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불안이 웃음, 비웃음 지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 증상의 통제 효과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the Perception of Smiles and Sneers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ve Symptom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1, v.26 no.3, pp.491-507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4
임효정 (서울대학교병원)
양재원 (가톨릭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웃음과 비웃음의 얼굴표정을 지각하는 데 사회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주관적 동등점(point of subjective equality)의 측정과 신호탐지이론(signal detection theory)을 적용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85명이 사회불안과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과 컴퓨터를 활용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자극으로는 웃음과 비웃음의 얼굴표정을 다양한 수준(웃음:비웃음의 비율 = 2:8, 3:7, 4:6, 5:5, 6:4, 7:3, 8:2)으로 몰핑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몰핑된 얼굴표정 자극 하나가 짧은 시간 동안 제시된 후, 연구 참여자가 그 인물의 표정이 웃음인지 비웃음인지를 평정하는 일련의 절차가 반복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누적정규분포 함수에 곡선 맞춤을 하여 주관적 동등점을 산출하였으며, 신호탐지이론을 활용하여 지각적 민감도(d’)와 반응 기준(c)을 계산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사회불안의 정도가 주관적 동등점과는 정적 상관을, 반응 기준과는 부적 상관을 보여,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웃음을 비웃음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불안과 동반이환이 높은 우울을 공변인으로 통제할 경우, 이러한 통계적 유의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웃음을 비웃음으로 판단하는 편향이 사회불안 증상과 관련이 있으나, 이것이 사회불안 특정적이라기보다 우울과 공유하는 특성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keywords
사회불안, 웃음, 비웃음, 우울, 경멸, 주관적 동등점, 신호탐지이론, social anxiety, smile, sneer, contempt, depression,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signal detection theory

Abstract

The objecit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anxiety could facilitate the discrimination between smiles and sneers by applying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PSE) and signal detection theory (SDT). A total of 85 undergraduate and 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about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Thereafter, they participated in emotion recognition tasks through a computer-based experiment. Facial emotion stimuli were composed of smiling and sneering faces at different ratios (2:8, 3:7, 4:6, 5:5, 6:4, 7:3, and 8:2). Participants in each trial performed 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s where they had to categorized one facial stimulus as “smile” or “sneer”. We estimated PSEs by fitting the curve into the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By applying signal detection theory, we also examined sensitivity (d’) and response criterion (c) for each exp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levels of participants’ social anxie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SEs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ponse criter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social anxiety are more likely judge smiles as sneers. However, these relations were not significant when depression levels were controlled, suggesting that such tendency might be a trait shared with depression rather than a unique characteristic of social anxiety.

keywords
사회불안, 웃음, 비웃음, 우울, 경멸, 주관적 동등점, 신호탐지이론, social anxiety, smile, sneer, contempt, depression,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signal detection theor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