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용전념치료(ACT)에 기반한 학업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및 특성불안 성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an Academic Stress Management Program based on ACT: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6, pp.1059-1075
https://doi.org/10.17315/kjhp.2020.25.6.001
강요한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송원영 (건양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에 기반한 학업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특성불안, 사후반추사고 수준과 긍정적인 내적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자기위로능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특성불안 수준이 평균 이상이면서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참여자를 선별하였으며, 최종 분석 대상 24명 중 치료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씩 할당하였다. 수용전념치료에 기반한 학업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학업스트레스 척도,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특성불안 척도, 사후반추사고 척도, 자기위로능력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검사, 사후검사, 종결 16주 후의 추후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전-사후검사에서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특성불안, 사후반추사고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기위로능력 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사전-추후검사에서는 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특성불안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기위로능력 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학업스트레스와 사후반추사고 점수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갖는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ademic stres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rait anxiety, Post-event rumination, Self-soothing ability, 수용전념치료,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특성불안, 사후반추사고, 자기위로능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academic stress management program based o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on the levels of academic stres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rait anxiety, and post-event rum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the level of self-soothing ability, which can act as a positive internal resource. For this purpose, among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he level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and participa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were selected. The twenty-four participants whose data were ultimately analyzed were assigned into a treatment group (twelve) and a control group (twelve). The AC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As a method of analysi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 post-test after the program termination, and a follow-up test after 16 weeks of termination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the academic stress sca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trait anxiety scale, post-event rumination scale, and self-soothing ability scale. As a result, the pre-post test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academic stres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rait anxiety, and post-event rumination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urther, the self-soothing ability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in the pre-follow-up test,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s. self-soothing ability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cademic stress and post-event rumination sco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conduc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keyword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ademic stres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rait anxiety, Post-event rumination, Self-soothing ability, 수용전념치료,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특성불안, 사후반추사고, 자기위로능력

참고문헌

1.

권재환, 김경희 (2016).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업, 진로스트레스의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5(3), 1-27.

2.

김남정, 박경 (2012). 여성 감정 노동자들의 직무 소진및 경험회피에서 수용-전념 치료 개입에 대한 연구고찰.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2(2). 55-75.

3.

김미옥,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ACT)가 대학생의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01-324.

4.

김아름, 손정락 (2015). 수용 전념 치료(ACT)가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경험회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2), 407-423.

5.

김현진 (2017). 고등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현진 (2018). 대학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는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문원정 (2010). 대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 성취도와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8.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박병기, 박선미 (2012).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 563-585.

10.

박현주 (1999).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의 구분 및 특성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현주 (2002). 불안과 모험시도가 영어 학습 성취도에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박효서 (1999). 자기위로능력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보건복지부 (2017). 2016년도 정신질환 실태조사. /www.mohw.go.kr/ 에서 7월 4일 자료얻음.

14.

서예은, 이민규(2017). 인지적 탈융합 처치가 우울한 대학생의 인지적 융합, 정서, 반추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8), 290-290.

15.

양수연, 신현균 (2013). 수용 전념 집단프로그램이 우울한 대학생의 심리적 수용, 심리적 안녕감, 우울 및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4), 761-782.

16.

오미향, 천성문 (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 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 63-69.

17.

오정은, 손정락 (2018). 수용전념 치료(ACT)가 우울한평가염려 완벽주의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이분법적 사고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6(4), 343-354.

18.

오혜영, 김동일, 송지연 (2018).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극복 및 인성계발 지원사업 설계연구.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

온안국, 손정락 (2017). 수용전념치료가 학군사관 후보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261-268.

20.

이보라 (2019). 소셜 네트워크 속 대학생들의 심리와 위기(사이버 사회에서 대학 상담의 과제와 방향).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1.

이보민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불안 애착 대학생의 우울, 반추,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불안 애착에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선영, 안창일 (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치료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4(2), 223-254.

23.

이셈, 최한나 (2012).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1), 123-137.

24.

이수연 (2016). 수용-전념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임선영, 최혜라, 권석만 (2007). 사후반추사고가 사회적자기효능감 및 예기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39-56.

26.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27.

조성연, 조한익 (2017). 걱정과 반추가 스트레스 반응에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와 성차.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9(3), 809-842.

28.

최혁재, 김효정, 천성문 (2019).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대졸 신입사원의 분노반추, 직무소진 및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20(1), 257-276.

29.

한경희 (2016).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와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 (1993). Spielberger 상태-특성불안 검사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3(1), 505-512.

32.

허예슬, 손정락 (2013). 수용전념치료가 정서조절곤란이있는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 회피적 정서조절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8(4), 603-626.

33.

Abbott, M. J., & Rapee, R. M. (2004). Post-Event Rumination and Negative Self-Appraisal in Social Phobia Before and After Treatmen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3(1), 136–144.

34.

Aldea, M. A., & Rice, K. G. (2006). The role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4), 498-510.

35.

Andrews, B., & Wilding, J., M. (2004). The rel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to life-stress and achievement in student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5(4), 509-522.

36.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4(11), 34-52.

37.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R. Heimberg, M. Liebowitz, D. A., Hope, & F. R. Schneier (Eds.),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p. 69-93). New York: Guilford Press.

38.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ciences, New York:Academic Press.

39.

Dunkley, D. M., Zuroff, D. C., & Blankstein, K. R. (2003).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daily affect: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influences on stress and co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234-252.

40.

Edwards, S. L., Rapee, R. M., & Franklin, J. (2003). Postevent Rumination and Recall Bias for a Social Performance Event in High and Low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6), 603-617.

41.

Glassman, E. J. (1990). Development of a self-report measure of soothing receptivity. Canada: York Univ.

42.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43.

Hayes, S. C., Smith, S. (2010).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속으로 들어가라. (문현미, 민병배 역). 서울: 학지사.

44.

Hewitt, P. L., & Flett, G. L. (1991a). Dimensions of perfectionism in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1), 98-101.

45.

Hewitt, P. L., & Flett, G. L. (1991b).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46.

Joseph, V. C., & Bailey, A. (2011). 인지행동치료와 통합을 위한 수용전념치료(ACT) 임상 가이드. (인경, 김수인 역).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47.

Lyubomirsky, S., Tucker, K. L., Caldwell, N. D., & Berg, K. (1999). Why ruminators are poor problem solvers: clues from the phenomenology of dysphoric ru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5), 1041-1060.

48.

Misra, R., & Castillo, L. G. (2004). Academic stress among college student: comparison of americ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1(2), 132-148.

49.

Moser, M. L. (1991). Transitional object and their relationship to self-soothing mechanism in latency aged children(Doctor’s thesis).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50.

Roemer, L., & Orsillo, S. M. (2007). An open trial of an acceptance-based behavior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r Therapy, 38(1). 72-85.

51.

Spielberger, C. D., & Gorsuch, R. L.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