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 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Symptoms, Worry, an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Functional Dyspepsia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1, pp.27-4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2
김지연 (전북대학교)
손정락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C 대학교의 500명 이상의 남녀 대학생들 중 기능성 소화불량증 진단 준거에 맞는 24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최종 선발된 24명은 MBCT 집단 (12명), 통제 집단 (12명)에 각각 무선할당 되었으며, MBCT 프로그램은 10회기로 실시되었다. 참가자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위장관련 삶의 질은 사전 검사, 사후 검사 및 1개월 추적 검사 기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 치료 집단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위장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더 개선되었으며, 그 수준이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기능성 소화불량증, 걱정, 소화불량 증상, 삶의 질,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 functional dyspepsia, worry, dyspepsia symptoms, gastrointestinal related quality of lif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symptoms, worry, an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functional dyspepsia. Among five hundred college students, twenty four people who met the diagnosis criteria for functional dyspeps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first of which received 10 weeks of MBCT (n=12), whereas the second was the control group (n=12) and received no MBCT. At pretreatment, the end of treatment, and at 4 week follow-up periods, all participants completed an Index of Dyspepsia Symptoms-Korean (IDS-K), a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and a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NDI-K). MBCT was administered for 10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Dyspepsia symptoms and worry of the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gastrointestinal-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therapy group improved also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ill also be discussed.

keywords
기능성 소화불량증, 걱정, 소화불량 증상, 삶의 질,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 functional dyspepsia, worry, dyspepsia symptoms, gastrointestinal related quality of lif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참고문헌

1.

고경봉 (2000).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신사회적 측면.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6(2), 258-266.

2.

권석만, 유성진, 정지현 (2001). 걱정이 많은 사람의 인지적 특성: 위협평가와 위협대처에서의 인지적편향과 파국적 사고경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0(3), 467-487.

3.

김설환, 손정락 (2010).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89-204.

4.

김정모, 전미애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 과.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41-759.

5.

김정원, 민병배 (1998). 걱정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및 문제해결방식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포스터, 83-92.

6.

김주희 (2010).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상복부 소화기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현영, 이종철, 김성국, 박종재, 이동호, 이수택, 이은현, 이준행, 최석렬, 함기백 (2003). 한국형 소화불량증설문지의 개발. 소화기연관학회지, 41, 562-579.

8.

김형태 (2010). 우리나라 일반주민에서 만성 위장관 증상과 삶의 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9.

박주언, 유범희 (2004). 기능성 위장관장애의 정신과적치료.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10(1), 1-14.

10.

박현숙 (2005).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우울, 불안 및 증상정도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심태경 (2010). 스트레스와 걱정이 안녕에 미치는 영향:정서 조절과 수면의 매개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여자 중학생을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1027-1040.

13.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14.

전미애, 김정모(2011). 정서조절을 위한 MBCT가 임상군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30(1), 113-135.

15.

정정조 (2009). 우리나라 일반주민에서 만성 위장관 증상과 삶의 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6.

정혜경 (2010).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배제 진단 vs. 절대진단. 대한내과학회지, 78(2), 163-169.

17.

조용래, 채숙희, 최연숙 (2009). 우울과 불안증상 및 안녕감에서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의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35-1154.

18.

조유경, 최명규, 김세희, 이인석, 김상우, 정인식, 이상열,최석채, 설상영 (2004). 기능성 소화불량증의삶의 질에 대한 모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43, 160-167.

19.

지삼룡, 정혜경, 민병훈, 최기돈, 이풍렬, 강영우, 이상인(2010). 기능성 소화불량증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대한소화기학회지, 57(2), 67-81.

20.

최지훈, 최석채, 염주진, 김상욱, 서검석, 김태현, 이상렬,나용호 (2002).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분노,감정표현불능증, 우울간의 관련성. 대한소화관운동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3, 93.

21.

한진숙,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1041-1060.

22.

Baer, R. A., Fischer S., & Huss, D. B. (2005b). Mindfulness and acceptance in the treatment of disordered eating.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23, 281-300.

23.

Davey, G. C. L. (1993). A comparison of three worry questionnair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1(1), 51-56.

24.

Delgado, L. C., Guerra, P., Perakakis, P., Vera, M. N., Paso, G. R., & Vila, J. (2010). Treating chronic worry: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a training programme based on mindfulnes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8(9), 873-882

25.

Drossman, D. A. (2006). Rome Ⅲ: The new criteria. Chinese Journal of Digestive Disease, 7, 181-185.

26.

Evans, S., Ferrando, S., Findler, M., Stowell, C., Smart, C., & Haglin, D. (2008). Mindful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 716-721.

27.

Gathaiya, N., Locke, G. R., Camilleri, M. Schleck, C. D., Zinsmeister, A. R., & Talley, N. J. (2009). Novel associations with dyspepsia: A community-based study of familial aggregation, sleep dysfunction and somatization. Neurogastroenterology & Motility, 21, 922-969.

28.

Haug, T. T. (2002). Cognitive therapy in functional dyspepsia.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41, 127-135.

29.

Haug, T. T., Svebak, I., Wilhelmsen, A., & Ursin, A.(1994). Psychological factors and somaticsymptoms in functional dyspepsia: Acomparison with duodenal ulcer and healthycontrol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38, 281–291.

30.

Hyphantis, T., Guthrie, E., Tomenson, B., & Creed, F.(2009). Psychodynamic interpersonal therapyand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difficultiesin people with severe irritable bowelsyndrome. Pain, 145(1-2), 196-203.

31.

Kabat-Zinn, J., Lipworth, L., Burnet, R., & Sellers, W. (1986). Four year follow up of a meditation-based program for self-regulation of chronic pain: Treatment outcomes and compliance. Clinical Journal of Pain, 2, 159-173.

32.

Langeluddecke, P., Goulston, K., & Tennant, C.(1990). Psychological factors in dyspepsia ofunknown cause, a comparison of peptic ulcerdiseas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34, 215–222.

33.

Lieberman D., Fennerty MB., Morris CD., Holub J., Eisen G., & Sonnenberg A. (2004). Endoscop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dyspepsia: Results from the national endoscopic data repository. Gastroenterology, 127, 1067-75.

34.

Mayer, E. A. (1999). Emerging disease model for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07(5A). 12S-19S.

35.

Mussell, M., Kroenke, K., Spitzer, R. L., Williams, J. B. W., Herzog, W., & Löwe, B. (2008).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primary care: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4(6), 605-612.

36.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relapse]. (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울:학지사. (원전은 2002년에 출판)

37.

Talley, N. J., Byce, P., & Jones, M. (1998). Dyspepsia and the health are seeking in a community: How important are psychological factors?.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43, 1016-1022.

38.

Talley, N. J. & Choung, R. S. (2009). Whither dyspepsia? a historical perspective of functional dyspepsia, and concepts of pathogenesis and therapy in 2009.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4(3), S20-S28.

39.

Talley, N, J., Verlinden, M., & Jones, M. (2001).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 Responsiveness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nd development of a new 10-item short form.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15, 207-216.

40.

Tanum, L. & Malt, U. F. (1996). A new pharmacologic treat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ith mianserin.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31, 318-325.

41.

Whorwell, P. J. (2008). Hypnotherapy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The response of colonic and noncolonic symptom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4(6), 621-623.

42.

Wilhelmsen, I. (2002). Somatization, sensitization, and functional dyspepsia.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3, 177-18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