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5, pp.1025-1040
https://doi.org/10.17315/kjhp.2020.25.5.00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 of college students’ parent-child communication to interpersonal competency through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surveyed with a total of 468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a total of 438 data(127 male and 311 fema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parent-child communication predicted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aticall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by setting a research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competition model).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within the home is crucial for the formation of a positive and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develop and improve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mpact interperson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healthy parent-child communication must precede. Based on the purpose and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s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steem, emotion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y,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대인관계유능성

Reference

1.

강수정, 유금란 (2016).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유머스타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4), 275-294.

2.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3.

김경미 (2017).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1), 27-47.

4.

김반야 (2015). 관계적 인간의 형성: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자녀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정호, 강기노, 나수양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긍정, 부정감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7), 199-208.

6.

김종희 (2018). 어머니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현주, 정미영 (2015). 간호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가정간호학회지, 22(2), 228-236

8.

김혜진 (2019).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인관계유능성에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민하영 (1991). 청소년의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변유정 (2012).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소선숙 (2011).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적응에대한 통합모형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은선 (2017). 에니어그램기반 사람돌봄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정서지능, 불안 및 돌봄행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유문숙, 이은숙, 유미애 (2012). 청소년의 부모-자녀 간의사소통, 정서지능과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6(2), 252-262.

14.

이민선, 채규만 (201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2(1), 63-75.

15.

이수미, 조경자, 김혜리 (2009).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6(3). 131-147.

16.

이은경 (201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현경 (2009).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의사소통 및애착과 사회관계성향과의 관계: 정서지능을 매개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경림, 김신영 (2017).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사소통수준과 정서지능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발달지원연구, 6 6(2), 155-166.

19.

장해순, 강태완 (200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게이션학연구, 13(2), 104-130.

20.

전병재 (1974).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1), 107-130.

21.

정효주, 정향인 (2012).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1(3), 188-196.

22.

조민희 (2007).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이 자녀의 자아존중감, 대학생활적응,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운선 (2019).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나리, 이동귀 (2010).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37-156.

25.

Bande, B., Fernandez-Ferrin P, Varlea, J., & Jarmillo, F. (2015). Emotions and salesperson propensity to leav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44, 142-153.

26.

Barnes, H. L.,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27.

Branden, N. (1969). The psychology of self-esteem. Los Angels: Nash Publishing Corporation.

28.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 T., & Reis, H. T.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991-1008.

29.

Felson, R. B., & Zielinski, M. A. (1989). Children's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27-735.

30.

Finch, J. F., West, S. G., & MacKinnon, D. P. (1997). Effects of sample size and nonnormality on the estimation of mediated effects in latent variable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2), 87-105.

31.

Kernis, M. H., Brown, A. C., & Brody, G. H. (2000). Journal of personality, 68(2), 225-252.

32.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al equaion modeling. 구조방정식모형-원리와 적용(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공역). 서울: 학지사.

33.

Resurreccion, D. M., Slaguero, J. M., & Ruiz-Aranda, D. (2014).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adolescenc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olescence, 37, 461-472.

3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Russe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5(1), 18-28.

36.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37.

Short, P. E., & Blo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or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iogical Methods, 7(4), 42-445.

38.

Spitzberg, B. H., Cupach, W. R. (1989). Loneliness and relationally competent communicati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1, 384-402.

39.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

40.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243-274.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