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긍정심리학의 긍정특질을 바탕으로 한 성격강점을 통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시와 D시 4개 대학교의 568명(남 225명, 여 34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인터넷 중독과 성격강점의 관계를 탐색적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인터넷 중독은 성격강점 요인 중 자기조절, 용감성, 사랑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감각추구와 충동성을 설정하고, 인터넷 중독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주는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충동성은 인터넷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감각추구는 충동성을 거치는 간접경로를 통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중독은 우울과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탐색적 회귀분석에서 가장 많은 설명량을 지닌 성격강점인 자기조절의 상하 수준에 따라 인과모형의 차이를 다집단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기조절 하 집단에서는 충동성이 인터넷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감각추구는 충동성을 거치는 간접경로를 통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중독은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우울은 불안을 거치는 간접경로를 통해 설명되었다. 자기조절 상 집단에서는 감각추구와 충동성이 인터넷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인터넷 중독은 우울과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자기조절이 낮은 사람들은 우선적으로 단순한 충동성에 의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반면, 자기조절이 높은 사람은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인터넷을 이용하지만 자기조절의 실패는 개인의 부정적 정서에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지속된 인터넷 중독은 자기조절의 수준에 관계없이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internet addiction through the character strengths(VIA scale) based on positive traits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the scientific study for positive psychological aspects of humans. Using the data of 568 students (male 225, female 343) from four universities in J and D c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character strengths was examined through exploratory regression analysis, and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self-regulation, bravery, and love among character strength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ausal model was set up among sensations-seeking and impulsiveness, internet addiction, and negative emotions; sensations-seeking and impulsiveness were predictors of internet addiction while internet addiction was a affecting factor on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xiety). Impulsiveness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net addiction, and sensation-seeking indirec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through impulsiveness. In addition, internet addiction significantly explained depression and anxiet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ain how the casual model could be expla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igh-low level of self-regulation. In the low level of self-regulation, impulsiveness significan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and sensation seeking indirec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through impulsiveness while internet addiction indirectly explained depression through anxiety. In addition, in the high level of self-regulation, sensations seeking and impulsiveness significan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addiction significantly explained depression and anxiety. Consequent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while people with low self-regulation used the internet due to the simple impulse, people with high self-regulation used internet for different reasons and the expectation of self-regulation, but the failure of self-regulation could have greater effects on the negative emotions. However, persistent internet addic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self-regulation, impacted the negative emotion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학지사
권석만 (2009). 서울대학교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성격적 강점검사의 개발.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연구보고서.
권정혜 (2000). 포스터발표 : 감각추구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2000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0-271.
김교헌 (200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159-179.
김정애 (2011). 자기은폐와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심리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적 심리 욕구 만족의매개효과 : 모형검증 및 일일 상태의 위계적 분석(HLM).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원 (2002). 중.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 사회환경적요인 및 인터넷, 게임 중독과의 관계. 경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지영 (2011). 성격강점이 긍정적 정신건강에 미치는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학지사
박경애, 김희수, 이화자, 김옥희 (2009). 가족과 개인변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41-51.
박서영 (2012). 불안장애와 우울장애 감별진단에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유용성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윤창, 이미경, 윤진 (1995). 자극추구동기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1), 53-64.
배병렬 (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도서출판 청람.
송원영 (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세라 (2003).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인천 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돈규 (2000). 청소년의 감각 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경향 및 인터넷 관련비행간의 상관성. 청소년학연구, 7(2), 117-136.
양시자 (2001). 센세이션추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미나, 최외선 (1997). 대학생의 특성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문연구, 19(1), 261-276.
유진, 강필중 (2003). 한국형 감각추구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스포츠 참가 예측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249-264.
이계원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대환 (2004).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강박성과의 연관성.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민수, 이민규 (2003). 한국우울증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42(4), 492-506.
이병회, 박상학, 김상훈 (1996). 알코올중독과 감각추구성향. 신경정신의학, 35(1), 144-155.
이인혜 (2002). 기능적 충동성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성격적 및 인지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1), 67-89.
이현수 (1992). 충동성 검사 실시 요강. 서울: 한국가이던스.
이형초 (2009). 통합심포지움: 인터넷 게임: 약인가, 독인가? ; 인터넷 게임중독의 평가와 치료. 한국심리학회지 2009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5
이형초, 최윤경, 이순묵, 반재천, 이순영 (2007). 성인 인터넷 병리적 사용의 행동증상에 대한 자기보고형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765-791.
임영진 (2010). 성격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지환 (2005).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정도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재홍, 이민규 (2011). 구두 발표 :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학생의 성격적 강점과 행동중독과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1 동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67-70.
조남근 (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중독경향 및 인터넷관련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91-111.
조민자 (2011). 우울, 불안 및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박사학위논문.
최기민 (2008). 생활체육 참여 정도에 따른 감각추구와운동중독 간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민정 (2000). 인터넷 중독적 사용과 우울감, 자기효능감 및 감각추구성향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은미 (2009). 성격적 강점이 성인의 삶의 만족도와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팽현기 (2003).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우울감·충동성·사회 회피 및 불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기흥 (2008).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 (1993). Spielberger 상태-특성불안 검사의 표준화. 학생지도연구, 10(1), 214-222.
허심양, 오주용, 김지혜 (2012). 한국판 Barratt 충동성검사-11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769-782.
홍세희 (2003). 구조 방정식 모형의 원리와 응용, 경영학 연구조사방법 뉴트렌드.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Highlights of Changes from DSM-IV-TR to DSM-5. http://www.dsm5.org/Documents/changes%20from%20dsm-iv-tr%20to%20dsm-5.pdf에서 2013. 9. 19자료 얻음.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Barratt, E. S. (1990)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Paper presented at risk Special Studies Meeting McArther Foundation Program of Research on Mental Behaviour, Pittsburgh, P. A., 27-28.
Bentler, P. M., & Bonnett, D. G. (1980). Significant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Catalano, R. F., Berglund, M. L., Ryan, J. A. M., Lonczak, H. C., & Hawkins, J. D. (1998). Positive Youth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Findings on Evaluations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Programs.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91(1), 98-124.
Charles O'Brien. (2013). DSM-5 Video Series: Why Internet Gaming Disorder is Included in Section III. http://www.psychiatry.org/practice/dsm/dsm5/dsm-5-video-series-why-internet-gaming-disorder-is-included-in-section-iii에서 2013. 9. 19 자료 얻음.
Chen, F., Bollen, K., Paxton, P., Curran, P. J., & Kirby, J. (2001). Improper solution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Causes consequences, and strategie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9, 468-508.
Cole, D. A., Truglio, R., & Peeke, L. (1997). Relation between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 multitrait-multimethod-multigroup assessment. Journal of Consult in and Clinical Psychology, 65, 110-119.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 187-195.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Retrieved Jan 6, 2005: www.rider.edu/users/sulert/psychber/supportgp.htm
Griffiths, M. D.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XLIII. Some comments on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Psychological Reports, 80, 81-82.
Kenny, R. C., & Iain, F. B. (1993). Sensation Seeking, Gambling and Gambling Addiction. Addiction 88, 541-554.
Kim, H. K., & Davis, K. E. (2009). Toward a comprehensive theory of problematic Internet use:Evaluating the role of self-esteem, anxiety, flow, and the self-rated importance of Internet activit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5(2), 490-500.
Kim, K., Ryu, E., Chon, M. Y., Yeun, E. J., Choi, S. Y., Seo, J. S., & Nam, B. W. (2006).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and its relation to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2), 185-92.
King, N. J., Ollendick, T. H., & Gullone, E. (1991). Negative affectiv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Relations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1, 441-459.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st ed.). New York:Guilford Press.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Guilford Press.
Klinger, E. (1975). Consequences of commitment to and disengagement from incentives. Psychological Review, 82, 1-25.
Kovacs, M. (1990).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North Tonawanda, NY: Mental Health System.
Meerkerk, G. J., Van Den Eijnden, R. J., Franken, I. H., & Garretsen, H. F. (2010). Is compulsive internet use related to sensitivity to reward and punishment, and impulsiv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4), 729-735.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603-619.
Peterson, C. (2006).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eterson, C., & Seligman, M.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Washington, D.C: APA Press and Oxford University Press.
Peterson, C., Ruch, W., Beerman, U., Park, N., & Seligman, M. E. P. (2007). Strengths of character,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 149-156.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3-9.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Shaffer, H. J. (1999). On the nature and meaning of addiction. Natural Forum, 4, 9-14.
Shimai, S., Otake, K.,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6) Convergence of Character Strengths in American and Japanese Young Adult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3), 311-322
Simons, A. D., Murphy, G. E., Levine, J. L., & Wetzel, R. D. (1986). Cognitive therapy and pharmacotherapy for depression: Sustained improvement over one yea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3, 43-48.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est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Tucker, L. R., &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1-10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3, 237-244.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Vande-Creek, L., & Jackson, T.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17, 19-31.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Sage.
Zuckerman, M., Kolin, E. A., Price, L., & Zoob, I. (1964). Development of a sensation seek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8, 477-482.
Zuckerman, M. (1979). Sensation Seeking: Beyond the Optimal Level of Arousal. Lawrence Erlbaum, Hillsdale, 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