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Relationship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 on the Role of Resilienc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5, v.20 no.1, pp.235-251
https://doi.org/10.17315/kjhp.2015.20.1.013
한금상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서경현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29명의 대학 졸업반 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만 22.40(SD=1.74)세였다. 본 연구에서 취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긍정/부정정서 및 삶의 만족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격관련 취업스트레스를 더 경험하고, 자신감과 분노조절 수준이 낮았으며, 삶에 덜 만족하고 있었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이나 주관적 웰빙과 밀접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웰빙 간에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아탄력성 하위 요인 중에 낙관적 태도가 주관적 웰빙을 약 4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대학생의 웰빙에 대한 취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취업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역할이 발견되었기에 추후 이 관계를 더 연구할 필요가 있고 임상적으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life satisfaction, well-being, 취업,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 웰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role of resilience in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329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22.40 (SD=1.74).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experienced greater job-seeking stres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as well as lower feelings of competence, anger control, and life satisfaction than male students. Job-seek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while resil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 attitude, a factor of resilience, accounted for the most variance, with approximately 41%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dysfunction of job-seeking stress and the positive effect of resilience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some theorie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as well as the clinical meaning of this study was addressed. These findings reiterate the negativ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on th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indicate the role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us, further studies on this relationship and discussion of its clinical implications are needed.

keywords
job-seeking, stress, resilience, life satisfaction, well-being, 취업,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 웰빙

참고문헌

1.

강경연, 장문선 (2014). CAP+프로그램과 K-MBSR 결합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33(5), 19-41.

2.

강경훈 (2009).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강유리(2007). 무용전공대학생의취업스트레스가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학지사.

5.

김나미, 김신섭 (2013).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125-1144.

6.

김영희, 서경현 (2011). 병원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반응 및 서비스 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329-345.

7.

김유진, 김영희(2009).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 123-142.

8.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25-345.

9.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2009).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87-205.

10.

김혜경, 서경현 (2013). 부모의 거부적 및 통제적 양육태도와 회피성 성격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역할. 청소년학연구, 20(11), 105-125.

11.

류진혜 (1998).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생활연구, 16(1), 211-232.

12.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2009).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0(1), 417-435.

13.

박선희, 박현주 (2009).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67-81.

14.

박지혜,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2005).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2005년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대회논문집, 474-475.

15.

박현진 (1996).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배주윤(2008). 대학생의자아탄력성이위업스트레스와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서경현, 안재순, Kim (2012). 고등학생의 부모화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1027-1043.

18.

서경현, 오경희 (2009).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633-648.

19.

서경현, 최인 (2010).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원, 강인성 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309-326.

20.

손솔, 서경현 (2014).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2), 619-635.

21.

신현균, 장재윤 (2003).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15-827.

22.

신희천, 장재윤, 이지영 (2008). 대학졸업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대구대학교 사회연구, 16, 43-75.

23.

심지은, 안하연, 김지혜 (2011).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이해, 32(1), 103-118.

24.

윤명숙, 이효선 (2012).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의 조절효과. 청소년학 연구, 19(3), 109-137.

25.

이훈구, 김인경, 박윤창 (2000).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실업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2), 87-101.

26.

임서영 (기자) (2014, 9, 4). 대졸자 취업난 ‘심각’ ···취업 성공 조건은? [KBS 9시뉴스] 서울: KBS TV

27.

장춘미 (2009). 대학생 자살관련 요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개입방안 모색,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 22, 59-71.

28.

전영자, 강경훈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1-202.

29.

정의석, 노안영 (200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증, 자아존중감 및 신체건강과의 관계연구.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33, 85-101.

30.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31.

한금선, 임희수, 양보겸, 정혜경, 서용진 (2005). 정신질환자의 자기주장훈련이 대인관계, 사회행동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5), 896-903.

32.

황성원 (1998).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Aspinwall, L. G., & Brunhart, S. M. (2000). What I do know won’t hurt me: Optimism, attention to negative information, coping, and health. In J. E. Gillham (Ed.), The science of optimism and hope:Research essays in honor of Martin E.P. Seligman (pp. 162-200). Philadelphia: Templeton Foundation.

34.

Baron, R. M., & Kenny, D.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5.

Baumgardner, S. R., & Crothers, M. K. (2009).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 (안신호, 이진환, 신현정, 홍창희, 정영숙, 이재식, 서수균, 김비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년에 출판)

36.

Block, J. (1961). The Q-Sort Method in Personality Assessment and Psychiatric Research. Springfield, Illinois: C.C. Thomas. (Reprinted b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lifornia in 1978)

37.

Burns, T. (1994). From risk to resilience. Dallas, TX:Marco-Polo Press.

3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39.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40.

Egeland, B., & Kreutzer, T. (1992).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maternal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high risk children. In E Cummings, A Greene, K Karraker (Eds.). Life-span perspectives on stress and coping (pp. 61–83). New York: John Wiley.

41.

Garmezy, N., & Streitman, S. (1974). Children at risk:The search for antecedents to schizophrenia. Part I: Conceptual models and research methods. schizophrenia Bulletin, 8, 14-90.

42.

Hammarstrom, A., & Janlert, U. (1997). Nerv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longitudinal study of youth unemployment-selection or exposure? Journal of Adolescence, 20(3), 293-305.

43.

Howard, S., & Johnson, B. (1999). Tracking student resilience. Children Australia, 24, 14-23.

44.

Hunter, A. J., & Chandler, G. E. (1999). Adolescent resilienc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1, 243-247.

45.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1067-1079.

46.

Levenson, R., Carstensen, L., & Gottman, J. (1994)The influence of age and gender on affect, physiology and their interrelations: A study of long-term marriag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56-68.

47.

Luthar, S., Burak, J., Cicchetti, D., & Weisz, J. (1997).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s on adjustments, risk, disorder.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Lyubomirsky, S., & Della Porta, M. (2008). Boosting happiness, buttressing resilience: Results from cognitive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In J. W. Reich, A. J. Zautra, J. Hall (Eds.). Handbook of adult resilience: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Guilford Press.

49.

Masten, A. S., & Reed, M. G. J. (2002). Resilience in development.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74-8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0.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 (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 Psychopathology 2, 425-444.

51.

Nolen-Hoeksema, S., & Girgus, J. S. (1994). The emerg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during adolescence. Psychological Bulletin, 115(3), 424-443.

52.

Ong, A. D., Bergeman, C. S., Bisconti, T. L., & Wallace, K. A. (2006). Psychological resilience, positive emotions, and successful adaptation to stress in later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 730-749.

53.

Pavot, W., Diener, E., & Suh, E. (1998). The temporal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70, 340-354.

54.

Ryan, R. M., & Di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55.

Schaufeli, W., B., & Van Yperen, N. Y. (1992). Unemploy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graduate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Occupation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5, 291-305.

56.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3-9).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57.

Stratta, P., Capannac, C., Patriarcac, S., Cataldoa, S., Bonannia, R. L., Riccardic, I., & Rossic, A (2013). Resilience in adolescence: Gender differences two years after the earthquake of L’Aquila.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4(3), 327-331.

58.

Suh, K. H. (2009).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4), 379-387.

59.

Tugade, M. M., Fredrickson, B. L., & Barrett, L. F. (2004).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ositive emotional granularity: Examining the benefits of positive emotions on coping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72, 1161-1190.

60.

Visani, D., Albieri, E., Offidani, E., Ottolini, F., Tomba, E., & Ruini, C. (2011). Gende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during Adolescence. The Human Pursuit of Well-Being, 1, 65-7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