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5, v.20 no.3, pp.587-603
https://doi.org/10.17315/kjhp.2015.20.3.006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vert narcissism, experiential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2)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 total of 342 adults (139 males and 203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verage of age was 25.45 years.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Gang and Chung’s Covert Narcissism Scal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and Jung and Kim’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Our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s were more likely to show experiential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eriential avoidance, while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reveal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factor of covert narcissism, exploitation/ego-centrism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SNS addiction proneness. Additional accountability of commitment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negativ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discussed an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es are recommended for covert narcissism.

keywords
자기애, 수용, 회피, 중독, SNS, narcissism, acceptance, avoidance, addiction, SNS

Reference

1.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2.

김세진, 김교헌 (2013). 인터넷 중독 개선을 위한 인지적 접근; 조절실패와 갈망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3), 421-446.

3.

김연주, 신희천, 원성두, 한창우 (2013). 외상 후 스트레스와 알코올 의존과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3), 1647-1663.

4.

김준수, 조진무, 송윤미, 이정권 (2004). PC방 이용자들의 인터넷 중독과 우울, 불안 및 대인회피 성향과의 연관성. 대한가정의학회지, 25(6), 455-461.

5.

김진미,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대학생의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01-324.

6.

노푸른, 손정락 (2014).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및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9(4), 885-910.

7.

류경희 (2014).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성복, 황하성 (2014).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탐구. 한국언론학보, 58(4), 289-311.

10.

박웅기 (2014).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 27(1), 95-125.

11.

방송통신위원회 (2013).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과천시: 방송통신위원회.

12.

소선숙, 명재신, 김청송 (2011).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의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521-535.

13.

오윤경 (2012).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다선, 손정락 (2014). 수용전념치료(ACT)가 제1형 당뇨 청소년의 당뇨 스트레스, 자기관리, 삶의 질 및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3), 637-658.

15.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67-982.

16.

이계정, 정남운 (2007).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인터넷보상경험이 인터넷 과다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55-69.

17.

이상욱, 이지은, 한성준, 정동훈 (2013).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자기노출, 공유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방향, 그리고 관계 유형 차원의 이해와 행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0(4), 87-129.

18.

이채리, 정남운 (2012). 정서강도와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22(1), 139-158.

19.

장문선, 박기쁨, 정성훈, 우상우 (2011). 의존성, 회피성성격특성의 심리적 특성과 중독성향 간의 관련성.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4(1), 13-31.

20.

정나래, 이민규 (2014). 수용 전념 치료(ACT)가 알코올의존 환자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909-930.

21.

정남운 (2001). 자기애적 성격검사의 요인구조와 아이젱크 성격차원 및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3(2), 221-237.

22.

정소영, 김종남 (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47-166.

23.

제현채, 김정규 (2014).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중독에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3), 477-489.

24.

조다현 (2014). SNS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표현성, 친구 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26.

조영미, 김동민, 송경수, 유지현 (2009). 청소년 인식에의한 인터넷 중독의 원인 탐색: 개념도 접근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0(1), 469-483.

27.

조현정,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문제 음주 대학생의 문제 음주 행동, 알코올 기대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3), 445-467.

28.

중소기업신문 (2015. 6. 12.). “SNS 이용자 3명 중 1명 '피로증후군' 겪어”

29.

최원희, 손정우, 김영랑, 이상익, 신철진, 김시경, 주가원(2011).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서의 내현적 자기애에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2(2), 103-111.

30.

최혜정, 장문선 (2010).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의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자아방어기제 특징. 상담학연구, 11(2), 539-554.

3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1년 정보문화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012년 정보문화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3.

허예슬,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가 정서조절곤란이있는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 회피적 정서조절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8(4), 603-626.

34.

현정석, 박찬정, 하환호 (2013).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대한 성별 시간관 차이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 412-424

35.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36.

황성욱, 박재진 (2011).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광고연구, 91, 68-95.

37.

황안나, 정남운 (2014).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사회적상호작용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연구, 32, 29-48.

38.

Akhtar. S., & Thompson, J. A. (1982).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3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40.

Baron, R. M., & Kenny, D.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41.

Boyd, D.,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42.

Buffardi, E. L., & Campbell, W .K. (2008).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eb si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 1303-1314.

43.

Cheek, J. M., Wink, P. M., Hargreaves, K. M., & Derr, J. L. (2013). Distinctions among overt,covert and adaptive types of narcissism: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Presented at the 121st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onolulu.

44.

David, C., & Mark, D. S. (2012). 중독상담(Foundations of addictions counseling) (신성만 외 역). 서울: 박학사. (원저 2008 출판)

45.

Dickinson, K. A., & Pincus, A. (2003). Interpersonal Analysis of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 17, 188-207.

46.

Freud, S. (1953). On narcissism : An introduction. London: Horgarth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14)

47.

Gifford, E. V., Kohlenberg, B. S., Hayes, S. C., Pierson, H. M., Piasecki, M. P., Antonuccio, D. O., & Palm, K. M. (2011). Does Acceptance and Relationship Focused Behavior Therapy Contribute to Bupropion Outcom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Functional Analytic Psychotherapy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Smoking Cessation. Behavior Therapy, 42(4), 700-715.

48.

Hayes, S. C. (1994) Content, context, and the type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pp.13-32). Reno, NV: Context Press.

49.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2012).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he Process and Practice of Mindful Change (2 ed.). New York: Guilford Press.

50.

Hayes, S. C., Strosahl, K., Wilson, K. G., Bissett, R. T., Pistorello, J., & Taormino, D. (2004).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The Psychological Record, 54(4), 553-579.

51.

Hendin, H. M., & Chec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s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588-599.

52.

Kernberg, O. F. (1975).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Aronson.

53.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 3528-3552.

54.

Manago, A. M., Graham, M. B., Greenfield, P. M., & Salimkhan, G. (2008). Self-presentation and gender on MySpa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 446-458.

55.

Mehdizadeh, S. (2010). Self-presentation 2.0: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 Social Networking 13, 357-364.

56.

Pollet, T. V., Roberts, S. G. B., & Dunbar, R. I. B. (2011). Use of social network sites and instant messaging does not lead to increased offline social network size, or to emotionally closer relationships with offline network member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s, 14(4), 253-258.

57.

Robbins, S. B., & Patton, M. J. (1985). Selfpsychology and career development: Construction of the Superiority and Goal Instability scal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221-231

58.

Rose, P. (2002).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379-391.

59.

Ruiz, F. J. (2012).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versus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urrent empirical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Therapy, 12(3), 333-358.

60.

Smith, G. (2007). Social Software Building Blocks. http://nform.com/blog/2007/04/social-software-buil ding-blocks에서 검색.

61.

Wilson, K. G., Hayes, S. C., & Byrd, M. R. (2000). Exploring Compatibilities Betwee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12-Step Treatment for Substance Abuse.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18(4), 209-234.

62.

YTN PLUS (2014. 11. 14.). '살해 협박부터 누드사진까지'도 넘은 악성S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