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ging Anxiety of Middle-Aged Korean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1, v.26 no.3, pp.509-528
https://doi.org/10.17315/kjhp.2021.26.3.005
오은아 (가톨릭대학교)
박기환 (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를 활용해 기존에 알려진 노화불안 요인들이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또 성별에 따라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의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만 40세 이상 ∼ 59세 이하의 중년 남녀 246명을 대상으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 노화지식 척도, 노인접촉경험 척도, 노인고정관념 척도, 죽음불안 척도를 사용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 노화불안 총점 및 하위 요인인 ‘경제력 상실’, ‘신체건강 상실’, ‘신체매력 상실’에서 여성의 노화불안이 남성의 노화불안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성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 노화불안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노화지식, 노인접촉경험(빈도, 질), 노인고정관념은 중년기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중년기, 노화불안, 노화지식, 노인접촉경험, 노인고정관념, 죽음불안, middle-aged, aging anxiety, knowledge on aging, elderly contact experience, age stereotypes, death anxie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n aging anxiety scale for Korean middle-aged adults to determine whether existing known factors could affect their aging anxiety and to see how the pattern of the aging anxiety in Korean middle-aged might vary depending on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middle-aged aging anxiety scale, the aging knowledge scale, the elderly contact experience scale, the age stereotypes scale, and the death anxiety scale for 246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 to 59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total aging anxiety score, aging anxiety of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omen's ag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for the following sub-factors of aging anxiety: 'loss of economic power', 'loss of physical health', and 'loss of attractiveness'. In addition, gende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death anxiety significantly predicted aging anxiety. However, knowledge of aging,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elderly (frequency and quality), and stereotypes of the elderly did not affect aging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중년기, 노화불안, 노화지식, 노인접촉경험, 노인고정관념, 죽음불안, middle-aged, aging anxiety, knowledge on aging, elderly contact experience, age stereotypes, death anxie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