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홧병의 건강심리학적인 연구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홧병 집단은 K 대학 병원에 소속된 '홧병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 80명이었다. 한편, 비교 집단으로는 S 대학 병원과 W 대학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의 보호자 가운데 홧병 집단과 동일한 연령과 성비를 갖도륵 구성된 8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STAXI의 한국판(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인쇄중)과 CES-D의 한국판(전겸구, 이민규, 1992)이었다. 그 결과, (1) 본 연구에 참여한 홧병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으로는, 다른 홧병 연구에서와 유사하게, 여자가 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연령이 높은 사람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2) 정서적 스트레스간의 상관을 산출한 결과, 홧병 집단에서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간에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아서 이 두 요인이 독립적임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홧병 집단을 홧병의 지속 기간에 따라서 단기 집단(7년 이하)과 장기 집단(9년 이상)으로 구분한 결과, 단기 집단에서는 분노를 경험할 때 분노 표출 경향성이 높은 반면에, 장기 집단에서는 분노를 경험할 때 분노 억제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3) 홧병 집단과 비교 집단간의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홧병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하여 분노 경험 측면에서는 상태 분노와 특성 분노를 더욱 많이 경험하고 있었으며, 분노 표현 측면에서는 분노 억제를 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에 두 집단간에 분노 표출이나 분노 통제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4) 홧병에 미치는 분노와 우울의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분노 만이 의미있는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특성 분노와 분노 억제가 홧병에 대한 유의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논외와 함께 추후 연구에서의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health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hwabyung. The participants were 80 hwabyung patients who visited 'hwabyung clinic' at K university hospital. Comarison group, matching age and sex to hwabyung group, e<mists of caregivers of patients at S university hospital and W university hosital. The scale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were Korean adaptation of STAXI (Chon, Hahn, Lee, & Spielberger, in submission), and Korean adaptation of CES-O (Chon, & Lee, 1992) to measure anger and depression, respectively ..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Hwabyung group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in most other hwabyung studies, more females in sex and old in age; (2) when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stress were calculated for hwabyung group,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anger-in and anger-out. On the other hand, among hwabyung group, trait ange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ger-in as well as anger-out. When hwabyung group was dividied into short-tern group (less then 7 years of duration) vs. long-tern group (over than 9 years of duration), the experience of anger is likely to be expressed as anger-out mode in short-tern group, while the experience of anger is likely to be expressed as anger-in mode in long-tern group; (3) group differences between hwabyung group vs. caregivers group, based on t-test, revealed that hwabyung group was higher in terms of experience of anger; they were higher in state anger and trait anger scores than were caregivers group. With respect to the expression of anger, hwabyung group was higher in terms of anger-in. On the other hand, their were no differences between hwabyung and caregivers group in terms of anger-out and anger-control. (4) when the effects of emotional stress (i. e., anger and depression) on hwabyung, only anger, especially trait anger and anger-in, showed powerful predictors to hwabyung. The present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hwabyung may also be associated with physical health, and thus that health piychological approach to hwabyung is strongly called for in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