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청소년 고위험 게임사용의 발현과 이후 변화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Problematic Game Use and Subsequent Changes of Adolescent Game User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1, v.16 no.4, pp.759-781
https://doi.org/10.17315/kjhp.2011.16.4.008
김세진 (충남대학교)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고위험 게임사용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하여, 1차, 2차 및 3차 예방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별다른 문제없이 게임을 사용하거나 선용하는 청소년, 현재 고위험 게임사용을 보이는 청소년, 전에는 고위험 게임사용을 보였으나 현재는 그러한 문제적 증후군이 개선되거나 게임을 선용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근거이론 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3개의 범주와 35개의 하위범주, 61개의 개념으로 만들어진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했다. 그 결과, 인과적 조건인 “게임을 하는 이유”에 맥락적 조건인 “일상생활에서의 불만족감(스트레스)” “게임사용 조절이 어려운 환경적 요소” 및 “여가활동의 미비”의 영향이 더해져 “고위험 게임사용”이라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양상은 “게임사용을 조절할 의도나 동기, 준비가 부족함”과 “게임사용을 조절하기 위해 노력함”으로 구분되었는데, 작용/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은 “게임사용 조절을 돕는 상황적 요소” “게임사용 조절에 필요한 개인적 자원” “게임사용 조절에 필요한 환경적 자원” “게임을 대체할 여가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야기윤곽 전개를 통해 “청소년의 고위험 게임사용이 나타나는 과정과 이의 개선 과정”이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으며, 고위험 게임사용에서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을 1차, 2차 및 3차 예방과 연결시켜 논의하였다.

keywords
고위험 게임사용, 위험요인, 보호요인, 1차 예방, 2차 예방, 3차 예방, 근거이론, problematic game use,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primary prevention, secondary prevention, tertiary prevention, grounded theory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problematic game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exploring implications for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kinds of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s adolescents who are currently using games without any problems or making a good use of games. The second group includes adolescents who have developed key symptoms of problematic game use. The third group includes adolescents who had used games problematically in the past but currently do not exhibit such problematic symptoms. These groups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leading to a paradigm model consisting of 13 categories, 35 subcategories and 61 concepts. The analysis showed that phenomena of "problematic game use" were developed due to the influence of causal conditions of "reasons for playing games" as well as contextual conditions of "stress in daily lives",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ke it hard to control game use" and "lack of other recreational activities". The action and interaction aspects were classified into "lack of intentions, motives or preparation to control game use" and "efforts to control game us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affect action and interaction were "situational factors that are helpful for controlling game use", "personal resources needed for controlling game", "environmental resources needed for controlling game use" and "other recreational activities that can substitute games". By developing the storyline of phenomena, a core category of "the processes of problematic game use of adolescents and improvement processes" was derive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in problematic game us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keywords
고위험 게임사용, 위험요인, 보호요인, 1차 예방, 2차 예방, 3차 예방, 근거이론, problematic game use,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primary prevention, secondary prevention, tertiary prevention, grounded theory

참고문헌

1.

강희양, 손정락 (2008).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 중독에 대한 사회적 자기조절모형 탐색 및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143-159.

2.

권정혜 (2005).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부적응: 시간에 따른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67-280.

3.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4.

김교헌, 최훈석 (2008).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51-569.

5.

김교헌, 최훈석, 권선중, 용정순 (2009). 한국형 아동/청소년 게임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511-529.

6.

김소선 (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 탐구, 12(1), 69-81.

7.

김세진, 김교헌, 권선중, 최훈석 (2011). 청소년 게임 중독 진단 임상면접도구(SCI-GA)의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심사중.

8.

문화관광부 (2004). 온라인게임 역기능 실태 조사 및 대처방안. 서울: 문화관광부.

9.

박승민, 김창대 (2005).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 유형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9(4), 999-1022.

10.

성윤숙 (2003).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몰입과정에 관한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96-114.

11.

이유경, 채규만 (2006). 컴퓨터 게임 중독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711-726.

12.

이형초, 안창일 (2002a). 인터넷게임 부적응의 진단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11-239.

13.

이형초, 안창일 (2002b). 인터넷게임 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14.

정경아 (2001). 게임중독 청소년의 특성분석: 개입의 필요성 판단을 위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최훈석, 김교헌, 박태순, 용정순, 김세진, 최혜만, 이은주, 김혜진, 양은영 (2010). 게임 이용에 대한 인식 및 행동진단 모델연구(3차년도).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보고서.

16.

최훈석, 김교헌, 용정순, 김금미 (2009). 적응적 게임활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4), 565-588.

17.

최훈석, 용정순 (2010). 한국 청소년과 성인의 게임에 관한 사회적 표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195-219.

18.

통계청 (2011). 2011 청소년 통계.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에서 2011, 9, 20 인출.

19.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3). 대한민국 게임백서 2004.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5). 온라인 게임 서버.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1.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1998).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1g2522a에서 2011, 9, 20 인출.

22.

한국콘텐츠진흥원(2010). 문화기술연감.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23.

Argyle, M. (2001). The psychology of happiness (2nd ed.). East Sussex, England: Routledge Press.

24.

Alfermann, D., & Stoll, S. (2000).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on self-concept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30, 47-65.

25.

Carr, A. (2004).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human strengths. New York: Brunner-Routledge Press.

26.

Grüsser, S. M., Thalemann, R., & Griffiths, M. D. (2007). Excessive Computer Game Playing: Evidence for Addiction and Aggress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10(2), 290-292.

27.

Metcalf, O., & Pammer, K. (2011). Attentional bias in excessive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rs using a modified Stroop tas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1942-1947.

28.

Seligman, M. E. P. (2006). 긍정심리학[Authentic happiness]. (김인자 역). 서울: 도서출판 물푸레. (원전은 2002에 출판).

29.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ew York: Free Press.

30.

Seligman, M. E. P, Steen, T.,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31.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London: Sage Pr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