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한 웰빙인지기법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The Impact of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the Smartphone APP on the Job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1, pp.57-74
https://doi.org/10.17315/kjhp.2020.25.1.004
박은빈 (덕성여자대학교)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웰빙인지기법이 직장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부정정서, 긍정정서,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 참여를 희망하고 국내 직장에 근무하고 있으며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20대∼30대 성인 43명으로, 웰빙인지기법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 22명, 21명씩 무선할당 했다. 처치는 3주 동안 진행됐으며, 연구자는 참가자들에게 매일 하루 한번 이상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웰빙인지기법을 실시하도록 지시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은 모두 같은 시기에 사후 평가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척도-단축형, 스트레스 반응 척도, 부정정서 척도, 긍정정서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삶의 만족예상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했고 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값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했다. 처치 종료 후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또한 처치집단의 스트레스 반응과 부정정서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했고 삶의 만족은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긍정정서와 삶의 만족예상의 경우, 사전검사 점수와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처치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됐다.

keywords
well-being cognition, job stress, subjective well-being, 웰빙인지,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웰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the smartphone APP on the job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3 age 20-30 employee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the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the smartphone APP application group(experimental group, n=22) and the wait-control group (wait-control group, n=21). Experimental treatment lasted for three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smartphone APP and instructed to be connected via the smartphone APP daily during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used the following scal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easure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The participants pre-pos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 The scores of the Job Stress, Stress Response Inventory, Negative A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wait-control group. The scores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wait-control group. Pre-post scores of Posi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wer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ut, post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wait-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inally, the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the research and subsequent research was considered.

keywords
well-being cognition, job stress, subjective well-being, 웰빙인지,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웰빙

참고문헌

1.

고경봉, 박중규, 김찬영 (2000).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개발.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39, 707-719

2.

고은미, 김정호, 김미리혜 (2015). 웰빙인지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69-89.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201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요약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국가승인통계 제120005호)

4.

김남진 (2007).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4(1), 17-28.

5.

김령아, 이봉건 (2009).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마음챙김명상 (MBSR) 에 기반을 둔 직장인 지원 프로그램(EAP) 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스트레스硏究, 17(2), 174-183.

6.

김숙경 (2003).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정 (2015). 중공업 남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음주. 한국산학기술학회눈문지, 16(7), 4758-4767.

8.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9.

김정호. (2008). 긍정심리학과 한의학.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3), 1-22.

10.

김정호, 임성견, 김선주, 유제민, 서경현, 김미리혜, 공수자 (2008).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정서경험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6(4), 343-350.

11.

김정호. (2010). 마음챙김과 긍정심리학 중재법의 통합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369-387.

12.

김정호 (2015). 생각 바꾸기: 동기인지행동치료를 통한스트레스-웰빙 관리. 서울: 불광출판사

13.

김정호, 은희진 (2010). 성경의 웰빙인지와 웰빙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73-685.

14.

김흥규, 김홍섭 (2005).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11, 231-259.

15.

민경은, 김정호, 김미리혜 (2014). 웰빙인지기법이 버스운전기사들의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63-82.

16.

박종숙 (2007). 여성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경기도 교육청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왕은자, 전민아, 홍희정 (2016).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7(5), 487-512.

18.

우종민 (2005).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기법의 효과에 대한 고찰. 인지행동치료, 5(1), 43-52.

19.

윤경원 (2003). 스트레스 대응훈련이 기능직 직장인의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4(3), 463-478.

20.

은희진, 김정호 (2008). 성경의 웰빙인지가 웰빙증진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8년한국임상-건강심리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128-130.

21.

이인정 (1996).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서비스를 활용한 스트레스 완화 및 질병예방프로그램의 고안을 목적으로. 한국사회복지학, 28, 281-302.

22.

장세진 (2002).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현황및 실태. 대한예방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36.

23.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강명근, 김성아, 김수영, 노상철 (2004).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개발 및표준화 연구 (2차년도).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4.

장현아, 안창일 (2003). 사회공포증의 사이버 집단상담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03, 22(1) 93-108.

25.

전민아, 왕은자 (2014). ACT 를 기반으로 한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상담학연구, 15(4), 1403-1424.

26.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2006).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대상.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14, 261-288.

27.

최은숙, 하영미 (2009).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와 위험요인. J Korean Acad Nurs, 39(4), 549-561.

28.

통계청 (2016). 사회조사보고서. http://kosis.kr/search/search.do에서 2016.07.16. 자료얻음

29.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2012년 상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방송통신위원회

30.

한국정보통신연구원 (2015).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 방송통신위원회 (국가승인통계 제 16402호)

31.

한국행정연구원 (2014). 사회통합실태조사. 한국행정연구원 (국가승인통계 제 41701호)

32.

황정현 (2016). 웰빙인지 기법이 성인의 실연 스트레스, 반추,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33.

Alterman, T., Shekelle, R. B., Vernon, S. W., & Burau, K. D. (1994). Decision latitude, psychologic demand, job strai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Western Electric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9(6), 620-627.

34.

Bruning, N. S., & Frew, D. R. (1987). Effects of exercise, relaxation, and management skills training on physiological stress indicators: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4), 515.

35.

Cecil, M. A., & Forman, S. G. (1990). Effects of stress inoculation training and coworker support groups on teachers' stres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8(2), 105-118.

36.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37.

Higgins, N. C. (1986). Occupational stress and working women: The effectiveness of two stress reduction program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9(1), 66-78.

38.

Johnson, J. V., Hall, E. M., & Theorell, T. (1989). Combined effects of job strain and social isola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morbidity and mortality in a random sample of the Swedish male working popul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71-279.

39.

Kim, K. S., & Kim, S. J. (2009).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Private Security Guard.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0), 305-313.

40.

Richardson, K. M., & Rothstein, H. R. (2008).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a meta-analysi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3(1), 69.

41.

Sauter, S., Murphy, L., Colligan, M., Swanson, N., Hurrell, J., Scharf, F., & Johnston, J. (1999). Stress at work. DHHS (NIOSH) Publication, (99-101), 1-25.

42.

Schnall, P. L., Schwartz, J. E., Landsbergis, P. A., Warren, K., & Pickering, T. G. (1992). Relation between job strain, alcohol, and ambulatory blood pressure. Hypertension, 19(5), 488-494.

43.

Semmer, N. K. (2003). Job stress interventions and organization of work,(In) Tetick. IF, Quick, IC (Eds.), Handbook.

44.

Seligman, M. E. P. (1999). The president's address. American Psychologist, 54, 559-562.

45.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46.

Sin, N, L., & Lyubomirsky, S. (2009).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5), 467-468.

47.

Vandenberg, R. J., Park, K. O., DeJoy, D. M., Wilson, M. G., & Griffin-Blake, C. S. (2002). The healthy work organization model: Expanding the view of individual health and well being in the workplace. 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s on Stress and Health, 2, 57-1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