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의 취업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심화되고 있다. 취업 준비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부조화를 이루어 두려움, 불안, 걱정 등을 느끼는 상태인 취업 소진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은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로 인한 장기적 반응인 취업 소진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관련 문헌을 개관하여 22문항의 예비척도를 개발하였고, 그 다음 2차의 전문가 검토와 전문가 인터뷰를 한 후, 40명의 대학생에게 안면타당도를 실시하여 20문항을 도출하였다. 1차 연구는 수도권 2개 대학과 지방 1개 대학에서 20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2차 연구는 수도권 1개 대학 2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적 합치도 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3문항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대학생 취업 소진 척도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취업소진 척도는 탈진 7문항, 반감 2문항, 무능감 3문항, 부정적 신념 3문항 및 비인간화 2문항으로 도출해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취업 소진 척도는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 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교육 및 사회현장에서 취업 소진을 측정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찾는데 기초적인 토대가 될 것이다.
Recently, difficulties in job-searching among youth have become a more severe social problem in our society. Youths suffer from fear, anxiety and worry during their preparations for jobs, so that they become burned out. But, there is no appropriate measure for this kind of burn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Job Search Burnout Scale (JSBS), which measures university students’ burnout syndrome during the job searching process. Initially, 22 items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interviews and a face validity test, the scale was reduced to 20 items. First of all,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hree universities. Second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the dimensions of the construct of the scale, and to test its construct validity. As a result, 17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version of the JSBS, and the five dimensions of employment burnout included: exhaustion (7 items), antipathy (2 items), inability (3 items), negative belief (3 items), dehumanization (2 items). This scale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and social fields in which any interventions for youths engaged in job-searching are utilized. The implications for the JSBS and its subscales, possible usag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김계수 (201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도서출판 한나래아카데미.
김연옥, 천성문, 이정희 (2012). 유아교사 소진 척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73-298.
김종운, 지연옥 (2017).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523-545.
서인균, 이연실 (2015).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및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2(1), 117-147.
윤은주 (2009). 상담자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상담학연구, 10(4), 1855-1871.
윤혜미 (1993). 소진: 그 다면적 이해와 대응방안. 한국사회복지학, 22, 118-141.
이영복, 이상민, 이자영 (2009).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15(3), 59-78.
이준우, 김의영, 이종환 (2014). 민간경비원을 위한 직무소진 척도 문항의 적합도.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9, 161-18.
이필남 (2016). 대학생의 졸업 소요기간 분석: 개인, 대학, 노동시장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4(5), 223-246.
정범석, 정화민 (2014). 국내 대학생의 취업태도 및 취업준비 비용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4), 1-19.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2). Some methods for respecifying measurement models to obtain unidimensional measure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4), 453-460.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Demerouti, E., & Nachreiner, F. (1999). Burnout as on outcome of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specific short-term consequences of strain. Paper presented at the Fifth European Conference on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Health Care, Ghent, Belgium.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Freudenberger, H. J., & North, G. (1985). Women’s Burnout: How to Spot It, How to Reverse It, and How to Prevent It (1st ed.). New York, NY:Doubleday.
Katariina, S., Noona, K., Esko, L., & Jari-Erik, N. (2009). School-Burnout Inventory (SBI):Reliability and validity.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5(1), 48–57.
Kristensen, T, S., Borritz, M., Villadsen, E., & Christensen, K. B. (2005).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A new tool for the assessment of burnout. Work and Stress, 19, 192-207.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Maslach, D.,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22.
Rothenberg. A.. (1971). On ang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8, 454-460.
Pines, A. M., Aronson, E., & Kafry, D.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Free Press.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A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