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도박중독의 자발적 회복 순환 과정 연구: 회복 유지집단과 재발집단의 비교

A Study on the Circulation Process of Natural Recovery of Gambling Addiction: Comparison of Recovery Maintenance Group and Relapse Group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4, pp.777-796
https://doi.org/10.17315/kjhp.2020.25.4.009
신현지 (충남대학교)
임숙희 (건양사이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6개월 내에 치료 및 상담 등 전문적 서비스를 받지 않은 채 도박중독 문제 수준이 감소한 자발적 회복집단을 대상으로 6개월 이후에도 회복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회복 유지집단과 도박중독 문제 수준이 다시 심화된 재발집단을 분류하여 생물, 심리,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회복 상태를 유지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재발을 촉발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6개월 간격으로 세 시점에 걸쳐 온라인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성인 온라인 패널 224명(회복 유지집단: 154명, 재발집단: 7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생물학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성별과 집단의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시점을 집단 내 변인으로, 회복 상태의 지속 여부를 집단 간 변인으로,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은 회복 유지의 가능성이 높은 반면 남성은 재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 유지집단은 재발집단에 비해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도박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복 유지집단은 재발집단에 비해 도박을 이용할 수 있는 경제력과 시간 및 기회의 가용성이 낮고 도박에 대한 지인의 수용적 태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논의에서는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회복 유지요인 및 재발요인을 도박중독 문제의 예방 및 치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제시하였다.

keywords
gambling addiction, natural recovery, relapse, circulation, biological factor, psychological factor, social·cultural factor, 도박중독, 자발적 회복, 재발, 순환, 생물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factors of the positive effects on the maintaining recovered condition and the factors of promoting relapse in terms of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cultural perspective by classifying the natural recovery maintenance group maintaining the recovered condition and the relapse group which deepened the level of the gambling problem again after six months for the recovered group that had reduced levels of gambling problems without receiving treatment and counseling services within six month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ngaged in the online survey for three times at six-month intervals and, finally, the data of 224 adult online panels (the recovery maintenance group: 154 persons, the relapse group: 70 persons) was analyzed. The chi-squared test of the gender and the groups was conducted to search for the biological factor, and the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recovered condition continued is for variable between the groups, time is for variable in the group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cultural factors are for the dependent variable to search psychological and social-cultural facto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emales are more likely benefit from to recovery maintenance while males are more likely to relaps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rrational gambling belief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attitude toward gambling changed negatively in the recovery maintenance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relapse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very maintenance group had low economic power, time, and opportunity to use gambling, and that the receptive attitude of acquaintances regarding gambling was low in comparison with the relapse group. Finally, in this study, it suggested how the recovery maintenance factors and the relapse factors could be applied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mbling addiction problems from a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cultural perspective.

keywords
gambling addiction, natural recovery, relapse, circulation, biological factor, psychological factor, social·cultural factor, 도박중독, 자발적 회복, 재발, 순환, 생물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참고문헌

1.

강성군 (2010). 도박 행동과 문제의 성차: 내국인 카지노 출입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강준혁 (2016).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과 실존체험.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권선중 (2014). 도박 관련 신념과 문제성 도박의 관계에 대한 재탐색. 청소년학연구, 21(4), 359-376.

4.

김경진, 임숙희, 김교헌, 신현지 (2019). 문제성 도박의발달 및 회복과 관련된 성격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3), 735-751.

5.

김교헌 (2013). 한국사회 도박 문제 이해를 위한 심리. 사회문화적 모형 구축-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

6.

김교헌 (2015). 인터넷 중독 과정과 탈중독 과정. 김교헌, 박승민, 신성만, 박중규, 유영달, 문현실, 이화자, 강준기, 조현섭, 고영삼, 조정문, 민웅기, 천성문 (저). 인터넷 중독 상담과 정책의 쟁점 (pp. 3-24). 서울: 시그마프레스.

7.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6, 13-30.

8.

김성제, 김선민, 강향숙 (2011).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 강원: 강원랜드.

9.

김아영, 차정은, 권선중, 이순묵 (2011). CPGI의 한국판 제작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011-1038.

10.

손덕순, 정선영 (2007). 도박중독자 실태 및 중독수준별 특성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1), 377-407.

11.

손동균 (2014). 알코올중독의 재발요인과 재발빈도의관계: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1), 61-90.

12.

신현지 (2019). 문제성 도박의 발생과 회복을 설명하는발달단계 모형.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윤명숙, 채완순 (2010).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 수렁에서 빠져나오기. 한국사회복지학, 62(3), 271-297.

14.

이경희, 도승이, 김종남, 이순묵 (2011). 도박이용자의도박중독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6(1), 189-213.

15.

이근무, 강선경, 탁평곤 (2015). 단도박자들의 도박중독행위 재발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3(2), 5-31.

16.

이근무, 이혁구 (2019). 도박중독자들의 회복과정에 대한 종단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71(3), 31-54.

17.

이래혁, 장혜림, 이재경 (2018). 청소년의 돈을 딴 경험과 도박 유해환경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9), 284-293.

18.

이수정, 김교헌 (2017). 위험감수성향과 도박행동 및비합리적 도박신념의 관계에서 승리접근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2), 339-354.

19.

이인혜 (2004). 카지노게임 선호유형, 성별, 도박심각성과 심리적 특성 간의 관계: 비합리적 도박신념과충동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51-378.

20.

이준석, 윤명숙, 이분희 (2011).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에미치는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2(2), 93-107

21.

이태원 (2009). 과도한 도박의 부정적 영향들: 카지노출입자들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0(1), 1251-1284.

22.

이흥표 (2002a).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동기 및 위험감수 성향과 병적 도박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이흥표 (2002b). 도박의 심리. 서울: 학지사.

24.

이흥표 (2003). 도박동기와 병적 도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69-189.

25.

채정아 (2014). 단도박자의 회복유지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최송식 (2013). 한국사회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예방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 48, 307-348.

27.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28.

Avery, L., & Davis, D. R. (2008). Women's recovery from compulsive gambling: formal and informal supports.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Addictions, 8(2), 171-191.

29.

Blaszczynski, A., & McConaghy, N. (1989). Anxiety and/or depression in the pathogenesis of addictive gamb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s, 24(4), 337-350.

30.

Blaszczynski, A., & Nower, L. (2002). A pathways model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97(5), 487-499.

31.

Chan, M, L., Cheung, W, T., Yeung, N, Y., Kwok, F, P., & Wong, H, Y. (2018). An Evaluation Study of the “RESTART” Program—Short-Term Residential Treatment for Addi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ddiction, 16(6), 1357-1372.

32.

El-Guebaly, N., Casey, D. M., Currie, S. R., Hodgins, D. C., Schopflocher, D. P., Smith, G. J., & Williams, R. J. (2015). The leisure, lifestyle, & lifecycle project (LLLP): a longitudinal study of gambling in Alberta. Final Report for the Alberta Gambling Research Institute. Alberta Gambling Research Institute.

33.

Ferris, J. A., & Wynne, H. J. (2001). The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Ottawa, ON: Canadian Centre on Substance Abuse.

34.

Hing, N., Russell, A., Tolchard, B., & Nower, L. (2014). A comparative study of men and women gamblers in Victoria. Victoria: Victorian Responsible Gambling Foundation.

35.

Orford, J. (2001). Excessive appetites: A psychological view of addictions. Chichester:John Wiley and Sons.

36.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94). The transtheoretical approach: Crossing traditional boundaries of therapy. Malabar: Krieger Pub Co.

37.

Shaffer, H. J., & Korn, D. A. (2002). Gambling and related mental disorders: A public health analysi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3(1), 171-212.

38.

Shaffer, H. J., LaPlante, D. A., LaBrie, R. A., Kidman, R. C., Donato, A. N., &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2(6), 367-374.

39.

Walker, M., Toneatto, T., Potenza, M.N., Petry, N., Ladouceur, R., Hodgins, D.C., el-Guebaly, N., Echeburua, E., and Blaszczynski, A. (2006). A framework for reporting outcomes in problem gambling treatment research: The Banff, Alberta Consensus. Addiction, 101, 504-511.

40.

Wanous, J. P., Reichers, A. E., & Hudy, M. J. (1997). Overall job satisfaction: How good are single-item measu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 247-252.

41.

Yi, S., & Kanetkar, V. (2010). Implicit measures of attitudes toward gambling: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Gambling Issues, 24, 140-16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