning from Delayed Rewards. Ph.D. thesis, King's College, Cambridge, UK.

44.

Zubin J. & Spring B. (1977) Vulnerability: A new view of schizophren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6, 103-1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