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내재적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및 감사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and Gratitud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2, pp.449-460
https://doi.org/10.17315/kjhp.2012.17.2.011
박신영 (중앙대학교)
이서정 (중앙대학교)
현명호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감사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 변인을 탐색해보고, 내재적 종교성향과 감사의 관계에서 종교적 대처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216명(남성 97명. 여성 119명)의 기독교인이 각 변인의 척도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감사는 기도의 빈도나 종교가 삶에 미치는 영향과 같이 종교적 신실성을 나타내는 종교 관련 배경변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감사는 내재적 종교성향과 긍정적 종교적 대처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종교성향과 감사의 관계에서 긍정적 종교적 대처가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종교적으로 성숙한 태도가 감사에 중요한 요인이며, 종교 안에서 바람직한 대처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일상생활 속에서의 감사로까지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종교적 대처를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감사에 대한 개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함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감사,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gratitude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religious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gratitude and to investigate whether religious coping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gratitude. A sample of 216 Christians(97 men and 119 women) were completed the scale of each variable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gratitude was correlated with religious sincerity like the frequency of a private pray and influence of religion to life. Also gratitude was correlated with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positive religious coping. Result of testing mediation indicated that positive religious coping do the role of a partial mediator betwee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gratitude. This means a mature attitude religiously is an important factor for gratitude, and choosing a desirable coping in religious can advance on gratitude in daily life. Also the gratitude intervention will need to promote to choose positive religious coping.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감사,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gratitude

참고문헌

1.

강행원 (2007). 가톨릭신자의 종교성향과 희망, 감사, 자존감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2006).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77-190.

3.

김동기 (2003). 종교심리학. 서울: 학지사.

4.

노혜숙, 신현숙 (2008).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5(2), 147-168.

5.

류정희, 조발그니 (2009).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효과. 인간연구, 17, 69-105.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6.

반신환 (2006). 대학생의 종교와 종교적 대처: 내담자의종교.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1, 139-155.

7.

신재은, 현명호 (2010).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와 상황적용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699-710.

8.

심수명 (1993). 기독교인의 종교성향에 따른 자아분화와죄책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임경희 (2010a). 감사성향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1(1), 1-17.

10.

임경희 (2010b). 감사 연구의 최근 동향 및 과제. 상담평가연구, 2(1), 47-60.

11.

조혜윤, 손은정 (2008). 종교성향과 불안과의 관계에서종교적 대처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773-793.

12.

지형기 (2000). 내재적 종교성향이 종교적 대처 유형을매개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최명심, 손정락 (2010). 내재적 종교성향과 삶의 의미에서 종교적 대처의 매개역할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91-105.

14.

Allport, G. W., & Ross, J. D, (1967).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prejud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 432-443.

1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16.

Emmons, R. A. (2004) The psychology of gratitude: An introduction. In R. A. Emmons & M. E. McCullough (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 (pp. 3-1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

Emmons, R. A., & Crumpler, C. A. (2000) Gratitude as a human strength: Appraising the evidenc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1), 56-69.

18.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377-389.

19.

Emmons, R. A., & Shelton, C. M. (2005). Gratitude and the science of positive psycholog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

Griffth, R. M. (1998). "Joy unspeakable and full of glory": The vocabulary of pious emotion in the narratives of American Pentecostal women. 1910-1945. In P. N. Stearns & J. Lewis (Eds.), An emotion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pp. 218-240).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21.

Hathaway, W., & Pargament, K. I. (1990). Intrinsic religiousness, religious coping and psychosocial competence: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Journal for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29, 423-411.

22.

McAdams, D. P., Reynolds. J., Lewis, M., Pattern, A. H., & Bowman, P. J. (2001). When bad things turn good and good things turn bad: Sequences of redemption and contamination in lie narrative and their relation to psychological adaptation in midlife adults and in studen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474-485.

23.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mceptualand empirical topology. Journal of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112-127.

24.

Pargament, K. I. (1997). The psychology of religion and cop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Guilford Press.

25.

Pargament, K. I., Koenig, H. G., & Perez, L. M.(1998). The Many Methods of ReligiousCoping: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the RCOP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Association. San Francisco, CA.

26.

Spilka, B., Shaver, P., & Kirkpatrick, L. A. (1985). A general attribution theory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24, 1-20.

27.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T., & Koths, R. L.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 431-45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