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강도와 스트레스 대처 그리고 긍정적 정신건강 간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강도와 긍정적 정신건강 간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가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제안모델로 제시하였다. 그 후 제안모델과 세 개의 대안모델들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249명(남자 161명과 여자 88명)에게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자아강도 척도 그리고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강도와 긍정적 정신건강 간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가 부분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제안모델이 대안모델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심리학적 개입방법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ego strength, stress-coping, and positive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proposed model in which stress-coping exer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go strength and positive mental health. Goodness of fit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proposed model against competing models. The participants were 249 high school students (161 males, 88 females). They completed the Stress-Coping Style Scale, the Ego Strength Scale, and the Positive Mental Health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had a better goodness of fi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positive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should consider strategies to enhance their ego-strength.
고영건 (2013). 청소년을 위한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의표준화 연구. 서울: 아산사회복지재단.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2). 제 8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
김윤, 이선영 (2009). 정신건강 선별검사 및 사례관리 연계체계 개발. 서울대학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김해옥 (1989). 학업성적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학업에대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청구논문.
김현정 (2012). 긍정적 정신건강 모형의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동혁 (2007). 예방과 촉진을 위한 청소년 정신건강 모형의 탐색.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우종필 (2013).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이해. 서울: 한나래.
이명자, 류정희 (2008). 완전한 정신건강모형 검증. 교육연구, 31, 47-68.
이장호, 김재환 (1982). 상담효과측정을 위한 자아강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Barron의 자아강도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 173-185.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0).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 지수: 한국인의 정신건강. 2010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통계청(2012). 사망원인통계연보 2012. 대전: 통계청.
하영윤, 오영환(1996). 대학생의 자아강도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연구. 학생생활연구, 8(12), 99-119.
Bellak, L., Hurvich, M., & Gediman, H. K. (1973). Ego functions in Schizophrenics, Neurotics and Normals : A systematic study of conceptu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aspect. New York; John Wiley & Sons.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267-283.
Cernovsky, Z. (1984). Es scale level and correlates of MMPI elevation : Alcohol abuse vs MMPI scores in treated alcoholic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0, 1502-1509.
Frazier, P. A., Tix, A. P., & Barron, K.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 115-134.
Hartman, H. (1958). Ego psychology and the problem of adaptation.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Keyes, C. L. M. (2005).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 539–548.
Keyes, C. L. M. (2007).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as flourishing: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roving national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62, 95-108.
Lamers, S., Westerhof, G. J., Bohlmeijer, E. T., Ten Klooster, P. M., & Keyes, C. L. M. (2011). Evaluat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7, 99-110.
Last, V. & Weiss, A. (1976). A. Evaluation of Ego Strength based on certain Rorschach variab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0, 57-6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Nunberg, H. (1942). Ego Strength and Ego Weakness. American Imago, 3, 25-40.
Stagner, R. (1974). Psychology of personality (4th Ed.). New York: McGrow-HillBook.
Vaillant, G. E. (1997). The wisdom of the ego.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