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람들이 충격적인 사건을 겪은 뒤 외상 후 성장을 할 때, 감사성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구조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감사성향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각각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전국의 20-30대 408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외상관련 질문지,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완성하게 하였고, 총 33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를 사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고, Mplu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두 매개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Bootstraping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감사성향,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외상 후 성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성향,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을 변인으로 선택하여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한 본 연구의 모형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외상 후 성장을 이끄는 치료적 개입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과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relationships among grateful disposition, posttraumatic growth(PTG) and mediating variabl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408 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Most of them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Korean age.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uch as demographic information, Questions about traumatic events, Gratitude Questionnaire- 6(K-CQ-6), Ego-Resiliency Scale(ER), Social support Scale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Only 333 cases were chosen for data analysis. SPSS and Mplus program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dditionally, Bootstraping analysis was used to verify significance.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among grateful disposition, social support, ego resilience and PTG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TG was observed.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TG was observed.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model of study was appropriate. Also, the results offer the suggestion about remedial intervention by revealing that grateful disposition affect PTG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e.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md suggestions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강희경. (2006).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대한가정학회지, 44(11), 149-159.
곽영희, 정현희. (2014). 초기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 역기능적 태도,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상담학연구, 15(5), 1887-1909.
권성중, 김교헌, 이홍석 (2006). 한국판 감사 척도 (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77-190.
권지혜 (2006).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설명 요인에 관한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문열 (2009). 외향성과 감사훈련 방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미원 (2014).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가족의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미정 (2009). 감사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안녕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미현 (2014). 간접감사경험이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지지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보라 (2010).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선희 (2013). 고등학생의 감사성향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노지혜, 이민규(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159-183.
노혜숙 (2008). 고등학생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에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단두리 (2013). 자아탄력성 및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현진 (1996).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배수현 (2012). 감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의 신뢰도와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심은진 (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안지혜 (2019). 외상 경험자의 자기노출이 외상후성장에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유하영 (201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은헌정, 이선미, 김태형 (2001). 일 도시 지역의 외상 후스트레스 장애 역학 조사. 神經精神醫學, 40(4), 581-591.
이다경 (2012). 영성지향 감사프로그램이 유아의 우울과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수림. (2013). 외상 유형이 외상 후 성장 및 지혜에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이지현 (2009). 중학생에게서 감사 훈련이 미치는 긍정적 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후승 (2003).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임경희 (2010a). 감사성향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1(1), 1-17
임경희 (2010b). 아동의 스트레스 경험과 감사성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3(3), 215-238.
임아람 (2011). 청소년의 탄력성과 성격강점 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지영 (2011).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하진의 (2013).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한상화 (2012).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삶의 의미를 매개변인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홍재윤 (2014). 긍정적 정서 함양을 위한 감사 명상 프로그램 개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Adler, M. G., & Fagley, N. S. (2005). Appreciation: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73(1), 79-114.
Affleck, G., & Tennen, H. (1996). Construing benefits from adversity: Adaptotional significance and disposltional underpinnings. Journal of Personality, 64(4), 899-922.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4). AUTHORS'RESPONSE:"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inquiry, 15(1), 93-102.
Evers, A. W., Kraaimaat, F. W., van Lankveld, W., Jongen, P. J., Jacobs, J. W., & Bijlsma, J. W. (2001). Beyond unfavorable thinking: the illness cognition questionnaire for chronic diseas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6), 1026.
Garmezy, N. E., & Rutter, M. E. (1983).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In Seminar on Stress and Coping in Children, 1979, Ctr for Advanced Study in the Behavioral Sciences, Stanford, CA, U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Gordon, A. K., Musher-Eizenman, D. R., Holub, S. C., & Dalrymple, J. (2004). What are children thankful for? An archival analysis of gratitude before and after the attacks of September 11.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5(5), 541-553.
Hobfoll,S.E. (1989). Conservationofresources:A new attemptat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4, 513–524.
Janoff-Bulman, R. (2004). Posttraumatic growth:Three explanatory models. Psychological Inquiry, 15(1), 30-34.
Kashdan, T. B., Uswatte, G., & Julian, T. (2006).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 vetera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2), 177-199.
Lent, R. W. (2004). Toward unify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on well-be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4), 482-509.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17(1), 11-21.
Markstrom, C. A., Marshall, S. K., & Tryon, R. J. (2000). 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rural low-income Appalachian adolescents from two racial groups. Journal of Adolescence, 23(6), 693-703.
McCullough, M. E., Kilpatrick, S. D., Emmons, R. A., & Larson, D. B. (2001). Is gratitude a moral affect?. Psychological bulletin, 127(2), 249.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 A.(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 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Milam, J. E., Ritt-Olson, A., & Unger, J. B. (2004). Posttraumatic growth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9(2), 192-204.
Nishi, D., Matsuoka, Y., & Kim, Y. (2010). Research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silience of motor vehicle accident survivors. Biopsychosocial Medicine,4(1), 7.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71-105.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03-619.
Rogerher, C., Hill, J., Knott, T., & Sault, B. (2003).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trauma in new recruits and experienced firefighters. Stress and Health, 19(4), 189-193.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Sage Publications, Inc.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Tellegen, A. (1985). Structures of mood an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of assessing anziety with an emphasis on self-report. In A. H. Tuma & J. D. Maser (Eds.), Anxeity and the anxeity disorders. Hillsdael, NJ: Erlbaum.
Weiss, T. (2002).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husbands: An intersubjective valid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2), 65-80.
Wood, A. M., Joseph, S., & Linley, P. A. (2007). Coping style as a psychological resource of grateful peopl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6(9), 1076-1093.
Zoe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5), 626-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