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도시거주 여성 독거노인의 삶에 대한 건강심리학적 차원의 질적 연구

A Health Psychological Qualitative Study on the Life of Urban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2, pp.431-460
https://doi.org/10.17315/kjhp.2016.21.2.008
김혜경 (삼육대학교 보건학과)
서경현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강과 관련하여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생활환경이 열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건강과 관련된 삶을 현상학적 차원에서 질적으로 분석하여 추후 양적 연구와 정책 수립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10명의 여성 독거 노인이었고, 표집은 비확률 표본추출 기법인 눈덩이 표집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의 연령은 73세에서 93세까지 분포되어 있었고, 독거한 기간은 4년에서 40년으로 다양하였다. 이야기식 면접으로 수집된 자료들은 현상학적 분석 전략을 바탕으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거주 여성 독거노인들은 현대 의료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강하지는 않았으며 만성퇴행성질환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참여자들의 절반 정도가 기억력 감퇴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경험하는 불안과 우울은 주로 자녀와 관련이 있었다. 이들은 간편식을 하기도 하고 저염식에는 실패할 때가 많지만, 건강식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직업을 갖는 것과 자활근로가 도시거주 여성 독거노인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고, 요실금이나 주거환경이 수면을 방해하고 있었다. 이들이 자녀와 만날 수 없기 때문에 복지관이나 경로당 혹은 교회에서 만난 친구들과 많이 접촉하고 있었다. 친구에게 자기노출을 한 후 낭패를 당한 경험이 있어 마음 속 이야기를 가슴에 삭히는 경향이 있었고, 이들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후회는 어떤 일을 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행위 후회였다. 이들은 남편이나 형제 혹은 자매와 같은 원가족에 대한 원한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정부의 경제 지원과 자신의 환경과 처지에 대해 감사하고 있었다.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것을 실천하고 있었으나 건강식품이나 건강용품 판촉행사에서 필요 이상의 돈을 소비하기도 하였다.

keywords
여성, 독거노인, 질적 연구, 건강, 건강행동, female, the elderly living alone, qualitative study, health, health behavior

Abstract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lives of urban elderly females relating health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order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rther quantitative research and policy-mak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urban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in Seoul; and snowball sampling, a non-probability sampling technique was used for sampling. Their age ranged from 73 to 93, and durations of living alone varied from 4 to 40 years. Data gathered from narrativ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techniques based on phenomenological strategies and procedures. Results revealed that urban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lacked in trust in contemporary medical services and were at risk due to their perception of chronic diseases. Almost half of all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a decline in memory, and has increased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related to their children. Although they enjoyed eating convenience foods and failed to eat reduced salt diets, they still tried to consider their health and nutrition when choosing foods. Self-support labor as well as holding a job helped to increase their physical activities, while urinary incontinence and living environments disturbed their sleeps. They frequently contacted friends in their 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citizen centers, or church because they found it difficult to easily contact their offsprings. Many stated that self-disclosing information to their friends led big trouble, so they suppressed their negative feelings and thoughts, They also stated that the regrets they made in their past and the thoughts they had about them often threatened their mental health. Many of the women resented their husbands or immediate family members, such as brothers and sisters, while they were grateful for being financially assisted by government program or their circumstances in senescence. They practiced what they perceived would improve their health, but spent unnecessary money for health care products.

keywords
여성, 독거노인, 질적 연구, 건강, 건강행동, female, the elderly living alone, qualitative study, health, health behavior

참고문헌

1.

고영미, 이원재 (2013). 여성 독거노인의 음주 영향요인.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4(1), 17-32.

2.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3.

김명석, 김평안, 서경현, 송숙자, 정근희 (2004). 뉴스타트 건강. 서울: 시조사.

4.

김영숙, 서경현 (2002). 생활환경에 따른 한국 노인들의생활만족과 우울 수준. 노인복지연구, 18, 273-290.

5.

김옥희 (2013). 사회적 지지와 동거여부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2, 234-255.

6.

김윤정 (1997). 노인건강을 지켜주는 건강식단. 건강소식, 21(3), 24-25.

7.

김주현 (2009). 중·노년기 건강에서의 젠더 차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춘미, 고문희, 김문정, 김주현, 김희자, 문진하, 백경선, 손행미, 오상은, 이영애, 최정숙 (2008). 여성 독거노인의 삶. 대한간호학회지, 38(5), 739-747.

9.

남기민, 정은경 (2011).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2, 325-348.

10.

박미정 (2010).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일상생활 연구. 보건사회연구 30(1), 62-91.

11.

박연제 (2013). 건강기능식품 구매요인에 대한 방문판매원과 소비자의 인식 비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백선숙, 김경숙, 최정현 (2010).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12(3), 248-255.

13.

백학영 (2006). 저소득 독거노인의 빈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31, 5-39.

14.

서경현 (2007). 노년기 한국인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연구, 15(4), 271-278.

15.

서경현 (2014). 여성 독거노인의 후회, 자기노출, 원한및 용서와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2), 565-587.

16.

서경현, 김영숙 (2003).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지원과 정신건강에 관한 탐색. 노인복지연구, 21, 7-26.

17.

서미경, 김정석 (1995).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요인분석. 보건사회연구, 15(2), 40-59.

18.

석소현 (2008).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4), 564-574.

19.

선우덕 (2009). 노인건강정책의 현황과 향후 추진과제:일상생활기능의 자립향상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1-232.

20.

유광수, 박현선 (2003).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3(4), 163-179.

21.

유성호 (1997). 노인과 성인자녀의 별거를 결정하는 변인: 그 이론적 탐색. 한국노년학, 16(1), 51-68.

22.

이명숙, 이윤복 (2013). 독거여성노인의 낙상경험에 따른 낙상두려움과 관련요인.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38(4), 243-256.

23.

이명자 (2007). 노인여성의 요실금 및 수면장애와 삶의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신숙, 김성희 (2011). 농어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복지욕구 조사. 지역발전연구, 11(1), 23-60.

25.

이은정 (2003). 독거노인과 가족동거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무력감. 최신의학, 46(12), 165-172.

26.

이효선 (2006). 질적 연구에 의한 노인들의 삶의 이해. 노인복지연구, 31, 73-99.

27.

임영지, 최영선 (2007). 경북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과가족동거노인의 계절별 영양소섭취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1), 58-67.

28.

장인협, 최성재 (1993).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9.

통계청 (2007). 고령자통계. http://kostat.go.kr에서 자료얻음.

30.

통계청 (2010). 2010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31.

통계청 (2013). 고령자통계. http://kostat.go.kr에서 자료얻음.

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노인실태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Aquilino. W. (1991). Predicting parent's experiences with coresident adult children. Journal of Family Issues, 12(3), 323-342.

34.

Cherniack, E. P. (2011). At a loss for words, and for a single letter: "D" Vitamin D,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Mind & Body, The Journal of Psychiatry, 2(1), 16-21.

35.

Christopoulos, D. C. (2010). Peer esteem snowballing:A methodology for expert surveys. Eurostat Conference for New Techniques & Technologies for Statistics, 171-179.

36.

Conwell, Y., & Thompson, C. (2008). Suicidal behavior in elder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31, 333-356.

37.

Enright, R. D., & Fitzgibbons, R. P. (2006). Helping clients forgive: An empirical guide for resolving anger and restoring hope.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8.

Enriquez, V. G. (1993). Developing a Filipino psychology. In U. Kim & J. Berry (Eds.). Indigenous psychologies: Research and experience in cultural context (pp. 67-80). London: Sage Publications.

39.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40.

Gilovich, T., & Medvec, V. H. (1995). The experience of regret: What, when, and why. Psychological Review, 102, 379-395.

41.

Giorgi, A. (1985). Sketch of a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 In A. Giorgi,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p. 8-22).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42.

Glenn, N., & McLanahan. C. (1981). The Effects of offspr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adul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2), 409-421.

43.

Guba, E. G., & Lincoln, Y. S. (1985).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4.

Han, B., Gfroerer, J. C., Colpe, L. J., Barker, P. R., & Colliver, J. D. (2011). Serious psychological distress and mental health service us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U.S. adults. Psychiatric Services, 62(3), 291-298.

45.

Housman, J., & Dorman, S. (2005). The Alameda County study: A systematic, chronological review. Americ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36(5), 302-308.

46.

Kahneman, D., & Tversky, A. (2000). Choices, Values, and Fram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and the Russell Sage Foundation.

47.

Knight, T. A., & Ricciardelli, L. (2003). Successful aging: Perceptions of adults aged between 70 and 101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6(3), 223-245.

48.

Maki, B. E., Holliday, P. J., & Topper, A. K. (1994). A prospective study of postural balance and risk of falling in an ambulatory and independent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Gerontology, 49(2), 72-84.

49.

Penckofer, S., Kouba, J., Byrn, M., & Estwing, F. C. (2010). Vitamin D and depression: Where is all the sunshine? Issues of Mental Health and Nursing, 31(6), 385-393.

50.

Pennebaker, J. W. (1999). 털어놓기와 건강 [Opening up]. (김종환, 박광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1997년 출판)

51.

Pennebaker, J. W., Kiecolt-Glasser, J. K., & Glasser, R. (1988). Disclosure of traumas and immune function: Health implication for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239-245.

52.

Pillemer, K & Suitor, J. (1991). Will I ever escape my child's problems? Effects of adult children's problem on elderly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3), 585-594.

53.

Polivy, J., Schueneman, A. L., & Carlson, K. (1976). Alcohol and tension reduction: Cognitive and physiological effec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6), 595-600.

54.

Rubin, A., & Babbie, E. (2001). Research method for social work. Belmont: Wads Worth.

55.

Sadler, P., McLaren, S., & Jenkins, M. (2013). A psychological pathway from insomnia to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5(8), 1375-1383.

56.

Salganik, M. J., & Heckathorn, D. D. (2004). Sampling and estimation in hidden populations using respondent-driven sampling. Sociological Methodology, 34(1), 193–239.

57.

Sarofim, M. (2012). Predicting falls in the elderly: Do dual-task tests offer any added value? A systematic review. Australian Medical Student Journal, 3(2), 13-19.

58.

Schwartz, A. N., Snyder, C. L., & Peterson, J. A. (1984), Aging and life: An introduction to gerontology (2nd Ed.). NY: The Dryden Press.

59.

Schϋtze, F. (1983). Biographieforschung und narratives Interview. Neue Praxis, 13, 283-294.

60.

USDHHS (2008). 2008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76.

61.

Wrosch, C., Bauer, I., & Scheier, M. F. (2005). Regret and quality of life across the adult life span: The influence of disengagement and available future goals. Psychology and Aging, 20, 657–67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