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직업건강심리학적 관점의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rief Job Stress Scale Development based on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3, pp.695-709
https://doi.org/10.17315/kjhp.2014.19.3.004
김경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정봉교 (영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산업현장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기 위한 직업건강심리학적 접근으로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을 시도하였다. 부산경남지역의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상호교섭 과정 모형에 기초하여 20문항을 구성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대인관계, 직무부담, 대처로 구성된 최종 10문항의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결과 유의한 신뢰도가 관찰되었고,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성, 삶의 만족도와의 준거타당도 분석에서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상호교섭과정 모형에 따라 구성한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간이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성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대처요인이 추가되었을 때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성에 대한 설명력은 더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가 기존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유사한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면서도 간편한 척도 구성으로 인해 산업현장의 활용성은 더욱 높아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brief job stress scale,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job stress,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 직업건강심리학, 직무스트레스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develop brief job stress scale to assess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in order to prevent job stress at industrial sites, which is increasing. Busan, GyeongNam area’s laborers who are engaged in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asked to compose 20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transactional process model. Through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 brief job stress scale composed of 10 questions was developed. The Brief Job Stress Scale includes indicators like interpersonal relations, work load, and coping. The result of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liability, and the analysis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tress response, and life satisfaction. The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with the sub factors of the Brief Job Stress Scal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stress response in order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 Brief Job Stress Scale following the transactional process model. It showed significant results and when the coping factor of the Brief Job Stress Scale was added, it showed increased ability to explain along with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stress respons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Brief Job Stress Scale measured simila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existing job stress scales and can be confidently used more in its abbreviated form.

keywords
brief job stress scale,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job stress, 간이 직무스트레스 척도, 직업건강심리학, 직무스트레스

참고문헌

1.

강동묵 등 (2005).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도서출판 고려의학.

2.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반응 척도의 개발. 한국신경심리학회지, 39(4), 707-719.

3.

고용노동부(2012).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2). 고용노동부.

4.

김건형 (2007). 신종 근로자 질병 예방에 관한 연구(직무스트레스 관리 매뉴얼 개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5.

박창남 (2004).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양안숙 (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조선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이동수 (1999).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이종목, 박한기(1988). 직무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연구(Ⅰ). 사회심리학연구, 4(1), 241-262.

9.

이준효 (2005). 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조사도구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전겸구, 장세진, 홍기원, 하은희, 김남송 (2003). 작업 스트레스 척도 개발: 이론적 배경 및 심리측정적 증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3), 645-661.

11.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12.

최성민 (2004). 골프 경기보조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척도개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탁진국, 윤혜진 (2002).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원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197-210.

1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차년도).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1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1). 직무스트레스 함께 관리하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6.

한상미 (2012). 긍정심리치료가 노인들의 우울감,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Adkins, J. A. (1995). Occupational stress: A leadership challenge. Paper presented at Horizons: Air Force Materiel Command Leadership Conference, Albuquerque, NM.

18.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1993). Human capital initiative: The Changing Nature of Work[Special issu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Observer, Report 1.

19.

Bennis, W. (1993). Beyond bureaucracy; Essays on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human organization. In W. Bennis, Toward a truly scientific management.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health. San Francisco: Jossey-Bass. (Originally published 1962)

20.

Health and Safety Executive(HSE) (2001). Tackling Work-related Stress: A managers' Guide to Improving and Maintaining Employee Health and Well-Being(Hs(G)218). Sudbury: HSE Books.

21.

Ilgen, D. R. (1990). Health issues at work. American Psychologist, 45, 273-283.

22.

Joel, B. B., Royer, F. C., & Kenneth, R. P. (2002). Toward and integrated framework for comprehensive organizational wellness: concepts, practices, and research in workplace health promotion.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APA).

23.

Quick, J. C., Quick, J. D., Nelson, D. L., & Hurrell, J. J., Jr. (1997). Preventive stress management in organizations(Rev. ed.).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

Schein, E. (1965). Organization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5.

Spielberger, C. D., & Vagg. P. R. (1999). JSS: Job Stress Survey. Propessional Manual. Odessa FL: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6.

Steven, L., Sauter and Joseph, J., & Hurrell, Jr. (1999).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Origins, Content, and Direction. Professional Psychology:research and Practice, 30(2), 117-122.

27.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66). Protecting the health of righty million Americans: A national goal for occupational health.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