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간접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ed on the Indirect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ed Sham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2, pp.379-396
https://doi.org/10.17315/kjhp.2018.23.2.005
문슬빈 (경상대학교)
이민규 (경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SNS를 이용하고 있는 전국의 20∼30대 남녀 378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CERQ),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를 온라인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측정변인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및 간접효과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내면화된 수치심 각각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자의 SNS 중독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인지, 정서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NS Addiction Proneness, Covert Narcissism,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ternalized Shame, SNS 중독경향성, 내현적 자기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내면화된 수치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direct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addiction pron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78 adults(187 males, 187 females) who used SNS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the Covert Narcissism Scale(CNS),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and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e analyses included a reliability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a structural model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and the results showed a satisfactory fit indices. Also, to identify the indirect effects,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prone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vert narcissism,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ed shame.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ed shame indirectly affected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parately. Third,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indirectly affected by covert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Fourth, the sequential indirect effects that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ed shame ha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ere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keywords
SNS Addiction Proneness, Covert Narcissism,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ternalized Shame, SNS 중독경향성, 내현적 자기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내면화된 수치심

참고문헌

1.

강문선, 이영순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내면화된 수치심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2(5), 1545-1560.

2.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3.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4.

금창민 (2013).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proneness)’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교헌 (2007).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677-693.

6.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87-603.

7.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김정화 (2015).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온라인 익명성, 자기애, 우울, 불안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비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류수정 (2014).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회피-분산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0.

박선미, 박병기 (2014). 매개효과 연구의 동향분석과 새로운 방향 탐색. 교육심리연구, 28(1), 41-70.

11.

박세란 (2004).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귀인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3.

오윤경 (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오하연, 박경 (2012). 사회불안에 미치는 내현적 자기애, 수치심,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에 대한 고찰.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2(2), 77-99.

15.

우공선, 강재원 (2011). 이동형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 의존, 그리고 문제적 이용.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4), 89-127.

16.

이경민 (2014).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을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이상호 (2013).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 (KSAI) 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1(1), 255-265.

18.

이서정, 현명호 (2008).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887-905.

19.

이승현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이영은, 박현주, 허창구 (2016). 내현적ㆍ외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1), 63-80.

21.

이은지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23.

정구철, 문종호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146-156.

24.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25.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마이크로블로그 이용실태조사. https://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70200&bbsId=3&itemId=787&pageIndex=4에서 2016, 10, 26 자료 얻음.

2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 do?cbIdx=65914&bcIdx=17132&parentSeq=17132에서 2016, 10, 18 자료 얻음.

27.

한수정 (2016).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28.

Baker, T. B., Piper, M. E., McCarthy, D. E., Majeskie, M. R., & Fiore, M. C. (2004). Addiction motivation reformulated: An affective processing model of negative reinforcement. Psychological Review, 111(1), 33-51.

29.

Breckler, S. J. (1990). Application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psychology: Cause for concern?.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60-273.

30.

Cook, D. R. (1991). Shame, attachment, and addictions: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ist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13(5), 405-419.

31.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Inc.

32.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33.

Goss, K., Gilbert, P., & Allan, S. (1994). An exploration of shame measures-I: The other as shamer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5), 713-717.

34.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4), 521-525.

35.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36.

Leeming, D., & Boyle, M. (2004). Shame as a social phenomenon: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dispositional shame.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7(3), 375-396.

37.

Levin, J. D. (1987). Treatment of alcoholism and other addictions: A self-psychology approach. Holland: Jason Aronson.

38.

Morrison, A. P. (1983). Shame, ideal self, and narcissism. Contemporary Psychoanalysis, 19(2), 295-318.

39.

Potter-Efron, R. T. (1989). Assessment of Codependency with Individuals from Alcoholic and Chemically Dependent Families.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6(1), 37-57.

40.

Schore, A. N. (1994). Affect Regulation Origin of Self C (The Neurobiology of Emotional Development). California: Lea.

41.

Vaske, J. J. (2008). Survey research and analysis: Applications in parks, recreation and human dimensions. Andover: Venture Pub.

42.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597.

43.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 VandeCreek & T. L. Jackso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Vol. 17, pp. 19-31).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