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경험하는 불안과 수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경북 P지역 성인 2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코로나19 시기의 불안과 수면의 질, 불면증 및 총 수면시간, 평소 시기의 수면의 질, 불면증과 총 수면시간을 각각 조사하였다. 불안 수준에 따른 수면의 질, 불면증과 총 수면시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고, 평소 시기와 코로나19 시기의 수면의 질, 불면증, 총 수면시간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시기의 수면의 질, 불면증, 총 수면시간이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 시기에는 참여자 모두 경미한 수준 이상의 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로나19 시기 불안 수준에 따라 수면의 질, 불면증과 총 수면시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코로나19 시기와 평소 시기의 수면의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수면의 질, 불면증, 총 수면시간의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시기 수면의 질과 불면증은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leep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13 adults in the Gyeongbuk P region. Anxiety, sleep quality, insomnia and total sleep time during the COVID-19 period, sleep quality, insomnia and total usual sleep time were examine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leep quality, insomnia, and total sleep time according to the level of anxiety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sleep quality, insomnia, and total sleep time between the usual time and the COVID-19 peri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leep quality, insomnia and total sleep during the COVID-19 period on anxiety. As a result, all participants experienced a high level of anxiety than a minor during the COVID-19 period. Likew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quality, insomnia, and total sleep time depending on the level of anxiety. In addi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usual sleep and sleep during the COVID-19 period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 sleep quality, insomnia, and total sleep time. Also, sleep quality and insomnia of the COVID-19 period affected anxie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urrent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