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애와 허용적 성태도는 성폭력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그리고 상태공감은 보호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세부적이고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하여 성 범죄 예방 및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임상집단을 대상으로 자기애와 경미한 성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에서 허용적 성태도의 매개효과가 상태공감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210명의 남자 대학생에게 자기애성 성격 검사, 병리적 자기애 척도, 아동 성폭력범 공감척도, 성폭력 가해 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애 하위요인 중에서 유일하게 과시(exhibitionism)만이 경미한 성폭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허용적 성태도의 하위요인인 충동적 성행동과 개방적 성태도는 각각 자기애-과시와 경미한 성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수로 확인되었다. 셋째, 상태공감이 낮을 때는 매개효과의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반대로 상태공감이 높을 때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즉, 자기애-과시와 경미한 성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에서 허용적 성태도의 하위요인 각각의 매개효과는 상태공감에 의해 조절되었다. 결론적으로, 남성의 경우에 자기애-과시와 경미한 성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적인 성행동 혹은 개방적 성태도의 매개효과는 상태공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Previously, mild sexual violence such as vulgar jokes was more common than acts of severe sexual violence, including sexual coercion, attempted rape and rape. However, recent studies show that narcissism and sociosexuality are risk factors of sexual aggression; whereas, state empathy is a protective facto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nd mild sexual violence, in order to prevent sexually violent crimes and develop detail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ex offenders. We accordingly examined the moderated-mediating effects of state empathy among narcissistic exhibitionism, sociosexuality and mild sexual violence in a non-clinical group. Data were obtained from male studen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wo-hundred and ten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K-NPI and K-CM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narcissistic exhibitionism of 7 K-NPI subscales was identified by the only predictor of mild sexual violence. Second, each sociosexuality subscales (impulsive sexual behavior or open minded perspective in sex) completely mediated a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ism and mild sexual violence. Finally, higher state empathy significantly decreased mediating effects of sociosexuality subscales, indicative that the mediating effects were instead moderated by state empathy. The moderated-mediation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narcissistic exhibitionism on mild sexual violence via a mediator (impulsive sexual behavior or open minded perspective in sex)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s of moderator (state empathy) in male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 www.law.go.kr
김정아, 구혜경, 현명호 (2013). 연구논문: 남자 대학생의 성희롱 통념과 공감능력 및 성추행 피해자에 대한 공감이 사회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6), 295-313.
박갑제, 임성문 (2013). 자기애와 성폭력의 관계: 경로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1), 45-44.
박다원 (2015). 자기애와 성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 특권분노/허용적 성태도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공감의 조절효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박다원, 이인혜 (2015). 자기애와 성폭력 가해 행동의관계: 특권분노/허용적 성태도의 매개효과와 인지적정서조절 전략/공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21(3) 377-394.
박성희 (200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창지사.
신현기, 이상열 (2006). 우리나라 성폭력범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16(1), 249-274.
양병화 (2013). 심리학 및 사회과학을 위한 조사와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이형직 (2008).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간통념 수용의 매개효과와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인숙 (2009). Hendrick 다차원적 성태도 척도의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한승희, 권일웅 (2015). 제 6 분과< 공무원 사기관리>:발표; 조직운영의 평등성과 공정성이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5(단일호), 251-277.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Beverly Hills: Sage Publishin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Pub.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Fernandez, Y. M., Marshall, W. L., Lightbody, S., & O'Sullivan, C. (1999). The child molester empathy measure: Description and examination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exual Abuse : A Journal of Research and Treatment, 11(1), 17-31.
Foster, J. D., Shrira, I., & Campbell, W. K. (2006). Theoretical models of narcissism, sexuality, and relationship commitmen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3(3), 367-386.
Glen O. Gabbard. (2008). 역동정신의학 [Psychodynamic psychiatry]. (이정태, 채영래 역) 서울: 하나의학사.
Hayes, A. F. (2013). http://www.afhayes.com/
Hendrick, S., & Hendrick, C. (1987). Multidimensionality of sexual attitudes. Journal of Sex Research, 23(4), 502-526.
Jonason, P. K., & Tost, J. (2010). I just cannot control myself: The dark triad and self-contro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6), 611-615.
Kernberg, O. F., Clarkin, J., Fonagy, P., & Gabbard, G. (2010). Psychodynamic Psycho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 Clinical Handbook, 257-287. Arlington: Amer Psychiatric Pub Inc.
Mouilso, E. R., & Calhoun, K. S. (2012). A mediation model of the role of sociosexuality in the associations between narcissism, psychopathy, and sexual aggression. Psychology of Violence, 2(1), 16.
Raskin, R., & Terry, H. (1988). A principalcomponents 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further evidence of its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5), 890.
Robert B. McCall. (2010). 기초심리통계학[Fundamental statistics for behavioral sciences]. (이관용, 김기중, 박영신 역) 서울: CENGAGE Learning.
Wai, M., & Tiliopoulos, N. (2012). The affective and cognitive empathic nature of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7), 794-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