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노인환자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Questionnair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1, pp.287-298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7
한명선 (삼육대학교)
서경현 (삼육대학교)
최인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탐색하고 일반적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설명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4명을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자의 연령 분포는 만 35세에서 68세 사이였다.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묻는 문항들을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개발하여 요인을 분석한 결과, 7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검증되었다. 7요인은 각각 정서적 곤란, 열악한 처우/근무환경, 성적 불편감, 간호사의 질책/부당한 대우, 휴식시간 부족, 직무교육 내용과 다른 실무 그리고 3D 직무를 묘사하고 있었다. Karasek의 직무내용질문지로 측정한 직무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을 7.9%가량만 설명하는데 반해, 이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검증된 일곱 가지 요인은 스트레스 반응을 59.7%나 설명하였다. 이런 결과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노인,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반응, senescent,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stress response

Abstract

As a preliminary study in efforts to developing the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Questionnaire, researchers investigated factors of job stress among professional geriatric caregivers, and compared its accountability for stress responses with accountability of common job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240 geriatric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at a geriatric hospital, whose ages ranged from 35 to 68. Researchers developed items of job stresses directly from geriatric care works,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 (FGI).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n factors were finally retained. Each of 7 factors described emotional difficulties, low salary and poor benefit/working condition, sexual inconvenience, nurse's scolding and poor treatment, lack of recess, the difference between job description and reality, and 3D works. These 7 factors were accounted for 59.7% of the variance in stress responses of geriatric caregivers, while factors from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accounted for 7.9% on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job stresses of geriatric caregivers should be explored continuously.

keywords
노인,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반응, senescent,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stress response

참고문헌

1.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 707-719.

2.

김금주 (2009).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매개효과 중심으로. 지방자치연구, 13, 75-107.

3.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

김현진, 김혜경 (2011).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1,191-214.

5.

박영희, 나중덕, 김선희 (2009).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매개변수로 하여. 노인복지연구, 52, 349-368.

6.

서경현 (2006). 고령화 사회에서 한국인의 건강과 삶의질.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 133-147.

7.

서경현, 최인 (2010).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원, 강인성 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309-326.

8.

오진주 (2003). 치매시설 생활보조원의 노인돌봄 경험.한국노년학, 23, 75-92.

9.

우명이, 서경현 (2008). 노인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강인성이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91-109.

10.

이혜자, 권순호 (2011).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1, 125-144.

11.

임숙빈, 김경의 (2005). 간호사의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 정신간호학회지, 14,390-399.

12.

장선옥 (1995). 치과기공사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김희경(2004).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05-03.

14.

조남옥, 고성희, 김춘길, 양수, 오경옥, 이숙자, 정유진(2008). 가족, 간병인, 간호사가 인지하는 노인요양보호사 교육의 중요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 127-137.

15.

통계청 (2010). 2010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16.

Bower, B., Esmond, S., & Jacobson, N.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staffing and qualit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Exploring the views of nurse sides. Journal of Nurse Care Quality, 14, 55-64.

17.

Caplan, R. D., Cobb, S., French, J. R. P., Harrison, R. V., & Pinneau, S. R. (1975). Job demands and worker health. Washington DC : New Publication, 75-160.

18.

Deutschman, M. (2000). What you hear when you listen to staff. Nursing Homes Long Term Care Management, 49, 37-43.

19.

French, J. R. P., Rogers, W., & Cobb, S. (1974). Adjustment as a Person-Environment Fit, Coping and Adaptation. New York: Basic Book.

20.

Hughes, D., & Galinsky, E. (1994). Work experience and material interactions: Elaborating the complexity of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 423-438.

21.

Johnson, J. V. (1996).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in occupational stress research: an introduction to state of the art re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 6-18.

22.

Karasek, R. A. (1985). Job Content Questionnaire and User's Guide (Revision 1.1).

23.

Karasek, R. A., & Theorell, T. (1990).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Basic Books.

24.

Krauss, N. S., & Altman, B. M. (1998). Characteristics of nursing home residents, 1996. Rockville, MD: USDHHS.

25.

OECD (2003). OECD Health Data, 3rd edition. Paris.

26.

Schuler, R. S. (1980). Definition and concep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 184-215.

27.

Shaw, J., & Riskind, J. (1983). Predicting job stress using data from the 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 253-261.

28.

Siegtist J. (1995). Emotions and Health in occupational life. Patient Education of Counsel, 25, 227-236.

29.

Zimmerman, S., Williams, C. S., Reed, P. S., Boustani, M., Preisser J. S., Heck, E., & Sloane, P. D. (2005). Attitudes, Stress, and Satisfaction of Staff Who Care for Residents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45, 96-10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