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용 전념 치료(ACT)가 여대생의 월경 불편감,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Wome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1, v.16 no.3, pp.449-467
https://doi.org/10.17315/kjhp.2011.16.3.002
유미라 (전북대학교)
손정락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월경 불편감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월경 불편감,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500명 여대생들에게 월경전기와 월경기 증상 척도, 월경에 대한 태도 척도, 삶의 질 척도 및 수용 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여대생 30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치료집단에 15명, 대기통제집단에 15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에게 프로그램 시작 전과 프로그램이 끝나고 한 차례의 월경을 경험한 시점에서 위의 척도들을 실시하였고, 3개월 후에 추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대기통제집단보다 월경 불편감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월경에 대한 태도와 삶의 질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그 효과가 추적 검사까지 계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여대생, 월경 불편감, 월경에 대한 태도, 삶의 질, 수용 전념 치료, College women, 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Qulity of Life, Acceptance and Commit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qulity of life in college women. Five hundered women students of colleges locat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Mentrual Discomforts Symptom Scale, Menstrual Attitudes Scale, Qulity of Life Scale and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 Thirty stud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15 in the ACT group and 15 in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CT program for 15 people was administered for 10 sessions. 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and 3-month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enstrual discomforts of therapy group was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nd menstrual attitudes, qulity of life were increase in therapy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여대생, 월경 불편감, 월경에 대한 태도, 삶의 질, 수용 전념 치료, College women, 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Qulity of Life, Acceptance and Commitment

참고문헌

1.

강현정, 손정락 (1998). 인지행동치료와 이완훈련이 월경전 증후군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1), 141-155.

2.

김규남 (2005). 생리 전 증후군, 생리통, 유방통의 근거 중심 영양 치료. 가정의학회지, 26, 1-8.

3.

김금순, 이소우, 최명애, 이명선 (1999). 바이오피드백훈련을 통한 이완요법이 생리통 스트레스 반응경감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논문집, 13(1), 7-22.

4.

김미하, 손정락 (2011).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 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207-223.

5.

김보미, 정지인, 송윤미, 이정권, 유준현 (2008). 한국 젊은 여성의 월경전 증후군과 삶의 질의 연관성. 가정의학회지, 29, 108-113.

6.

김정은 (1992). 일부 여대생의 월경전기 불편감, 월경에 대한 태도, 성역할 인식도 관계. 모자간호학회지, 24(2), 55-69.

7.

김정은 (1993). 여성의 월경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구축. 간호학회지, 23(2), 224-244.

8.

김정은 (1995). 성인의 초경경험 분석에 따른 국민학생을 위한 초경교육의 필요성 제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 191-207.

9.

김진숙, 원호택 (1998). 제1발표장/ 임상심리학/ 임상심리학회 : 월경전기 증후군, 월경에 대한 태도, 신경증적 성격특성 및 스트레스의 관계.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8, 135-152.

10.

노지은 (1995). 월경경험과 문화적 금기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12, 373-374.

11.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 3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17, 15-33.

12.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7.

14.

민애경 (1997). 월경전 증후군에 여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효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박경은, 이성은 (2001). 여대생의 월경증후군과 월경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간호학회지, 7(3), 359-372.

16.

박금례 (1988). 일부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증상호소에 관한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영주 (1990). 일부 여고생들의 월경곤란증시 진통제사용에 관한 조사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영주 (1999). 여성의 연령과 월경 전후기 증상 정도및 유형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학회지, 5(2), 145-156.

19.

박은경 (2004).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월경에 대한 태도와 월경 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서병희, 이재현 (1990). 여성생리와 생리통. 서울 : 칼빈서적.

21.

성미혜 (2005). 성인여성이 경험하는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1), 53-63.

22.

성미혜, 민경옥, 장윤정, 전주연 (2006). 일부 근로여성이 호소하는 월경전후기 불편감, 월경대처 및 증상완화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 57-68.

23.

오은혜, 손정락, 김현택 (2009). 뉴로피드백 훈련이 월경전 불쾌장애의 정서적, 행동적 및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775-793.

24.

이은희, 김증임, 김혜원, 이혜경, 이숙희, 강남미, 허명행,박영숙 (2003). 성인여성의 월경곤란증과 월경에 대한 태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2), 105-112.

25.

양동옥 (2002). 초경 후 경과기간과 월경에 대한 태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임성견 (2006). 마음챙김명상이 월경전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월경 전기 증상과 불안, 우울을 중심으로. 논문집, 8, 1-12.

27.

전은미 (2003). 삼음교지압이 여대생의 월경통과 하복부의 곡골혈 피부온도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2). 128-137.

28.

정미경 (1999). 여고생의 월경지식, 태도, 증상 및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명옥 (1992). 일 여고생의 초경지식, 초경정서, 월경곤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홍경자, 박영숙, 김정은, 김혜원 (1998). 일부여대생의 월경전후기 불편감에 대한 간호중재 프로그램효과검증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4), 821-831.

31.

Block, J. A. (2002). Acceptance or change of private experiences: A comparative analysis in college students with public speaking anxiety. Unpublished Doctoraldissertation.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32.

Brooks-Gunn, J. & Ruble, D. (1980). The menstrual attitude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52, 536-543.

33.

Chau, J. P. C. & Chang, A. M. (1999).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me on adolesc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Health Education Research, 14(6), 817-830.

34.

Clayton, A. H. (2008). Symptoms related to the menstrual cycle: Diagnosis, prevalence, and treatment. Journal of Psychiatric Practice, 14(1), 13-21.

35.

Dahl, J., Wilson, K. G., & Nilsson, A.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 therapy and the treatment of persons at risk for long-term disability resulting from stress and pain symptoms: Apreliminary randmized trial. Behavior Therapy, 35, 785-802.

36.

Dalton, K. (1968). Menstruation and examinations. The Lancet, 292(7583), 1386-1388.

37.

Halbreich, U., Borenstein, J., Pearlstein, T., & Kahn, L. S. (2003). The pre-valence, impairment, impact, and burden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PMS/PMDD) . Psychoneuroendocrinology, 28, 1-23.

38.

Halbreich, U., Endicott, J., Schacht, S., & Nee, J. (1982). The diversity of premenstrual assesment form.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65, 46-65.

39.

Hamilton, J. A., Parry, B. L., Alagma, S., Blumenthal, S., & Herz, E. (1984). Pre-menstrual mood changes: A guide to evaluation and treatment. Psychiatric Annals, 14, 426.

40.

Hayes, S. C. (1994). Content, context, and the type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 (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pp.13-32). Reno, NV: Context Press.

41.

Hayes, S. C., Bissett, R., Korn, Z., Zettle, R. D., Rosenfarb, I., & Cooper, L. (1999). The impact of acceptance versus control rationales on pain tolerance. The Psychological Record, 49, 33-47.

42.

Hayes, S. C. & Duckworth, M. P.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 therapy approaches to pain.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3, 185-187.

43.

Hayes, S. C., Luoma, F. B., Bond, F. W., Masuda, A., & Lil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 1-25.

44.

Hayes, S. C. & Smith, S. (2010).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 속으로 들어가라 [Get out of your mind & into your life]. (문현미와 민병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45.

Hayes, S. C., Stenven, C., Kirk, D., & Strosahl, K. D. (2004). A practical guide to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New York: Springer.

46.

Hayes, S. C., Stenven, C., Kirk, D., Strosahl, K. D., Kelly, G., & Wilson, K. G. (2003).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rok: The Guilford press.

47.

Lustyk, M. K., Widman, L., Paschane, A., & Ecker, E. (2004). Stress,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activity in women with varying degrees of premenstrual symptomatology. Women Health, 39(3), 35-44.

48.

Marvan, M. L. & Escobedo, C. (1999). Premenopausal symp-tomatology: Role of prior knowledge about premenopausal syndrome. Psychosomatic Medicine, 61, 163-167.

49.

Moos, R. H. (1968). The development of the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43, 20-24.

50.

Most, A. F., Woods, N. F., Dery, G. K., & Most, B. M. (1981). Distress associated with menstruation among Israeli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18(1), 61-71.

51.

O'Rourke, M. W. (1983). Subjective appraisa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reports of menstrual and nonmenstrual symptomatology in employed women. Nursing Research, 32(5), 288-292.

52.

Pitts, C. A. (1988). Premenstrual syndrome, current assessment and management. Nursing Forum, 4, 127-134.

53.

Reid, R. L. & Yen, S. S. C. (1981). Premenstrual symptom.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39(85), 85-104.

54.

Smith, H. & Thomas, S. P. (1996). Anger and locus of control in young women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17(4), 289-305.

55.

Wicksell, R. K., Melin, L., & Olsson, G. L. (2007). Exposure and acceptance in the rehabilitation of adolescents with idiopathic chronic pain — a pilot study. European Journal of Pain, 11(3), 267-274.

56.

Woods, N. F. (1985). Employment, family roles and mental illness in young married women. Nursing Research, 34(1), 4-10.

57.

Woods, N. F. (1985). Relationship of socialization and stress to perimenstrual symptoms, disability, and menstrual attitudes. Nursing Research, 34(3), 146-149.

58.

Zettle, R. D. & Hayes, S. C. (1983). Effect of social context on the impact of coping self-statements. Psychological Reports, 52(2), 391-401.

59.

Zettle, R. D. & Hayes, S. C. (1986). Dysfunctional control by client verbal behavior: The context of reason giving. The Analysis of Verbal Behavior, 4, 30-3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