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기결정이론에 기초한 청소년 게임 중독 개입 프로그램 개발: Win-Me GameTM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Development of a Youth Game Addition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Win-Me GameT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4, pp.861-883
https://doi.org/10.17315/kjhp.2012.17.4.006
임숙희 (충남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권선중 (침례신학대학교)
김세진 (충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게임 중독 청소년의 부적응 증상을 개선하고 게임 행동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연구를 통해 효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강점이나 덕성 증진 활동에 초점을 맞춘 8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했는데, 자기결정이론에 기초하여, 심리적 성장과 발달을 초래하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및 즐거움 욕구가 일상에서도 충족될 수 있도록 생활양식을 수정하는 내용을 포함시켰고, 주양육자의 도움이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매회기 마다 부모교육을 포함시켰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게임 중독 상태에 해당하는 개입집단 9명과 비교집단 10명을 대상으로 개입 전, 후 게임 중독 수준과 평일 및 주말 이용 시간을 평가했다. 사전 측정치를 공변인으로 두 집단 간 사후 수준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개입집단의 게임 중독 수준과 이용 시간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치료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개선 및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게임 중독, 개입, 긍정심리학적 접근, 자기결정이론, game addiction, intervention, positive psychology approach, self-determination theory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maladjusted behaviors of addicted adolescents and build up the ability to self-regulate game behaviors, and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s of 8 sessions, which are focused on the improvement in personal strengths and virtue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program includes the modification of lifestyle to meet autonomy, competence, relationship and pleasure needs in daily lives, which leads to psychological growth and development. Every session includes parent education to obtain assistance from primary caregiver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study observed 9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game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10 adolescents in the comparison group. Their level of game addi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weekday and weekend hours of gaming were observed. With the level of game addiction before the program as a covariate, the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game addiction after the program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game addiction and hours of gaming for the intervention group became lower compared to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On the basis of the verification results, the improvement in the program and practical use were discussed.

keywords
게임 중독, 개입, 긍정심리학적 접근, 자기결정이론, game addiction, intervention, positive psychology approach, self-determination theory

참고문헌

1.

강희양, 손정락 (201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대한 자존감향상 인지행동 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143-159.

2.

곽미숙, 김정남, 천성문 (2005). 인터넷 과다몰입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8(1),61-72.

3.

권정혜 (2005).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67-280.

4.

김교헌, 최훈석 (2008).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51-569.

5.

김교헌, 최훈석, 권선중, 용정순 (2009). 한국형 아동/청소년 게임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511-529.

6.

김세진, 권선중, 최훈석, 김교헌 (2012). 청소년 게임 중독 진단 임상면접도구(SCI-GA)의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545-555.

7.

김세진, 김교헌, 최훈석 (2011). 청소년 고위험 게임사용의 발현과 이후 변화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759-781.

8.

김은영 (2012). 자기결정성동기이론의 세 가지 욕구가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학교, 9(2), 311-330.

9.

김주환, 이윤미, 김민규, 김은주 (2006). 온라인 게임 중독의 유형과 원인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5), 79-106.

10.

박경애, 김희수, 이화자, 김옥희 (2009). 가족과 개인변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41-51.

11.

서승연 (2007).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몰두 성향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91-405.

12.

서준호 (2012). 게임몰입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심란희 (2004). 인터넷 중독과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관련성.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 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386.

15.

이해경 (2002). 인터넷 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중독을 예측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발달,14(4), 55-79.

16.

장미경, 이은경, 장재홍, 이자영, 김은영, 이문희 (2004).게임장르에 따른 게임중독, 인터넷 사용욕구및 심리사회 변인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5(3), 55-69.

17.

정민선, 김현미, 권현용 (2012). 청소년의 기본욕구충족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대처의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20(1), 159-174.

18.

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06). 2006년 상반기정보화 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1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1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게임이용에 대한 인식 및 행동진단 모델 연구(3차년도).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2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2011 게임 이용자 종합 실태조사.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22.

Abreu, C. N., & Goes, D. S. (2011). Psychotherapy for internet addiction. In K. S. Young & C. N. Abreu (Eds.), Internet addiction: A Handbook and Guide to Evaluation and Treatment (pp. 155-172). John Wiley & Sons, New Jersey.

23.

Deci, E. L., Connell, J. P., & Ryan, R. M. (1989). Self-determination in a work organ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 580-590.

24.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25.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26.

Deci, E. L., & Ryan, R. M.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7.

Du, Y., Jiang, W., & Vance, A. (2010). Longer term effect of randomized, controlled group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 students in Shanghai.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4, 129-134.

28.

King, L. A. (2001).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life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 798-807.

29.

Lin, C. H., Lin, S. L., & Wu, C. P. (2009).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leisure boredom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dolescence, 44, 993-1004.

30.

Liu, C., & Kuo, F. (2007). A study of Internet addiction through the lens of the interpersonal theory.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0, 799-804.

31.

Marra, T. (2005).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in private practice. Oak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32.

Miller, W. R., Wibourne, P. L., & Hettema, J. (2003). What works? A summary of alcohol treatment outcome research. In R. K. Hester, & W. R. Miller (Eds.), Handbook of alcoholism treatment approaches: Effective alternatives (3rd ed.,pp. 13-63). Boston, MA: Allyn & Bacon.

33.

Najavits, L. M. (2003). How to design an effective Treatment Outcome Study.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9(3), 317-337.

34.

Oyserman, D., Bybee, D., & Terry, K. (2006). Possible selves and academic outcomes: How and When possible selves impel 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 188-204.

35.

Oyserman, D., & Markus, H. R. (1990). Possible selves and delinqu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12-125.

36.

Radel, R., Pelletier, L. G., Sarrazin, P., Milyavskaya, M. (2011). Restoration process of the need for autonomy: The early alarm sta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1, 919-934.

37.

Reeve, J. (2005).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4th Ed.). Hoboken, NJ: Wiley.

38.

Reeve, J., & Deci, E. L. (1996). Elements within the competitive situation that affect intrinsic motiv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 24-33.

39.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40.

Ryan, R. M., & Deci, E. L. (2002). 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E. L. Deci & R. M. Ryan(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41.

Ryan, R. M., Deci, E. L., & Grolnick, W. S. (1995). Autonomy, relatedness, and the self: Their relation to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 D. J. Cohen(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Theory and methods (pp. 618-655). New York: Wiley.

42.

Ryan, R. M., & La Guardia, J. G. (2000). What is being optimized over development?: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cross the life spanIn S. Qualls & N. Abeles (Eds.), Psychology and the aging revolution. (pp. 145-172). Washington, DC: APA Books.

43.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39). Oxford,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44.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 410-421.

45.

Watson. D. L., & Tharp, R. G. (2010). 충동과 자기관리 [Self-Directed Behavior (4th ed.)]. (정경미, 조성은, 최부열 역). 서울: 박학사. (원전은2007년에 출판).

46.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Student BMJ, 7, 351-352.

47.

Young, K. S. (2007).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ith internet addicts: Treatment outcomes and implications. Cyberpsychology & Behavior, 10, 671-679.

48.

Young, K. S. (2011). CBT-IA: The first treatment model for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25(4), 304-3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